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성율

검색결과 1,069건 처리시간 0.032초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SCC Antigen (TA-4) 측정의 유용성 (Vslue of Squamous Cell Carcinoma Associated Antigen fTA-41 in Patients Iurith Invasive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조문준;김재성;박승호;남상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97-401
    • /
    • 1993
  • 자궁경부암 환자의 병변의 범위 및 임상 경과를 추정하는데 TA-4의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진단 받은 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청 TA-4치를 RIA 방법으로 측정하여 $\le2\;ng/ml$을 정상 범위로 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료전 평평상피암 환자의 TA-4의 양성율은 $60\%,$ 선암은 $40\%$였다. 2) 병기가 진행될수록TA-4의 양성율및 평균치가 높아서, 양성율 병기 I는 $40\%,$ II는 $72\%,$ III는 $63\%,$ IV는 $100\%$였으며 평균치는 병기 I에서 3.1, II는 6.6, III는 8, IV는17.7 ng/ml였다. 3) 방사선 치료후 혈청내 TA-4치는 감소하여 5000 cGy 조사후 치료전 양성을 보였던 환자의 $44\%$에서 TA-4치 가 정상으로 돌아왔다. 4) 원발성 자궁경부암 환자의 양성율은 $59\%$였으나 지속성 또는 재발성등 치료에 실패한 15명 환자의 양성율은 $80\%$였다. 이상으로 연속적 혈청내 TA-4치의 측정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치료에 따른 임상 경과를 관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결핵진단에서 Xeniss Rapid TB kit의 임상적 유용성 (Evaluation of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Xeniss Rapid TB kit for the Diagnosis of Tuberculosis)

  • 박승규;이우철;황수희;권은시;이흥순;이덕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4호
    • /
    • pp.389-400
    • /
    • 2002
  • 배 경 :결핵의 조기치료와 전염방지를 위해서 신속하고 간편한 결핵진단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서 결핵균에 특이한 38-kDa단백을 포함하여 금 콘쥬게이트에 결합된 유전자재조합 항원을 혈청과 반응시켜 항결핵 항체를 발견하도록 고안된 카드형태의 혈청학적 진단기법인 Xeniss Rapid TB kit가 결핵의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 :188명의 결핵환자(폐결핵 177명, 폐외결핵 11명)와 82명의 접촉자, 그리고 57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혈청을 이용하여 Xeniss Rapid TB kit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그리고 음성예측율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전체적인 민감도는 73.9%, 특이도 81.3%, 양상예측율 84.2%, 그리고 음성예측율은 85.8%였다. 진단시점부터 검사시점간의 시간간격에 따라서는 1개월 이내에서 61.5%로 가장 낮고 점차 증가하여 4-6개월 시점에 94.4%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 점차 감소하여 12개월 이상 경과한 시점에서는 67.4%의 양성반응율을 보였다. 페외결핵 환자(90.9%)에서는 폐결핵 환자(72.8%)보다 양성반응율이 높았다. 객담도말양성 (76.2 대 68.4%), 방사선 사진상 중증 (79.3 대 63.3%), 공동성 병소(75.7 대 70.0%), 과거 치료력 (76.3 대 73.3%)이 있는 환자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양성반응율을 보였으며, 당뇨병을 동반한 환자군(69.0 대 74.8%)과 노인환자군(68.l 대 100%)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양성반응율을 보였다. 건강성인군 7.0%, 환자가족군 17.5%에 비해 병원직원군에서 57.9%의 양성반응율을 보여 활동성 결핵환자와 장기간 지속적으로 접촉한 군에서 높은 양성반응율을 보였다. 결 론 : Xeniss Rapid TB kit는 신속하고 간편하며, 민감도와 특이도가 비교적 높고 특히, 폐외결핵에서는 높은 양성반응율을 보여 폐결핵, 폐외결핵, 그리고 감염자의 진단에 보조적 검사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키르키스탄 일부 초등학교 아동들의 요충 감염 양성율 보고 (Enterobius vermicularis egg positive rate of primary school children in a part of Kyrgyzstan)

  • 주종필;조유정;김덕곤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9-193
    • /
    • 2001
  • School children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Enterobius vermicularis egg by perianal swab method at 52nd and 41st primary school between September 30, 1998 and October 7, 1998 in Kyrgyzstan, 281 children examined, 80(28.5%) were found to be positive for E. vermicularis egg. The egg positive rate of boys and girls were 41(29%) and 39(28%), respectively. Through this survey, we found that E. vericularis infection is still prevalent among children in Kyrgyzstan.

