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극물질

Search Result 29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양극으로의 에너지 플럭스 유입을 고려한 대기압 아르곤 자유연소아크 해석

  • Lee, Won-Ho;Lee, J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498-498
    • /
    • 2012
  • 직류 아크 토치를 이용하여 열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전극의 구성에 따라 크게 비이송식(non-transferred)과 이송식(transferred)의 2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1950년대 H. Maecker 등에 의해 이론적 기초가 형성되기 시작한 이송식 아크 플라즈마 발생장치는 처리 대상물질을 전극으로 사용하여 양극에서의 에너지 전달을 직접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열효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고출력 토치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압 아르곤 자유연소아크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열플라즈마의 열유동 특성을 수치적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아크 기둥의 온도, 압력 및 속도 특성을 Navier-Stokes 방정식과 Maxwell 방정식을 연계 계산하였다. 또한 아크-전극 상호작용(arc-electrode interaction) 모델링을 통한 양극(anode)인 처리 대상물질로의 에너지 플럭스 유입을 고려하여 전극 내부의 온도분포를 계산하였다. 해석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음극과 양극 사이 플라즈마 기둥(column)의 중심축 온도는 Haddad & Farmer(1984)의 실험데이터와 비교하였고, 양극으로의 에너지 플럭스 및 온도분포 데이터는 Bini 등(2006)의 실험 및 해석데이터와 비교하여 만족스런 일치를 확인하였다.

  • PDF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nodized aluminum alloys in metal anion complex electrolyte (음이온 금속 전해질로 양극산화한 알루미늄 합금의 전기화학적 특성연구)

  • Lee, Cheol-Ho;O, Gi-Seok;Choe, Ji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9-110
    • /
    • 2015
  • 알루미늄 합금의 종류중 하나인 ADC12는 가공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산업의 많은 분야에 이용할 수 있지만 양극산화를 진행할 시 합금의 주요 구성성분인 실리콘(Si)으로 인해 균열(Crack)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따라 균일한 산화막이 생성되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양극산화를 진행할 때 금속 음이온 성분이 첨가된 전해질을 이용하면 실리콘이 떨어져 나간 부분을 자가치료(Self-healing)할 수 있어 피막의 경도를 포함한 각종 특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ADC12를 양극산화할 때 황산 수용액을 기본 전해질로 하여 전해질에 타이타늄(Ti), 마그네슘(Mg), 몰리브덴(Mo)이 포함되어 있는 금속 음이온 물질을 첨가하였고, 금속 음이온 전해질의 농도와 양극산화 진행 시간을 변수로 하여 제조한 산화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afel plot, 그리고 Microvickers hardness tester를 통해 평가하였다.

  • PDF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Polymers: Poly(vinylchloride), Poly(ethyleneterephthalate), Poly(propylene), and Poly(carbonate) (고분자물질들의 분극 특성: Poly(vinylchloride), Poly(ethyleneterephthalate), Poly(propylene), Poly(carbonate))

  • Choi, Chil-Nam;Yang, Hyo-Kyung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6 no.1
    • /
    • pp.19-25
    • /
    • 2002
  • We measured the variations of potentials and current densities for several polymers. The results were carefully examined to identify various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pH to influence the potential and rate. The Tafel slope for anodic dissolution was determined by the polarization effect under these conditions. The optimum conditions were established for each case. The second anodic current density peak and maximum current density were designated as the relative polarization sensitivity $(I_r/I_f)$. The mass-transfer coefficient value $({\alpha})$ was determined by the Tafel slope for anodic dissolution on the basis of the polarization effect under optimum conditions.

Characterization of (Co/Nb)-coated NiO as a Cathode Material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s (코발트와 나이오븀이 코팅된 NiO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양극물질 특성 연구)

  • Choi, Hee-Seon;Yi, Cheol-Woo;Kim, Keon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13 no.3
    • /
    • pp.203-210
    • /
    • 2010
  • NiO is commonly used as the cathode for the molten carbonate fuel cell due to its stability and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in molten carbonates and oxygen atmosphere. However, long-term operation of MCFC has a serious problem which is the degradation of cathode material, the so-called Ni dissolution.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attempted to synthesize a new alternative cathode material as Co/Nb-coated NiO cathod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b-coated NiO cathode can be utilized as having lower dissolution and higher cell performance than those of the pure NiO cathode.

Fabrication of Nano-particles with High Capacity using Surfactant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리튬리치계 산화물 나노입자 제조)

  • Lim, Suk Bum;Kim, Seuk Buom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18 no.3
    • /
    • pp.95-101
    • /
    • 2015
  • In this article, we report the fabrication of Li-rich oxide nanoparticles for Li-ion batteries. Li-rich oxides are promising cathode materials because their capacity is much higher than commercial cathode materials. However, they have several disadvantages such as low rate capability due to their low ionic and electronic conductiv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fabrication of nanoparticles to enhance the rate capability of Li-rich oxide. Two types of surfactants were introduced to disperse the particles and form the nano-sized particles. The Li-rich oxide nanoparticles showed improved rate capability than pristine sample.

