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류이동

Search Result 23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ssessment of Ascending Capacity of Migratory Fish in Fishways by Eco-hydraulic Experiments (II) (어도 생태수리실험에 의한 회유성 어류의 소상능력 평가(II) - 계단식 어도 -)

  • Park, Sang-D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4
    • /
    • pp.381-390
    • /
    • 2001
  • This is to evaluate the ascending capacity of migratory fish in the pool and weir type fishways. Ascending environment of the migratory fish in rivers is analyzed through eco-hydraulic experiments using sweetfish, Plecoglossus altivelis, trout, Oncorhnchus mykiss, and surveying the fall height of existing pool and weir type fishways. When the fall height is less than 16.0cm, the ascending capacity of sweetfish in the pool and weir type fishways is greater than trout. On the other hand when the fall height is over 20.0 cm, the ascending capacity of trout is greater than sweetfish. A sweetfish may prefer to jump for upward moving than trout. And its endurance after upward jumping over wear is greater than that of sweetfish. Because of high fall height of existing pool and weir type fishways the migratory environment in rivers is so poor. When the pool and weir type fishways are designed and constructed in river the fall height of weir must be considered for the variety of migratory fish living in river and the fall height of weir less than 20.0cm is suggested.

  • PDF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and Ecology of Fishes in the Newly Constructed Gunwi Dam Reservoir (신규로 건설된 군위댐 호내 어류 군집 및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Jin-Woong;Yoon, Ju-Duk;Kim, Jeong-Hui;Park, Sang-Hyeon;Baek, Seung-Ho;Chang, Kwang-Hyeon;Jang, Min-H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8 no.4
    • /
    • pp.219-228
    • /
    • 2015
  • To secure water resources, dams are normally constructed on the upper - middle part of streams, and it generates physical disturbances such as habitat alteration and stream fragmentation. Such construction can restrict movement of aquatic organisms, especially for freshwater fish which is one of top predator in aquatic ecosystem, and cause genetic fragmentation and community change.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impact of habitat alteration after dam construction on freshwater fish, we monitored fish community changes, and compared fish fauna between dam reservoir and inflows. Additionally, movement characteristics and habitat boundaries of four species were identified by radio telemetry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Gunwi Dam which was constructed in December 2010. Radio telemetry was applied to Pungtungia herzi, Zacco platypus (living lotic and lentic), Silurus asotus (lentic preferred species) and Zacco koreanus (lotic preferred species). The number of species was remarkably decreased (4 family, 10 species) comparing with before the dam construction (7 family, 15 species). Specifically, Coreoleuciscus splendidus, Niwaella multifasciata, Liobagrus mediadiposalis, Coreoperca herzi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that inhabit in the lotic environment were not collected in the study area. A total of 8 species were caught in both the dam reservoir and tributaries except 2 species (C. auratus and S. asotus). Sorenson's similarity between the reservoir and its tributaries was high (0.842). All of the radio tagged species stayed in the reservoir except S. asotus which moved to the tributary. These species mainly utilized the shallow littoral zone as a habitat.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as a baseline data for efficient management of fishes in lakes.

Estimating the Influence of the Riffle and Pool on the Habitat of Fish (여울과 소의 형성 조건에 따른 어류 서식처 환경 영향)