  • PDF

위선종 및 위선암종에 있어서 PCNA 발현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CNA Expression in Gastric Adenoma and Adenocarcinoma)

  • 김미진;최원희;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1-9
    • /
    • 1995
  • 최근 3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에 의뢰되어 진단되었던 위선종 25례와 위선암종 64례를 대상으로 항 PCNA항체를 이용한 면역 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NA 양성율은 대조군 $29.14{\pm}12.77%$, 위선종 $44.09{\pm}17.11%$, 위선암종 $80.15{\pm}10.69%$로서 대조군, 위선종, 위선암종 순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 위선암종에 있어서 PCNA 양성율을 조직학적 분화도와 비교한 결과, 중분화형 및 저분화형은 고분화형에 비해 반응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3등급 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위선암종의 PCNA 양성율을 침습 정도와 비교한 결과, 그 정도가 심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조기위암군과 진행성 위암군으로 대별할 경우 진행성 위암종에서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 4) 위선암종의 PCNA 양성율을 림프절 전이상태와 비교한 결과, 림프절 전이가 있는 선암종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선암종에 비해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PCNA 양성반응은 위선종과 위선암종의 감별진단에 크게 도움을 주리라 사료되며, PCNA는 위선암종의 침윤과 전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예후 측정에 보조적인 가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 나 PCNA 반응도만으로는 독립적인 예후 척도로 인정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며 다른 예후 인자와 함께 고려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만성 B형 간질환에서 간염 B virus 표식자 발현에 따른 DNA의 검출 (Detection of Serum Hepatitis B Virus DNA According to HBV Markers in Chronic Hepatitis B Liver Disease)

  • 이동준;최진수;김준환;이헌주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55-167
    • /
    • 1997
  • 본 연구는, HBV의 증식 및 감염력을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표지자로 알려진 HBV DNA를 최근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PCR법을 사용해 검출함으로써 기존의 dot blot법과 PCR법을 비교하고,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HBV의 e항원, 항체체계에 따른 HBV DNA의 검출율을 PCR법을 이용하여 알아봄으로써 HBV의 증식 및 감염력을 파악하고자 무증상 HBsAg 보유자 17명(HBeAg 양성 9명, anti-HBe 양성 8명), 만성 B형 간염 환자 91명(HBeAg 양성 50명, anti-HBe 양성 41명), 간경변증 한자 57명(HBeAg 양성 21명, anti-HBe 양성 36명), 원발성 간세포암 환자 27명(HBeAg 양성 10명, anti­HBe 양성 17명)을 대상으로 HBV DNA의 검출빈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ot blot법의 경우 HBeAg 양성인 환자군, anti-HBe 양성인 환자군에서의 HBV DNA의 검출율은 각각 58.9%, 34.3% 이었고, PCR법에 의한 검출율은 상기군에서 각각 72.2%, 53.9%였다. HBeAg 음성인군에서의 PCR법에 의한 HBV DNA 검출율은 무증상 HBsAg 보유자의 경우 25.0%, 만성 B형 간염 환자군의 경우 61.0%, 간병변증 환자군의 경우 52.8%, 원발성 간세포암 환자군의 경우 52.9%였다. 무증상 HBsAg 보유자에서 HBeAg 양성인 군과 음성인 군간의 HBV DNA 검출율은 각각 77.8%, 25.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나머지 군에서는 HBeAg 양성인 군과 음성인 군간의 HBV DNA 검출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PCR을 이용할 경우 기존의 dot blot보다 훨씬 예민하게 HBV DNA를 검출할 수 있고, HBsAg 양성인 만성 간질환 환자의 대부분에서는 HBeAg 및 anti-HBe 표식자 체계와는 무관하게 바이러스의 증식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PCR법이 무증상 HBsAg 보유자의 예후를 알 수 있는 지표로서 유용성에 대한 가능성을 의미하나 확실한 의의를 알기 위하여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피조개, Scaphara broughtonii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보호망 형태와 유실방지망 종류에 따른 성장과 생존 (Growth and Survival of the Spat of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in Intermediate Culture with Different Shape of Protective Net and Type of Preventive Net of Spat Loss)

