• Title/Summary/Keyword: 어머니의 영향

Search Result 86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ffect on Parenting Stress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Emotionality and Mother's Self-efficacy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 및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Kim, Hera;Kim, Jin Kyung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8 no.3
    • /
    • pp.53-67
    • /
    • 2012
  • This study was to focus on the effect on parenting stress of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emotionality and mother's self-efficacy, thus to set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2078 newborns to be involved Korea Children's Panel 1st year. The valuables were all measured by moth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ity had an effect on parenting stress directly. A lower level of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a higher level of children's emotionality indicated a higher maternal parenting stress level. Second, mother's self-efficacy also had an effect on parenting stress level. A lower level of maternal self-efficacy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level. Third,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ity had an effect on parenting stress indirectly through mother's self-efficacy. Mother's self-efficacy which was affected by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ity aggravated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are also discussed.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취학 전 아동과 어머니의 식습관 상호관련성 분석

  • 윤진숙;정영혜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55-1056
    • /
    • 2003
  • 식습관이나 식품 기호도는 식품의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이며 어릴 때 형성이 되는 어린이의 식품 기호도는 부모의 태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특히 유아기는 사회적, 인지적 능력이 발달하고 모방을 통하여 학습되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의 식품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경험은 평생의 건강을 위해서도 부모의 역할은 중요하다. 근래 과잉 영양과 관련된 비만이 우려되고 있지만 아직도 유아에서는 부적절한 식사패턴으로 인한 영양소 결핍이 문제가 되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 유아나 어린이의 식습관이 부모, 특히 어머니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지적하고 있지만 상호 관련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또한 ‘무엇’과 ‘얼마나 많이’ 등이 중점이 되었던 양적 연구에서 이제는 ‘어떻게’ ‘왜’라는 것에 관심을 두는 사례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취학전 아동의 식습관과 영양상태에 관한 질적 연구로써 어머니와의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4∼7세 유아와 그 어머니(각 15명)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유아와 1:1면담을 실시하였다. 어머니들의 식품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어머니 자신의 기호도와 편리,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유아와 어머니의 식품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좋아하는 식품의 경우 두 군 모두 육류의 선호도가 높았다. 싫어하는 식품은 어머니의 경우에는 ‘없다’가 73%이었으나 유아의 경우에는 ‘야채류’가 73%이었다. 유아와 어머니의 식품 기호도 일치정도는 좋아하는 식품이 67%, 싫어하는 식품이 33%로 나타났다. 유아는 야채류를 싫어한다고 대답하면서도 건강에 좋은 식품을 ‘야채류’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유아의 특정 식품의 선호도나 거부의 주된 이유는 ‘맛’이었으며, 유아의 편식습관은 어머니가 간편성 위주, 가족의 기호도 만을 고려하여 식단을 구성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조사대상 유아의 33%가 비타민제, 47%가 칼슘제제를 복용하고 있었으며 27%가 근래에 보약을 복용한 경험이 있었다. 어머니들은 영양제나 보약이 유아의 건강 유지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여기고 있었고 어머니의 임신 중 식품섭취나 이유기의 식품경험정도가 어린이의 식품 기호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어머니가 식품구매시 질적으로 고려하는 부분은 건강과 관련된 무농약 식품, 인스턴트 식품 제한, 외식의 절제가 대부분 어머니의 관심사였다. 본 연구에서 어머니는 유아의 식습관과 식품기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유아 영양교육에서 어머니의 참여와 식품에 대한 인식 개선은 유아의 영양수준 개선에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Infants' and Toddler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Kim, Mi Jeong;Lee, Kyung Nim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7 no.4
    • /
    • pp.253-271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fants' and toddler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 Two hundred and thirty-two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regarding children's temperament,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correlations and pathway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fants' and toddlers' temperamen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ffected affectionate and permissive-uninvolved parenting behavior. Seco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directly affected affectionat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uninvolved parenting behavior and mediated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Additionally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mothers' affectionate and permissive-uninvolved parenting behavior was infants' and toddlers' temperament, a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authoritarian parenting behavior was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with life on affection-rejection parenting in preschoolers' mothers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가 애정적-거부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Kim, Ji Young;Min, Ha-Yeoung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6 no.1
    • /
    • pp.137-155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adult attachment, satisfaction with life and affection-rejection parenting in preschoolers' mothers. The participants were 339 preschoolers' mothers in Daegu or Gyeongbok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ingle and multiple regressions, using SPSS PC(15.0 ver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dul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with lif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ffection parenting in preschoolers' mothers. Adul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with lif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jection parenting In preschoolers' mothers. (2) The influence of adult attachment on affection-rejection parenting was rather higher than satisfaction with life in preschoolers' mothers. (3) The explanation power adult attachment on rejection parenting was rather higher than on affection parenting in preschoolers' mothers.