  • Sung, Young-Du;Park, Bong-Jin;Lee, Sam-Hee;C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07-101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어류 생태계 유지를 위해 필요한 생태학적 추천유량을 산정하고, 어류의 서식처 환경인 여울과 웅덩이의 형성조건을 검토함으로써 '작용'인 '흐름'과 '응답'인 '하상구조'와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하천인 금호강에서는 하상변동이 활발한 자연 상태를 벗어나 하상의 이동성 상당히 둔화된 상태이며, 저수로내 여울과 웅덩이도 대표어종이 서식할 수 있는 자갈하상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금호강 상류에 영천댐 건설의 영향이 어느 정도 미치고 있음을 유황분석 결과를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댐과 같은 수공구조물의 건설로 인하여 하도가 고정화된 상태에서 장기간에 걸치게 되면 여울과 웅덩이와 같은 하상구조가 축소되거나 소멸되어 금호강에서의 대표어종 서식처 환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금번 연구결과, 금호강에서 어류의 생식에 필요한 생태학적 추천유량 $8.2m^3/sec$가 필요하였으며, 어류의 서식처 환경인 여울과 웅덩이를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250m^3/sec$ 이상의 유량이 연간 한번 이상 흘러야 하고, 2.5년 내지 3년 마다 약 $500m^3/sec$ 정도의 유량이 흐를 필요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 대상지점에서 흐름과 하상구조를 하천생태계와 연계해서 볼 때, 생태추천유량은 어디까지나 대표어종이 서식할 수 있는 최소조건에 불과하다. 대표어종이 장기간에 걸쳐 서식할 수 있는 하상구조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대표어종이 선호하는 여울과 웅덩이가 필요하다. 결국 대표어종이 서식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생태추천유량 확보와 아울러 대표어종이 선호하는 하상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도의 이동성을 유발할 유황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대상으로 연중 발생하는 큰 호우사상에 대해 임의의 강우관측소를 결측지점으로 가정하고 주변의 강우관측소로부터 각각의 방법을 이용해 가중치들을 산정하여 결측지점의 강우량 값을 보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각의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결과에 대해 실측값과 보정값의 오차정도를 평균절대오차법(Mean Absolute Error)과 제곱평균제곱근오차법(Root Mean Squared Error)에 의해 산정하여 보정 방법간의 효율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9년, 그리고 2010년${\sim}$2019년까지 총 4구간으로 나누어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예상한 바와 같이 후반기 20년 동안에 세 가지 지표가 취약해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 동안에는 더욱 취약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를 보임에 따라 그 정책적 효과는 때로 역기능적인 결과로 초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최소한 주식시장(株式市場)에서 위탁증거금제도는 그 제도적 의의가 여전히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통상 과열투기 행위가 빈번히 일어나 주식시장을 교란시킴으로써 건전한 투자풍토조성에 저해된다는 저간의 우려가 매우 커왔으나 표본 기간동안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주식시장 전체적으로 볼 때 주가변동율(株價變動率), 특히 초과주가변동율(超過株價變動率)에 미치는 영향이 그다지 심각한 정도는 아니었으며 오히려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은 미국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해 왔다고 볼 수 있다.36.4%)와 외식을 선호(29.1%)${\lrcorner}$ 하기 때문에 패스트푸드를 이용하게 된 것으로 응답 하였으며, 남 여 대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다. 응답자의 체형은 ${\ulco

  • PDF

Ecological Studies of Epizoic Algae Attached on the Freshwater Fishes in a Small Stream (lan Stream), South Korea (소하천에서 담수어류 표피에 부착된 미세조류의 생태학적 연구)

  • Shin, Jae-Ki;Seo, Jin-Won;Yi, Hye-Suk;Jeong, Seon-A;Hwang, Soon-J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7 no.4 s.109
    • /
    • pp.462-468
    • /
    • 2004
  • Most of the surveys of periphyton carried out for environmental and ecosystem health assessment of streams have considered the impact made on their fixative substrates (stones, rocks, sand, silt, clay and other abiotic matters), but there has been virtually no research that considered moving substrates.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an analysis and assessment of the habitat environments of the microalgae attached to the skin surfaces of fish living in small streams, with a focus on their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The dominant fish in the this survey were Zacco temmincki and Zacco platypus, which are usually found in the streams, and rivers, and they accounted for 62% and 19%, respectively, in relative abundance. Substrates of fish, a representative organism with the trait of moving a long distance, show a marked contrast with those of organisms fixed at a certain plac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upstream and the downstream reach well reflected in the microalgae attached to the skin surface of fishes, of which diatoms took the major composition. The result of this observation is considered to be useful to provide basic data in assessment of stream health. Also it may be suggested as a biological tool for the assessment of aquatic environment in the future.

Measurement Velocity at the Fishway Entrance Applying LS-PIV Technique (LS-PIV 기법을 적용한 어도 입구부 유속측정)

  • Kang, Nam Hyeok;Jeong, Kyu Dong;Park, Yong Sung;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74-474
    • /
    • 2017
  • 대하천 사업 이후 국내에서 경험하지 못한 대규모 다기능 보가 설치되었으며, 이로 인해 기존 하천에 서식하던 어류들의 군집, 이동 및 환경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산란을 위해 상류로 이동하거나 하류로 이동하려는 어류들에게는 상당히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기능 보에는 대규모 어도가 설치되었으며, 다양한 흐름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어도의 유인효율평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실험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어도의 유인효율평가에 있어 어도입구부 유속장 측정이 중요하다. 하지만 어도 입구부에 대한 접근성은 용이하지 못 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하던 ADCP 장비로는 유속장 측정에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드론영상을 활용한 LS-PIV기법과 GPS전자부자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고, GPS전자부자를 어도 입구부에서 일정시간 유하시키는 동시에 드론영상촬영을 활용해 LS-PIV기법을 적용하여 유속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LS-PIV기법을 적용한 실험이 주 흐름영역에서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새로운 유속 계측 방안을 보여줌으로써 접근성 및 안전성에 대한 효율적인 실험계측 방법을 제시하리라 사료된다.

