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택 풍수지리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5초

양택 풍수지리의 방위관 - "택경(宅經)"을 중심을 - (A Study on the Direction Ideas of Residential Feng Shui-focused of Zhaijing(宅經))

  • 김혜정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2호
    • /
    • pp.65-83
    • /
    • 2009
  •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direction ideas of residential Feng Shui. In ancient China residential places were been established by Xiangzhai(相宅) and Buzhai(卜宅) usages. And ancient Chinese always considered geographical features of mountains and waters for setting up their living places. Geographical features were also considered importantly ih representative residential Feng Shui books, Zhaijing(宅經) and Yangzhaisanyao(陽宅三要). In Zhaihing, 24 direction ideas are co-related with Fagui(八卦) and GanZhi(千支) theories, and they are most important residential Feng Shiui direction theories. The basic thoughts of 24 direction ideas of Zhaijing were already formed in Qin(秦) dynasty and modified in early Han(漢) dynasty. In Zhaijing, residential places were splited into Yangzhai(陽宅) and Yinzhai(陰宅) according to YinYang's Qi directions. Those were actually formed from meticulous observations on changing processes of YinYangWuXing(陰陽五行)'s Qi(氣). Constantly changed Qi of YinYangWuXing were studied by old chinese people from the observations on the sun, the moon, the five stars, the Great Bear, and ErShiBaXiu(二十八宿). The origin of Zhaijing's direction ideas is the direction system of ShiPan(式盤) in Qin and Han dynasty. On ShiPan TianGan(天干) Dizi(地支) Fagui TianDiRenGui(天地人鬼) were arranged very systematically into four and 24 directions. DongxiSizhai(東西四宅) theories of Yangzhaisanyao had edited more lately than Zhaijing(宅經), and formed according to Fagui(八卦)'s YinYang(陰陽) principles. But the basic ideas is same with Zhaihing's. It proves that residential Feng Shui theories were constantly improved and modified. And both residential Feng Shui direction ideas of Zhaijing and Yangzhaisanyao are the gentral ideas in old china. The point of that ideas is Sky's four or 24 directions are correspndence with the earth's. It came from the traditional thoughts that Heaven, Earth, and mankind are c0-related and influenced each other according to Qi's changing processes. Gather up above mentioned, the direction ideas of residential Feng Shui is a systematic thoughts of old chinese for harmonizing Tian-Di-Ren-Gui, and is their specific methods for harmonizing the nature's Qi, mankind and spirits.

  • PDF

주택산업의 풍수마케팅 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engshui Marketing Model in the Housing Industry)

  • 김종섭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5호
    • /
    • pp.29-36
    • /
    • 2012
  • 본 논문은 풍수마케팅 위한 체계화된 풍수지리 분석기법과 풍수지리 감결서의 작성 방법을 연구하여 주거공간에 있어 기업의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풍수마케팅 모형을 정립한다. 여기서 풍수마케팅은 제품광고뿐만 아니라 판매촉진, 홍보, 이벤트, 세일즈맨 활동 등 변화하는 시대에 부응하는 마케팅 전략으로 소비자의 구매력과 기업의 이미지 증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다만, 아직까지 풍수마케팅을 할 수 있는 광고상품이 주택분양이나 점포입지 그리고 상품배치를 위한 공간배치 등 매우 제한적이다. 그래서 현재 보편적으로 이루지고 있는 일반적인 주택분양 마케팅에 덧붙여 주택분양을 한층 더 촉진할 수 있는 풍수마케팅 방식을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이 연구를 위해 전통풍수지리 이론을 바탕으로 양택풍수 분석방법을 논하고, 현대에 맞는 새로운 풍수지리 분석기법으로 지형공간구조와 지자기교란을 분석방법을 논한다. 이러한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풍수지리 분석방법을 적용한 풍수지리 감결서의 작성방법과 표준양식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 주택산업의 풍수마케팅 모형을 정립하여 기업의 상품판매 촉진 마케팅의 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향후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주택산업에 대한 정립된 풍수감결서 방식에 따라 분석하여 평가한 풍수마케팅 적용사례의 실례를 들어 주택분양에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지, 웰빙건축에 얼마나 반영되었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 풍수마케팅의 실효성 유무를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실효성이 검증되면 풍수마케팅의 저변확대로 친환경적인 웰빙 주택산업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덧붙여 풍수마케팅에 대한 산업별 모형을 연구하여, 그것이 기업의 이미지와 이윤의 극대화 그리고 고객의 만족에 얼마나 부합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황제택경(黃帝宅經)의 문헌적 연구 (A philologicalStudyonHuangdizhaijing(黃帝宅經))