Effects on Adult Daughter-Mother Attachment (성인 딸과 어머니의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유계숙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2
    • /
    • pp.78-85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액착이론 및 가족발달적 접근을 바탕으로 하여 성인딸과 어머니의 상대방에대한 애착, 그들의 상호작용, 주거상 거리, 딸의 결혼 및 부모기로의 변화(tran-sition)등 성인 모녀 관계에서 중요한 제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목적적 편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100쌍의 성인 딸과 그들의 친 어머니를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횡단적 비교를 위하여 성인 딸의 결혼 여부 및 자녀 유무에 따라 다음과 같은 3집단으로 구분하였다 : 미혼의 딸과 그들의 어머니(미혼기) 자녀가 없는 기혼의 딸과 그들 의 어머니(신혼기), 자녀가 있는 기혼의딸과 그들의 어머니(부모기), 성인 모녀 애착 질문지를 이용하여 얻은 응답을 토대로 성인 딸과 어머니의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중다회귀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인모녀 애착은 상호 호혜적이었다. 성인 모녀간의 상호작용, 모녀간 애착의 차이, 딸의 결혼여부는 성인 딸과 어머니의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이들 변인과 관련하여 성인 모녀가 서로에 대한 애착을 지각하는 양상에는 차이가 있었다. 모녀간 주거상 거리는 성인 모녀 액착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것은 서 인기의 상장적 애착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Differences in Maternal Role Attainment for Breastfeeding and Bottlefeeding Mothers at Four Months after Delivery (모유수유 유무와 산후 4개월된 어머니의 모성역할 획득정도 차이)

  • Lee, Hae-Kyung
    • 모자간호학회지
    • /
    • v.4 no.1
    • /
    • pp.33-40
    • /
    • 1994
  • 모유수유 유무와 아기의 신체적, 정서적 발달과의 관계, 모유수유 성공에 영향을 주는 요소, 모유수유를 성공시키기 위한 전략 등 모유수유를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졌다. 이에 비하여 모유수유가 어머니의 모성행위, 어머니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등 모유수유 유무가 어머니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많은 모성간호사들은 모유수유 어머니가 인공수유 어머니보다 아기 양육에 더 자신감을 갖고 있고,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더 만족한다고 믿고 있다. 또한 피치못할 사정으로 인공수유를 하는 어머니들 스스로도 모유수유를 하지 못함 때문에 아기에 대한 죄의식을 갖고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생후 4개월된 아기를 갖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유수유 유무와 어머니의 모성역할 긴장과 모성역할 획득 정도에 차이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정도에 차이가 없었으며, 모성역할 긴장에도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남편의 지지와 친척 및 친구의 지지를 공변량으로 처리하여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정도에 차이를 알아 본 결과 모유수유 유무에 따라 모성역할 획득 정도에 차이가 없었고, 모성역할 긴장 역시 차이가 없었다.

  • PDF

Effects of Children's Individual Variables and Maternal Parenting on Children's Playfulness (유아의 개인적 요인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Kang, Ji Hye;Lee, Kyung Nim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7 no.2
    • /
    • pp.159-180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self-control and maternal parenting on children's playful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8 3-, 4- and 5- years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s and pathway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ex, sociability temperament, self-control and maternal authoritarian parenting directly affected children's playfulness. Children's sex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playfulness through children's activity level and self-control. Children's sociability and emotionality temperament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playfulness through maternal authoritarian parenting. Maternal authoritarian parenting indirectly children's playfulness affected through children's self-control. Seco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children's playfulness was maternal authoritarian parenting.

The Effects of Family Related Multicltural Education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and Their Mother's Multicltural Awareness (가정연계 다문화 교육 활동이 유아와 어머니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 Yang, Young-Ja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315-31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유아를 위한 가정연계 다문화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적용함으로써 유아와 어머니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 결과 첫째, 가정연계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 전체와 하위 요인인 문화 개방성, 문화 수용성, 문화 존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연계 다문화 교육활동은 어머니의 다문화 인식 전체와 하위 요소인 문화 수용성, 문화 존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문화 개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가정연계 다문화 교육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의 다양한 표현 결과물과 교사 관찰일지, 교사저널 등을 분석한 결과 유아들의 다문화 관련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며, 문화 개방성, 문화수용성, 문화 존중성에도 효과가 있었다. 즉, 가정과 연계한 다문화 교육활동은 유아의 다문화 인식과 어머니의 다문화 인식 중 문화 수용성과 문화 존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The Moderating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융복합시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의 양육 참여의 조절효과)

  • Kim, Eun-Deok;Park, Chan-sa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7 no.6
    • /
    • pp.123-133
    • /
    • 2017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on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To reveal this, the 3rd year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like below. First,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a main factor having effects on children'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Second,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had no effects o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Third,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effects on children's internalization based on the interactions with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contraction and depression/anxiety. Based on it, the educational and welfare suggestions were made.

The Effects of Parenting Beliefs and Supportive Interaction on Mothers' Parenting Stress of Young Children: Variations by Income Level and Employment Status (가구소득과 취업여부에 따른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지지적 상호작용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Ok, Kyung Hee;Kim, Mee Hae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11 no.1
    • /
    • pp.461-48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liefs and supportive interaction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It also examined variations of the results by household income levels and mothers' employment statu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770 mothers of children aged 23-31 months who were a part of the 2010 wave of the National Survey for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analyses revealed that parenting stress was affected by mothers' parenting beliefs and supportive interaction. Mothers' supportive interaction has been shown significantly to predict parenting stress in all four groups of this stud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liefs and reciprocal interaction vari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income and work statu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income and employment status are important to examine coll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