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파 부산물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7초

발효 마늘 및 양파 부산물의 급여가 육계 생산성, 혈액성상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By-products of Garlic and Onion on Production Performance, Blood Components and Cecal Microflora in Broiler Chicks)

  • 강환구;서옥석;최희철;채현석;나재천;방한태;김동욱;박성복;김민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33-438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 사료 내 발효 마늘 및 양파 부산물을 첨가 급여하였을 때 생산성, 혈액 성상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육계(Ross) 초생추총 480수를 공시하여 4처리 4반복, 반복 당 30수씩 공시하여 5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로는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NC, negative control), 항생제 처리구(PC, positive control), 발효 양파 부산물 1.0% 첨가구 (T1), 그리고 발효 마늘 부산물 1.0% 첨가구 (T2)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종료 체중은 발효 마늘 부산물 첨가구에서 1,752 g으로 다른 처리구와 비교 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무항생제 처리구에서 1,606 g으로 가장 낮았다. 증체량에서 역시 발효 마늘 부산물 처리구에서 무항생제 처리구 및 항생제 처리구보다 각각 9%와 5% 이상 높게 나타났다(P<0.05). 발효양파 발효물 첨가구에서는 무항생제 처리구와 비교 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항생제 첨가구와 비교하였을 때는 처리 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5주간 사양 실험 후 혈구 분석 및 혈액 생화학 분석 결과, 무항생제 처리구를 비롯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육계 맹장 내유산균 수는 발효 마늘 부산물 첨가구에서 다른 처리구와 비교 시 가장 높았으며(P<0.05), 발효 양파 부산물, 항생제 첨가구에서는, 그리고 무항생제 처리구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장균수와 살모넬라에서는 무항생제 처리구와 비교 시 항생제 처리구와 발효 마늘 및 양파 부산물 첨가구에서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육계 사료 내 발효 양파 및 마늘 부산물의 첨가 급여는 장내 균총에 효과적이며,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재까지 발효 농산 부산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농산 부산물 분획성분의 항균 활성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Waste Food Fractions)

  • 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25-828
    • /
    • 2003
  • 일상적인 식생활에서 흔히 애용되고 있는 감자와 양파의 껍질은 농산 부산물로서 거의 폐기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폐기 농산물의 재활용의 측면에서 또 환경 친화적인 면에서 본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감자껍질(Solanum tuberosum Peel, SP)과 양파껍질(Allium cepa L. Peel, AP)을 수거하여 추출, 분획한 후 각 균주에 대한 생육억제제 효과를 paper disc법에 의하여 살펴보았다. 각 균주에 따른 실험 결과를 보면 여러가지 균들 중에서는 Psedomonas aeruginosa균에서 가장 큰 항균활성을 볼 수 있었으며, 감자껍질에 비해 양파껍질이 대체적으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양파의 ethylether 층인 APMEE와 butanol층인 APMB는 2000 $\mu$g/mL 농도에서는 17.72 및 16.35 mm의 높은 균 생육억제대가 나타나 본 연구실에서 이미 행한 여러 다른 시료를 이용한 연구 결과 중에서도 아주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Streptococcus mutans균에서는 초기 농도에서는 SPM에서 균 생육억제 대가 서서히 형성되었으나 APM의 경우는 거의 활성이 보이지 않았지만 최종농도 2000 $\mu$g/mL에서는 ethylether층인 APMEE층에서 매우 높은 균생육 억제대인 11.00 mm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SPMEE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보여주었다. Staphylococcus aureus균의 경우 양파의 butanol층인 APMB를 1500과 2000 $\mu$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10.65, 12.28 mm의 높은 생육억제대가 나타났다. 이외의 균들에서는 각 용매 분획별로는 미약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4가지의 균주에 대한 감자껍질과 양파껍질 분획물의 농도별 각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두 시료 모두 ethylether 층에서 가장 큰 항균력을 보였으며, ethylacetate 층과 butanol 층에서도 비교적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특히 감자껍질의 경우 Pseudomonas aeruginosa 균주에 대해 수층에서의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농산 부산물인 양파와 감자껍질을 이 용한 천연 항균제 및 식품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이 평가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양파착즙박과 양파를 이용한 압출스낵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Extruded Snack using Onion Pomace and Onion)