  • 장성규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6호
    • /
    • pp.65-84
    • /
    • 2009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hilological character of Huangdizhaijing(黃帝宅經). Huangdizhaijing is a first stage scriptures of YangzhaiFengshui(陽宅風水) which is the firstly mentioned book in Sikuquanshu(四庫全書). Huangdizhaijing is an obligatory book to read to understand the palace of ancient dynasty as well as general housing of people. Huangdizhaijing measured housing conditions divided into Yangzhai(陽宅) and Yinzhai(陰宅). The contents succeeded traditional Yangzhaiguan(陽宅觀) which values direction(方向) and Jiri(吉日). Thatis, classifying Yangzhai into 24 directions based on Qi of YinYang(陰陽之氣) theory, general contents of Huangdizhaijing explains regulatory rules and propitious day in accordance with the Yangzhai mathematical principles and archaeology through Jixiongshenshalun(吉凶神煞論). Huangdizhaijing includes the kernel of understanding the chinese architect system and housing culture because it describes close reciprocal influences between man and house. It seems that the author of Huangdizhaijing is not the emperor but he was represented by descendants who systemized the idea of Huangdizhaijing in Yangzhai shu(陽宅書). Being there many of documents presented by emperor like Huangdineijing(黃帝內徑), It is counted that the reason of the representing emperor is to show off its origin has long and authoritative history. It seems that the preserved period of writing Huangdizhaijing is Tang(唐) dynasty, but counting that various Yangzhaishu prevailed, Huangdizhaijing's contents has much in common with Dunhuangben(敦煌本), and it valued Menfazhidu(門閥制度) of Weijinnanbeichao(魏晉南北朝) dynasty, the many of the contents of Huangdizhaijing should be formed before Tang dynasty. The exiting editions of Huangdizhaijing could be divided into generally 8 kinds:(1) Zhengtongdaocangben(正統道藏本) (2)Yimenguangduben(夷門廣牘本) (3)Jindaimishuben(津逮秘書本) (4)Shuofuben(說?本) (5)Gujintushujichengben(古今圖書集成本) (6) Sikuquanshuben(四庫全書本) (7)Xuejintaoyuanben(學津討原本) (8)Dunhuangben(敦煌本).

  • PDF

조선 중기 유가(儒家)의 세계관이 반영된 집터 선정과 건축적 표현 -양평군 소재 택당 이식의 택풍당을 중심으로- (The Selection of House Site and Its Architectural Expression in the Chosun Dynasty : A Case Study of Confucianist Lee-sik's Taegpoongdang in Yangpyung, Kyungki-do)

  • 성동환;조인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67-380
    • /
    • 2005
  • 택당 이식은 조선 중기의 한문대가로 널리 알려진 성리학자이다. 택당 이식의 "택당집"에는 조선중기 유학자들의 조상에 대한 관념과 선영의 관리, 은거지의 선정과 건축물의 조영에 대한 생각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택당은 시초점으로 음택과 양택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였으며 그 입지 특성을 풍수지리적인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그는 선영의 자리를 선정할 때 시초점 점사의 내용을 참고하여 결정하였으며 이를 은거지였던 택풍당의 건축 조영에도 반영하였다. 그가 은거지에 들어간 후 조영한 택풍당은 자신의 생활 좌우명으로 삼았던 택풍대과괘(澤風大過卦)의 개념을 반영한 것이었다. 택풍당의 평면, 단면의 형식과 연못을 조성하고 가운데 버드나무를 심었던 것이 모두 택풍괘를 본뜬 것이다. 택당 이식이 건축한 택풍당은 택풍대과괘의 주역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지어진 것이었다. 그리고 택풍당이 자리잡은 지평백아곡(현재 앙평군 양동면 쌍학리 안골)의 마을입지는 풍수지리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 PDF

한국사 속의 자기(磁氣) 관련 기록에 대한 조사 연구 (Survey on Records about Magnetism in Written Korean History)

  • 이근우;권해웅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2-146
    • /
    • 2012
  • 자석에 대한 인간의 관심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자석을 바라보는 시선도 다양했다. 과거에는 과학자의 시선이 아니라 철학자의 눈으로 바라다 보기도 하였다. 이 글에서는 과거 우리나라에서 자석을 어떻게 인식해왔는가를 다루어보고자 한다. 자석과 관련된 내용을 시기적으로 분류해 보면 1) 자성(磁性)의 인식기 2) 극성(極性)의 인식기 3) 근대지식의 유입기로 나눌 수 있다. 한국사 전체에서 보면, 신라에서 자석을 생산하였다는 기록을 찾을 수 있었으며 고려시대 기록에서는 자석에 관한 자료를 찾을 수 없었다. 자석에 대한 관심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고조된 것으로 보인다. 그 중에서도 풍수 즉 양택과 음택의 입지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항해에 자석을 사용하였다는 기록도 확인된다. 그밖에 의외의 사용처로는 약재의 일부로 쓴 경우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