  • 김병학;신윤경;박기열;최낙중;오봉세;민병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1-136
    • /
    • 2008
  • 피조개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호망의 형태 및 유실 방지망의 종류에 따른 부착치패의 성장 및 생존을 조사하였다. 보호망의 형태별로 60일간 중간양성한 부착치패의 성장은 노출형이 평균 각장 $12.8{\pm}3.2$ mm로 가장 빨랐으며(P<0.05), 통발형이 $12.2{\pm}3.5$ mm, 원통형이 $11.9{\pm}3.8$ mm, 직사각형이 $10.9{\pm}3.7$ mm순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생존율은 통발형이 43.7%, 원통형이 41.2%, 직사각형이 31.6%로 보호망의 형태에 따라 통발형 및 원통형이 직사각형보다 높았으며, 노출형이 5.4%로 매우 낮았다(P<0.05). 유실 방지망 종류별로 163일간 중간양성한 부착치패의 성장은 차광막이 평균 각장 $13.9{\pm}3.1$ mm로 가장 빨랐고(P<0.05), 여자망이 $12.9{\pm}3.0$ mm, PE망이 $11.8{\pm}3.1$ mm 및 대조구가 $12.6{\pm}3.3$ mm 순으로 나타났으며, 생존율은 차광막이 91.5%, PB망이 90.1%, 여자망이 88.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실 방지망을 설치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61.5%로 설치한 시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피조개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보호망은 통발형 및 원통형을 사용하면 채묘망과 보호망 간의 공간이 확보되어 마찰에 의한 탈락을 방지하고, 해수의 소통이 원활하여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보호망목의 크기는 2 mm 내외를 사용하여 해수의 유통이 비교적 원활히 되도록 하였으며, 일시적으로 탈락하는 개체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치패 채묘망과 직각으로 설치한 결과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유실 방지망 종류별 중간양성시험 결과는 시험기간이 겨울철이여서 태풍 등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고, 보호망에 부착물질이 거의 없어 생존율이 매우 높았다. 겨울철 중간양성이 여름철 중간양성 보다 생존율에서는 월등히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산업화를 위해서는 유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피조개 부착치패 중간양성 시기는 태풍 등의 위험한 시기를 피하여 조절하고, 피조개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통발형 및 원통형의 보호망과 유실 방지망을 병행하여 사용하면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만삭임부 및 신생아의 혈청 B형간염 바이러스 표식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rum HBV Markers in Term Pregnant Women and Their Neonates)

  • 이태형;박완석;김성림;이강원;이승호;정원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21-129
    • /
    • 1987
  • 만삭 임부 및 신생아에서의 B형간염 감염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1986년 1월 1일부터 1987년 6월 30일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을 위해 입원한 임부 2,032명중 1,276명에 대하여 HBsAg 혈증 여부을 검사하고 혈청 HBsAg 양성으로 확인된 임부 74명중 66명과 그 신생아에서 B형간염 바이러스 표식자 검사와 함께 SGOT 및 SGPT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만삭 임부의 혈청 HBsAg 양성율은 4.7%(53/1,279) 이었다. 2. HBsAg 혈증 임부의 신생아에서의 혈청 HBsAg과 anti-HBs 양성율은 각각 12.1%(8/66)와 9.1%(6/66)이었다. 3. HBsAg 혈증 만삭 임부에서의 혈청 anti-HBc, HBeAg, 및 anti-HBe 양성율은 각각 94.0%(62/66), 45.5%(30/66), 및 50%(33/66)이었으며, 혈청 anti-HBc, HBeAg, 및 anti-HBe의 모체 - 신생아 전파율은 각각 85.5%(53/62), 90%(27/30), 및 87.9%(29/33)이었다. 혈청 anti-HBc와 anti-HBe가 신생아에서만 검출된 경우는 각각 1예와 2예가 있었으며 anti-HBe가 검출된 신생아 2명중 1예에서만 혈청 anti-HBs도 동시에 검출되었다. 4. HBsAg 혈증 만삭 임부에서 모체가 혈청 HBeAg를 보유한 경우와 혈청 anti-HBe를 보유한 경우의 신생아 혈청 HBsAg 양성율은 각각 13.3%(4/30)와 9.1%(3/33)이었으며, 모체에서 혈청 HBeAg과 anti-HBe가 모두 검출되지 않은 경우, 신생아 혈청 HBsAg 양성율은 33.3%(1/3)이었다. 이상의 검사성적으로 미루어 한국인 임부에서도 임신말기에 B형간염 바이러스 표식자검사가 routine screening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B형간염 바이러스의 산전 태반을 통한 신생아 전파율이 본 연구에서는 24.2%로 추정되었다.