  • 기해진;박양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78-583
    • /
    • 2000
  • 양파농축액의 제조시에 부산물로 생기는 양파착즙박을 이용하고자 건조양파착즙박 또는 건조양파를 옥분과 여러 농도(10, 20, 30%)로 혼합하여 쌍축압출성헝기를 이용하여 양파스낵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양파착즙박은 건조양파보다 식이섬유소 함량이 약 2배 가량 높았고 lignin이 적은 식이섬유소였다. 갈변도는 양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양파스낵의 환원당과 유리당은 양파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주된 유리당은 glucose와 fructose였다. 대조군 스낵의 flavonoid는 검출되지 않았고 양파박 스낵에는 quercetin과 관련배당체의 flavonoid 함량이 양파스낵과 비교할 때 약 50% 정도 존재하였다. 양파착즙박과 건조양파의 첨가량이 10%인 양파스낵의 경우 다른 농도의 처리구보다 관능검사결과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았다.

  • PDF

산업체 적용을 위한 양파껍질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Onion (Allium cepa L.) Peel Extracts Obtained as Onion Byproducts)

  • 정은미;정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64-368
    • /
    • 2014
  • 양파가공부산물인 양파껍질을 이용하여 산업체에서 활용 가능한 추출공정으로 다양한 항산화활성 변화를 확인 하였다. 양파껍질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OPME-1에서 233.90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_{50}$값은 OPMPE-1에서 1.15 mg/mL로 가장 높은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났다. ABTS에 의한 총 항산화력은 OPM에서 432.78 mg AA eq/g으로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냈으며, 환원력은 OPMPE-1에서 1.69 $A_{700}$으로 높게 나타났고, ORAC 지수는 OPMPE-1에서 $318,509{\mu}M\;TE/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실제 산업체에서 양파껍질 추출물을 제조할 때 활용 가능한 추출공정은 여러 번 반복 추출을 하는 것보다 1회 추출만 하는 공정이 항산화 활성 결과 기능성 식품소재 원료로 활용이 더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기능성식품 기능성원료로서 양파껍질추출물의 품질특성 (Potential of Onion Peel Extract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Functional Foods)