  • PDF

Change of Fish Assemblage with Altered Flow Regime in Geum River (금강에서의 유량변동과 어류상 변화)

  • Seo, Jin-Won;Hong, Young-Pyo;Kim, Jeong-Kon;Park, Sang-Young;Kim, Gee-Hyoung;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12-616
    • /
    • 2007
  • 오랫동안 홍수조절, 용수공급, 전력생산, 레저 활동을 위해 건설된 댐들은 하천이나 호소의 생태적 기능보다는 치수 및 이수기능이 중요시되면서 운영 관리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환경 및 생태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하천생태계 보호를 위한 환경유량 산정이 언급되고 있는데 이는 하천이 동 식물의 서식처로서 적절한 수질뿐만 아니라 수심, 유속, 하상재료, 먹이원, 어류를 보호할 수 있는 휴식 및 은신처 등의 다양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시되고 있다. 이들 조건 중 유량(Flow)은 하천에서 생물집단을 구성하는데 있어 물리적 서식조건의 주요한 결정인자로 작용하는데, 댐 하류하천의 자연유량(natural flow)을 변화시키면 생태학적 측면에서 기대치 않던 영향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댐 건설 전 후의 자연유량과 조절유량 사이에서 생태학적 어류조사연구를 통한 차이점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수계 내 댐 건설 전 후의 어류군집과 유량 등 수리조건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하천구간별로 어류생태에 적합한 유량을 산정하는 것이다. 조사대상 구간은 금강본류를 대상으로 하되 용담댐과 대청댐을 중심으로 하여 10개 구간을 선정하였고. 과거로부터 2000년도까지와 용담댐 건설후인 $2002{\sim}2004$년도에 조사된 어류생태자료를 활용하였다. 용담댐 상류로부터 대청댐 하류에 이르기까지 전 구간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20과 82종이 출현하였고, 이중 종 45종(54.9%)이 잉어과에 해당하며 미꾸리과(6종), 동자개과(4종), 망둑어과(5종)를 제외한 대다수의 분류군(Family)들은 단일 또는 2종으로만 구성되었다. 이들 중 천연기념물 제 259호로 지정되어 법적으로 보호되고 있는 어름치(금강에서 서식한 어름치를 따로 천연기념물 238호로 지정함)를 비롯하여 다묵장어를 포함한 7종의 멸종위기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각시붕어 등 총 29종(39.4%)의 높은 한국고유종 출현과 6종의 외래도입종도 확인되었다. 금강의 중 상류에 해당하는 구역을 포함하는 대청댐 상 하류 구간에서 대청댐 건설 전(1980년 이전)을 포함하는 2000년 이전 조사 자료가 가장 다양한 어류상과 특이어종(멸종위기종 및 한국고유종)을 보였고, 최근자료$(2002{\sim}2004)$를 살펴볼 때 용담댐 상 하류에서보다 대청댐 상 하류에서 멸종위기종(7종$\rightarrow$1종) 및 한국고유종(28종$\rightarrow$16종)의 출현감소와 외래도입종의 출현증가(1종$\rightarrow$6종)와 같은 주요한 어류군집 변화를 보였다. 이는 댐 건설에 따라 주로 계류성 어종을 중심으로 정수역 구간에서 인근 지류로 이동하게 되고 일부는 제한된 서식공간과 하천교란으로 인해 개체군이 극감하거나 일부 소멸된 종이 발생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측 유량자료 분석에 의하면 홍수기 최대유량 변화는 크지 않으나, 갈수기 최소유량은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고, 대다수 어류의 산란기인 봄철(5월, 6월) 최소유량은 증가하였으나, 최대유량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어류생태계에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있으며, 향후 이러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선택어종(Target species)별 생태환경 서식조건을 확인할 수 있는 조사기법 및 자료구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wimming Performance of Pale Chub(Zacco platypus) (피라미의 유영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ark, Seong-Yong;Kim, Seo-Jun;Lee, Seung-Hwi;Yoon, Byung-M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4
    • /
    • pp.423-432
    • /
    • 2008
  • The local migration or movement behavior of fishes in streams are related to feeding, spawning, growing, dispersing, and refuging. The pale chub (Zacco platypus) is a dominant species that migrates locally and inhabits in river and stream in Korea. However, dams, weirs, culverts and other regulatory structures are physical barriers that limit fish movement and fragment habits and populations. If main stream and off-channel habitats are connected with culverts, they would restrict the small fish as pale chub movement due to the high flow velocities and low depths. But in Korea, there is no experimental study to evaluate the swimming performance of species in Korea.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oposed that design guidelines for pass fishes through culvert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evaluate the swimming performance of pale chubs. A series of swimming performance test has been used in both of the fixed velocity and the incremental velocity methods in an experimental flume. As a result, the critical swimming speed for pale chub(body length 8.9 cm) was found to be about 0.7 m/s. Therefore, the flow velocity for culvert design in the low flow condition should not be exceed the its swimming ability, especially 0.7 m/s for pale chubs(body length 8.9 cm). And the minimum depth for culvert design in the low flow condition should not be lower than the fish body height add a dorsal fin height.