  • PDF

강원도(江原道) 횡성군(橫城郡) 일부지역(一部地域) 간(肝) 및 폐(肺) 디스토마 감염상황(感染狀況)

  • 최원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권1호
    • /
    • pp.5-9
    • /
    • 1978
  • 이제까지 알려진 바에 의(依)하면 우리 나라에서 간(肝) 및 폐(肺)디스토마 분포양상(分布樣相)은 강원도지역(江原道地域)이 가장 저율(低率)로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그 이유(理由)로서는 이들 양흡충은 반드시 제(第)1 및 제(第)2중간숙주(中間宿主)를 통한 生活環(생활환)이 완성(完成)되어야만 하는데, 이들 중간숙주분포(中間宿主分布)가 강원도지역(江原道地域)이 낮은 까닭인듯 하다. 우연(偶然)한 기회(機會)에 저자(著者)는 강원도(江原道)의 일부지역(一部地域)은 폐(肺)디스토마의 감염(感染)이 적지 않다는 정보(情報)를 입수(入手)하고 이에 흥미(興味)를 갖게 되었으며, 특(特)히 농후감염지역(濃厚感染地域)으로 예상(豫想)되는 횡성군(橫城郡)의 일부지역(一部地域), 폐(肺), 청일면(廳日面) 신대리(里) 일대(一帶)와 서원면(面) 유현리(里)에서의 간(肝) 및 폐(肺)디스토마의 감염상(感染相)을 파악(把握)할 목적(目的)으로 본(本) 조사(調査)를 전도(全圖)하였다. 검사방법(檢査方法)으로는 일단(一旦) 간(肝) 및 폐(肺)디스토마의 VBS 항원(抗原)으로 피내반응검사(皮內反應檢査)를 실시(實施)하여 간(肝)디스토마 피내반응검사(皮內反應檢査)에 대(對)해서는 객담검사(喀痰檢査)와 면역혈청반응으로 보체결합반응(補體結合反應), 간접형광항체반응(間接螢光抗體反應) 및 Ouchterlony 반응(反應)을 하여 좀더 정확(正確)한 감염상황(感染狀況)을 파악(把握)하고저 하였다. 그 결과(結果)의 개요(槪要)는 아래와 같다. 1. 횡성군(橫城群) 신대리(里)와 우현리(里)의 주민(住民) 680명(名)에 대(對)한 폐(肺)디스토마의 VBS항원(抗原)에 의(依)한 피내반응양성율(皮內反應陽性率)은 12.4%이었고 간(肝)디스토마의 피내반응양성율(皮內反應陽性率)은 12.5%이었다. 2. 성별(性別)에 따른 피내반응양성율(皮內反應陽性率)의 차이(差異)는 간(肝)디스토마의 경우, 여자(女子) 7.4%에 비(比)하여 남자(男子)가 17.1%이었고, 폐(肺)디스토마의 경우는 여자(女子)가 20.7%인데 반(反)하여 남자(男子)가 42.9%로서 2배(倍) 이상(以上)의 고율(高率)이었다. 3. 연령별(年令別)로 보면, 간(肝)디스토마 피내반응양성율(皮內反應陽性率)은 31~40재(才)가 22.1%로 가장 고율(高率)이었고, 폐(肺)디스토마 양성율(陽性率)은 21~30재(才) 사이가 58.5%로서 가장 높았다. 4. 폐(肺)디스토마 피내반응양성자(皮內反應陽性者)에 대(對)하여 객담검사(喀痰檢査)를 실시(實施)한 바 105명(名) 중 11명(名)(10.5%)의 충란검출자(蟲卵檢出者)를 볼 수 있었다. 또 이들에 대(對)한 면역혈청반응(免疫血淸反應)으로 보체결합반응(補體結合反應), 간접형광항체반응(間接螢光抗體反應) 및 Ouchterlony 반응(反應)을 실시(實施)한 바, 각각 42.5%, 50.3% 및 45.8%로서 거의 일치(一致)된 성적(成績)을 나타내어 피내반응양성자(皮內反應陽性者)의 약반수(約半數)에서 이들 혈청반응(血淸反應)이 양성(陽性)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인 편도 편평상피암종에서 고위험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와 젊은 연령 및 비흡연자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igh Risk Human Papillomavirus and Young Patients and Nonsmokers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onsil in Korea)

  • 주영훈;정찬권;조광재;선동일;박준욱;김민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7-21
    • /
    • 2011
  • 연구 및 목적 :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 편도 편평세포암종의 발생에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high risk human pap-illomavirus)의 역할 및 관여 인자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연구는 편도 편평상피세포암종으로 진단받은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을 알기위해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였다.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과 나이, 성별, 흡연, 음주, 병기, 병리학적 특징 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의 양성율은 31.5%(17/54)였다.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은 젊은 연령(50세 미만), 비흡연자, 림프절 전이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p=0.008, p=0.042, p=0.027). 하지만 성별, 음주, 원발부위 병기, 종양분화도, 피막외침범, 혈관 및 신경 침범과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5년 전체 생존율 및 질병 특이 생존율은 각각 60%와 62%였다.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의 양성율은 질병 특이 생존율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9). 결 론 : 한국인의 고위험 인간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은 젊은 연령 및 비흡연자의 편도 편평세포암종의 발생에 관련이 있고 예후 인자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