  • 전선영;백정화;정은정;차용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207-121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양파가공부산물인 양파껍질을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고자 양파껍질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양파껍질추출물에 대한 생리적 기능성과 같은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양파껍질추출물에서는 K가 13,767.56~15,506.78 ppm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Na이 8,602.44~9,796.00 ppm, Ca은 4,255.78~4,903.33 ppm으로 세 번째로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Mg, P, Fe은 각각 1,433.11~1,561.22 ppm, 1,212.44~1,428.89 ppm, 760.67~858.89 ppm의 함량을 차지하였고 Zn은 34.11~66.89 ppm으로 미량 검출되었다. Total phenol 함량은 598.57~626.73 mg/g, total flavonoid 함량은 211.73~238.52 mg/g 범위로 quercetin 함량은 93.67~107.29 mg/g의 범위로 나타났다. 양파껍질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100 ppm에서 16.45~17.92%, 200 ppm은 29.96~35.41%, 1,000 ppm은 81.05~84.60%의 소거활성을 보였고, SOD 유사활성은 10,000 ppm에서 31.92~39.29%, 20,000 ppm에서 85.85~91.58%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혈전용해능은 20,000 ppm 농도에서는 plasmin에 비해 약 3배 높은 활성을 가졌다. 따라서 양파껍질 추출물은 항산화력 및 항혈전효과능을 가진 기능성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양파 육질 및 껍질의 화학성분과 항산화 및 항암 활성 비교 (Effects of Onion Flesh and Peel on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 장주리;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598-1604
    • /
    • 2009
  • 양파 껍질의 폐기는 생리활성 물질이 손실 될 수 있으므로 양파 껍질을 이용한 연구는 폐자원을 활용한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파를 육질과 껍질로 나누어 이들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세포 내 활성산소종 제거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양파 껍질은 육질과 비교했을 때 48배의 플라보이드 함량을 나타내어 양파 껍질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양파 껍질의 A+M과 MeOH 추출물을 0.05 mg/ml의 농도로 HT-1080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크게 억제시켰다. 이들 두 추출물들은 $500{\mu}M$ $H_2O_2$만을 처리한 control군과 비교하였을 때 측정 시간 120분 동안 계속적으로 높은 세포 내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능력을 나타내었고 특히 양파 껍질에 의한 저해 효과가 양파 육질보다 높았다. 양파 육질과 껍질의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분획물들 중에서는 양파 껍질의 85% aq. MeOH 및 BuOH 분획물에 의한 저해효과가 우수하였고 양파 육질의 경우에는 85% aq. MeOH 분획물에 의한 항산화효과가 높았다. 암세포증식 억제 실험에서 양파 껍질의 A+M 추출물의 $IC_{50}$은 AGS 및 HT-29 세포에서 각각 0.07 및 0.05 mg/ml로 양파 육질보다 저해효과가 높았고 껍질 MeOH 추출물의 $IC_{50}$은 두 세포에서 각각 0.75 및 3.31 mg/ml로 AGS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가 우수하였음을 관찰 할 수가 있었다. 분획물들 중에서는 양파 육질 및 껍질의 85% aq. MeOH 분획물의 AGS 세포에 대한 $IC_{50}$이 각각 0.04 및 0.03 m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들 분획물들도 HT-29 세포보다는 AGS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가 높았음을 살펴 볼 수가 있었다. 대체로 water 분획물에 의한 활성산소종 저해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분획물들 중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양파 부산물인 껍질에도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를 활용한 양파가공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양파 껍질 성분이 Press Ham의 지방산패도와 육색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nion Peel Components on Lipid Oxidation and the Changes of Color in Press Ham)

  • 박구부;허선진;이제룡;이정일;김영환;하영래;주선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3-100
    • /
    • 2000
  • Effects of onion peel (OP) components (quercetin and rutin) in press ham on TBARS, pH, redness (a*) and flavor (panel test) were investigated during cold storage. TBARS in OP samples of high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control during cold storage. This result suggests that OP components have an antioxidant activity in press ham. Also, redness of OP sample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control after three weeks of cold storage. Cured ham redness could be improved through lower pH of OP sample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However, flavor score of OP samples was not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with control during cold storage. It could be possible that OP components plays role as an antioxidant without any negative effects on plavor of press ham. 양파 껍질을 급여한 돼지로부터 quercetin 및 rutin을 축적시킨 돈육을 원료육으로 하여 제조한 햄을 4주 동안 냉장 저장하면서 지방산패도(TBARS), pH, 육색(적색도) 및 향미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TBARS의 경우 저장 3주부터 양파부산물 급여량이 높은 처리구가 유의적으로(P〈0.05) 낮은 수치를 보여 양파 껍질 성분의 항상화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저당 3주이후 대조구와 비교해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P〈0.05) 높은 적색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파 껍질 성분이 육제품의 변색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처리구의 염지 육색이 증진된 것은 처리구의 pH가 대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설명되었다. 한편, 향미의 관능검사 결과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는데(P〉0.05), 이는 양파 껍질 성분의 항상화제로서의 역할과 향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미미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유기농액비 농가자가제조기술 평가 (Evaluation of the Manufacturing Methods on Farm-made Organic Liquid Fertilizers)