First Record of the Blenniid Fish Istiblennius dussumieri (Blenniidae, Perciformes) from Japan (일본산 청베도라치과 어류 1미기록종, Istiblennius dussumieri)

  • Lee, Chung-Lyul;Yoshihiko, Machida;Shigeru, Nagatomo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12 no.1
    • /
    • pp.20-24
    • /
    • 2000
  • The blenniid fish, Istiblennius dussumieri (Valenciennes) was reported on the basis of six specimens collected from rocky shores on the Yokonami Peninsula, Kochi Prefecture, southern Japan. This species was characterized by wavy, dusky stripes on its dorsal fin, 14 pectoral fin rays, 38 to 42 vertebrae, branched supraorbital cirrus, finger-like nasal cirrus, seven to ten vertical, dark bands on the body and canines absent on both jaws. Although the occurrence of this species may be due to larval transport by the Kuroshio Current, this is the first record of I. dussumieri from Japan represents a remarkable northern range extension of the species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 PDF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Seagrass Bed of Aenggang Bay in the South Sea of Korea (남해 앵강만 잘피밭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 Lee, Seung Hwan;Lee, Yong Deuk;Shin, Min Gyu;Gwak, Woo Seok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8 no.4
    • /
    • pp.249-259
    • /
    • 2016
  • Monthly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was determined using fish samples collected by a beach seine between October 2013 and September 2014 in the eelgrass bed in Aenggang Bay, Namhae, Gyeongsangnamdo. A total of 3,174 individuals of 35 species, amounting to 3,137 g were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as Gymnogobius heptacanthus, followed by Pholis nebulosa, Rudarius ercodes, Favonigobius gymnauchen and Hypodytes rubripinnis. Almost all fish collected were small in size or juveniles. 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showed that the dominant species, used the shallow area of the eelgrass bed as a nursery ground and moved to a deeper water as they grew. Saurida elongata, Inimicus japonicus, Sphyraena pinguis, and Arothron hispidus, were first reported in an eelgrass bed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

Seasonal Species Composition of Marine Organism Collected by a Shrimp Beam Trawl in Nakdong River Estuary, Korea (낙동강 하구에서 새우조망으로 채집된 생물의 계절별 종 조성)

  • Lee, Jong Hee;Lee, Jae Bong;Kim, Jung Nyun;Lee, Dong Woo;Shin, Young Jae;Chang, Dae Soo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1 no.3
    • /
    • pp.177-190
    • /
    • 2009
  •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marine organism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from November 2007 to November 2008.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169 species, 93 families, and 6 taxa were collected in the study area. Species included were 2 species in Bivalvia, 11 in Cephalopoda, 43 in Crustecea, 8 in Echinodermata, 6 in Gastropoda, and 99 in Pisces. The seasonal dominant species in number of individuals were Acropoma japonicum in autumn, Apogon lineatus in winter, Siphonalia spadicea fuscolineata in spring, and Crangon hakodatei in summer. Dominant species in abundance were Chelidonichthys spinosus in autumn, Liphius litulon in winter and spring, and Raja kenojei in summer.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ir abundanc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the diversity indices fluctuated with seasons. The organisms were divided into 17 groups by seasonal variation using a self-organizing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