The Effect Of Si Doping On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Ni_xMn_yCo_{(1-x-y)}O_2$ (리튬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LiNi_xMn_yCo_{(1-x-y)}O_2$의 Si첨가에 의한 특성 변화)

  • Na, Seong-Hwan;Kim, Hyun-Soo;Moon, Seo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7a
    • /
    • pp.134-137
    • /
    • 2004
  • 새로운 리튬 2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인 Li[NiMnCo]O2를 간단히 합성할 수 있는 방법과 Si의 doping에 의해 그 특성을 향상하였다. 원하는 당량비의 Li, Ni, Co, Mn의 nitrate를 고순도의 에탄올에 용해하고 여기에 Si의 원료물질로서 poly(methyl phenyl siloxane)을 원하는 양(전체 전이금속 이온의 $2{\sim}10\;mol%$)만큼 첨가한 후 약 30분 정도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약 $70{\sim}80^{\circ}C$ 정도의 온도에서 고점도의 진흙 상태가 될 정도로 가열하고 $450{\sim}500^{\circ}C$의 온도에서 약 5시간 정도 열처리 하여 유기물이 없는 상태의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이 전구체를 분말형태로 분쇄하고 $600{\sim}650^{\circ}C$ 정도의 온도에서 3시간, $900{\sim}950^{\circ}C$ 정도의 온도에서 5시간 연속적으로 열처리 하여 최종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활물질은 175mAh/g 정도의 높은 비용량을 나타내었으며 4.5V 충전 조건에도 우수한 수명특성을 나타내었다. Si이 doping되지 않은 활물질에 비해 Si이 doping된 물질은 율특성, 수명특성에서 보다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층상구조 활물질의 격자상수 증가와 impedance 증가 억제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자기조립법에 의한 산화철 중공구조의 합성과 에탄올 감응특성

  • Kim, Hyo-Jung;Kim, Hae-Ryong;Choe, Gwon-Il;Kim, Il-Du;Lee, Jong-Heu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25.3-25.3
    • /
    • 2011
  • 반도체형 가스센서의 가스 감응은 산화물 표면과 주변 가스와의 화학적 반응에 기인한 것이므로 나노 크기의 감응물질 입자를 합성하여 비표면적을 넓히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감응 물질의 크기가 나노 스케일로 감소하면 가스 감응 특성이 증가하지만, 심한 응집으로 가스 확산이 어려워 가스 감응 특성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비표면적이 크면서도 응집이 덜한 나노 구조체가 산화물 가스 센서에 이용되어 왔다. 특히 중공구조는 응집이 적고 가스확산이 용이하며 큰 비표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널리 연구되어진 나노구조체이다. 한편 산화철은 친환경적인 n-type 반도체로써 에너지 저장소, 촉매, 리튬-이온 배터리의 양극물질, 가스센서 등의 응용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lvothermal에 의한 자기조립 방법으로 산화철 중공구조를 합성하고 기능화를 위해 귀금속 촉매인 Pt를 첨가하였다. $400^{\circ}C$에서 에탄올 가스에 대한 가스 감응 측정을 통해 대조군인 산화철 응집체와 나노 스케일의 구에 비해 중공구조가 가스 감응에 유리함을 보고한다.

  • PDF

Effects of the Composition of Nitrogen Gas and the Working Pressure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and Unit Cell Performance of MCFC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양극가스내 질소 조성과 작동압력이 단위전지의 온도 분포 및 성능에 미치는 영향)

  • 김태진;안영주;주재백;정귀영;남석우;오인환;임태훈;홍성안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4 no.3
    • /
    • pp.354-363
    • /
    • 1995
  • 차세대 연료전지인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운전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운전변수와 단위전지 성능과의 관계를 살표보았다.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에 산화제로 공기를 사용하는 경우 양극가스에 질소가 포함된다. 그리고 연료전지의 작동압력을 높이면 출력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및 물질수지를 이용하여 양극가스내 질소 조성과 작동압력 변화에 따른 전지내의 온도분포 및 성능변화를 구하였다. 본 연구팀이 이미 발표한 용융탄산염 단위 연료전지의 전류밀도의 온도분포를 구하기 위한 수치모사가 이용되었다. 가스흐름의 형태는 십자류를 선택하였다. 양극가스내 질소의 영향은 냉각효과로 나타났다. 작동압력이 증가할수록 전지의 성능은 증가하였고, 기전력[mV]변화 대 압력[atm]의 상용대수값의 변화(즉, ΔV 대 Δ(log))의 1차함수 그래프 기울기는 79.9로 문헌상의 실험치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Effect of Cathodes Prepared with Different Compositions on the Performace of Li-Sulfur Secondary Battery (리튬-황 이차전지 양극 조성 성분의 비율이 전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oe, Yun Jeong;Ju, Jeh Beck;Cho, Won Il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21 no.1
    • /
    • pp.6-11
    • /
    • 2018
  • For the high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to satisfy the demands in electronic and energy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saf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conomical electrode. Recently, lithium-sulfur batteries are receiving attention as next-generation secondary cells in terms of its remarkable theoretical capacity, energy densit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y have not yet overcome a fading phenomenon due to the dissolving of the polysulfide. In this study, we intend to fabricate a battery using sulfur, a higher energy density than the other bipolar materials, as an improved secondary cell electrode material. The aim of the study is to improve battery performance with an optimal ratio of the cathode components; such as sulfur of active material and Super P of an electronic condu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