  • 서장선;안난희;유재홍;조영상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308-308
    • /
    • 2009
  • 유기농액비 자가제조 방법의 표준화를 위해 농가 현황조사를 통해 유기농액비 제조방법을 분류하고 제조 시기별 성분함량 변동상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액비는 경기 9, 강원 5, 충북, 1, 충남 20, 전남 6, 경북 5, 경남 8 등 총 54종이었다. 자가제조 유기농액비에 사용된 재료는 감, 매실, 복숭아, 사과, 참다래, 토마토, 파프리카, 양파, 파, 인삼, 미나리, 민들레, 쇠비름, 쑥, 익모초, 산야초, 황기, 환삼덩굴, 으름열매, 은행과피, 배 어린 열매, 감껍질, 깻묵, 들깨대, 물미역, 쌀뜨물, 쌀겨, 꽁치, 바다생선 (잡어), 불가사리, 생선부산물(내장, 뼈 등), 액젓부산물(해산물의 뼈가 많이 함유된 물질), 동물뼈(돼지, 닭 등), 골분, 혈분, 천매암, 천일염, 계란껍질, 조개껍질, 게껍질, 새우껍질, 굴껍질, 농가부산물, 음식부산물, 구아노, 들깨 대 숯, 참깨 대 숯 등이었다. 제조방법은 기본재료+물, 기본재료+물+미생물, 기본재료+당밀, 기본재료+당밀+미생물, 기본재료+흑설탕, 기본재료+흑설탕+미생물 등이었다. 유기농액비의 화학적 특성은 다양하였으며, 혈분을 주 원료로 한 유기농액비의 화학성변화는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pH는 4.99에서 3.85로 낮아졌지만, EC, T-C, T-N, $P_2O_5$, $K_2O$, CaO, MgO, $Na_2O$, Fe, Mn, Zn 등은 높아졌다.

  • PDF

흑연화를 통한 폐 수트의 리튬이온전지용 도전재로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 김한빈;최재혁;이원주;김대영;강준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8-138
    • /
    • 2018
  • 선박을 통한 해상수송은 세계 무역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선박은 저질중유의 연소로부터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디젤 엔진을 원동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디젤 엔진은 연소의 부산물로 매년 백만 톤 이상의 오염물질을 방출하는데, 그 주성분은 탄소로 이루어져 있고 고온 열분해 또는 압축 점화 엔진의 작동 부산물들이 소량 포함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박으로부터 배출된 폐 수트를 리튬이온전지용 도전재로 활용하기 위한 독특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폐 수트는 운항중인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폐 수트는 탄소 성분 이외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흑연화 정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2,000^{\circ}C$로 열처리되었다. 열처리된 폐 수트의 모폴로지를 확인하기 위해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그 형상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폐 수트의 일차 입자는 지름이 약 70-100 nm 정도인 양파껍질 모양의 탄소(carbon nano-onion)로 형성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XRD, RAMAN 분광법 및 BET 분석 결과를 통해, 열처리된 폐 수트가 결정성이 있는 흑연으로 재형성되었으며 비표면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활물질에 비해 약간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특성은 리튬이온전지용 도전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이는 전기화학적 정전류 충전 및 방전 테스트를 통해 그 성능이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전재의 테스트 결과와 폐 수트를 도전재로 사용한 테스트 결과를 Fig. 1에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선박으로부터 배출된 폐 수트가 리튬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도전재로 재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양파껍질로부터 Flavonoid 물질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Flavonoids from Onion Peels vi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전선영;백정화;정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95-69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양파가공부산물인 양파껍질로부터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인 flavonoid 물질의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양파껍질의 일반성분은 수분 4.68%, 회분 6.67%, 조단백질 및 조지방이 5.03%, 0.71%이었고, 무기질은 Ca이 20.07 g/kg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K이 5.54 g/kg, Mg 2.17 g/kg의 순으로 함량이 많았다. 중심합성계획법에 의한 flavonoid 물질의 최적 추출조건은 다중회귀분석 및 능선분석 결과, 결정계수는 0.772이었으며, 적합결여검증(p>0.05)에서는 0.278, 전체적인 모형에서 유의성(p<0.05)을 보여 반응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최대점을 만족하는 각 변수의 조건은 추출용매의 농도는 70%, 추출온도 $40^{\circ}C$, 추출용매의 pH 5.3, 원료에 대한 추출용매의 비율은 1:63(w/v)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