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한 산란

검색결과 522건 처리시간 0.024초

잣나무를 식해하는 한국미기록종 넓적잎벌(막혈목, 광요아목) 에 관한 연구(II)-생활사 (Studies on a Korean Unrecorded Pamphilid -sawfly (hymenoptera, Symphyta ) Feeding on Korean Pine(II) -The life history)

  • 이덕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1-29
    • /
    • 1962
  • 본논문은 경기도광릉시험장에서 잣나물을 식해하는 잣나무넓적잎벌의 생활사를 1958-1961년에 조사연구한 것을 보고하는 것이다. 본충의 생활사에 대한 연구는 동양에서 아직 보고된 바 없다. 1) 광릉에서는 6월중순부터 7월 하순에 걸쳐서 성충이 출현한다. 생활기간은 성충이 5(웅)-6(자)일, 란이 약 6일, 유충이 약 23일, 전용이 약 10.5개월, 용이 약 8일이다. 2) 산란은 신생침엽의 내측에 행하고, 1자충의 산란수는 38립가량되고, 일란을 산촌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3분간이다. 3) 유충은 5령을 경과한다. 유충은 토사에 의하여 침엽을 얽어서 집을 만든다. 이 소내에 보통 1마리의 유충이 서식한다. 4) 유충의 식초는 한국에 있어서는 잣나무뿐이다.

  • PDF

동지나해의 초음파 산란층에 관한 연구 ( 1 ) ( Acoustic Scattering Layers in the East China Sea ( 1 ) )

  • 이대재;신형일;박중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1호
    • /
    • pp.14-19
    • /
    • 1990
  • 동지나해의 초음파산란층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서, 산란층의 주야간에 대한 수직이동상태와 Echo 신호의 변동특성에 관하여 검토한 결과, 수심 20m~80m에 형성된 상\ulcorner하한의 수온차가 약 11$^{\circ}C$인 수온약층부에서 일몰 전에는 산란층의 Echo 신호가 뚜렷하지 않았으나, 일몰 후부터 수심 35m~45m 구간에서 산란층이 강하게 나타내기 시작하여, 시간이 경과할수록 수직적으로 신장되면서 표층을 향해 점차 부상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일출 전에 초음파산란층의 상부는 수온약층의 상부까지 부상하였고, 또 전 수심에서 상당히 강한 Echo 신호가 돌발적으로 출현하는 현상이 확인되었으며, 이것은 저층에 분포하고 있던 어군이 부상하여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일출 후에는 산란층이 급속히 하강함과 동시에 Echo level도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그 하강속도는 일몰 후 산란층의 부상속도에 비해 현저하게 빠른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일출전후 약 30분간에 가장 강한 Echo 신호가 관측되었다. 또 Echo 신호의 진폭빈도분포는 일몰전에는 전 수층에 걸쳐 Echo level이 매우 낮으므로 낮은 level에 많이 집중되는 지수분포형을 나타내고, 일출전후에는 Echo 신호가 높은 level에 많이 집중되는 정규분포형을 나타내었다.

  • PDF

PET/CT 검사에서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의 산란제한보정법 적용 영상 평가 (Correction of Artifacts due to Patient Arm Motion in PET/CT: Scatter-Limit Correction)

  • 반영각;이승재;김정열;오신현;남궁혁;박훈희;강천구;임한상;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6권2호
    • /
    • pp.44-48
    • /
    • 2012
  • PET/CT 검사에서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영상에서 냉소 인공물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Discovery 600 PET/CT 장비의 산란제한보정법을 이용하여 영상을 평가하고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냉소 인공물의 개선을 연구했다. Discovery 600 PET/CT 장비로 산란보정법과 산란제한보정법의 방사능 섭취와 표준섭취계수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1994 NEMA Phantom$^{TM}$을 사용하였다. 또한 움직임에 의한 인공물을 재현하여 산란제한보정법을 적용한 방사능의 섭취 차이와 표준섭취계수의 차이를 비교 평가하였다. 산란제한보정법은 산란보정법과의 방사능 섭취, 표준섭취계수의 평가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그리고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PET/CT 영상에서의 산란보정법을 적용한 영상은 방사능 섭취가 최대 3.1 kBq/ml에서 0.04 kBq/ml로 약 98.7% 과소평가되었다. 그러나, 산란제한보정법을 적용한 영상은 방사능 섭취가 최대 3.0 kBq/ml에서 2.11 kBq/ml로 약 30%만 과소평가되었다. 표준섭취계수는 1.05에서 0.006으로 약 98% 과소평가 되었으나, 산란제한보정법을 적용 후 0.67로 측정되어 약 25%만 과소평가되었다. 방사능의 섭취와 표준섭취계수에서 산란제한보정법은 산란보정법에 비해 약 60% 이상 개선 효과가 있었다. PET/CT 검사 시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냉소 인공물이 발생한 환자에서 산란제한보정법을 적용한다면, 정확한 진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갈색여치(Paratlanticus ussuriensis)의 산란 특성 (Ovi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iensis (Orthoptera: Tettigoniidae))

  • 방혜선;나영은;한민수;김명현;노기안;이정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4-278
    • /
    • 2008
  • 최근 과수에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는 갈색여치의 대발생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갈색여치의 산란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갈색여치는 실내실험에서 7월 초순부터 9월 초순까지 산란을 하며, 암컷 한 마리당 평균 145개의 알을 산란하였다. 일생 동안 산란하는 산란양의 54%를 산란 초기 2주 이내에 산란하였다. 평균 산란 깊이는 19.4 mm이었으며, 알의 크기는 산란 직후 장경이 약 5.7 mm, 단경이 2.0 mm이었다. 그러나 부화 직전의 알은 산란 직후 알 무게의 약 2배가량 증가하였다. 산란 배지 선호실험에서는 밭토양> 오아시스폼$^{(R)}$> 버미큘라이트 순으로 높은 산란 양을 보였다. 야외에서 산란장소는 성충이 서식한 과수원이 아닌, 수분이 유지되는 인근 야산 골짜기로 관찰되어, 겨울 동안의 토양온도와 습도가 알로 월동하는 갈색여치의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추정된다.

ATW(Automatic Tracking Window)를 이용한 radar 산란점 추정 성능 개선 (A IMproved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Radar Back Scattering using ATW(Automatic Tracking Window))

  • 임준석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1호
    • /
    • pp.209-212
    • /
    • 1998
  • 소나나 레이다분야에서 목표물로부터 오는 신호의 산란점을 추정하는 것은 추정한 산란점 특성을 분석하여 목표물을 식별하기 위해서 연구되어 오고 있다.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모델링에 의한 산란점 추정을 보면 많은 경우 Prony 모델에 근거하여 추정하고 있다. Prony 모델을 레이다나 소나에 적용할 때에 몇 가지 단점을 갖고 있다. 그 첫째는 Prony모델이 잡음에 약하다는 점이고 둘째는 Prony모델이 모델차수에 대한 사전정보를 요구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 든 단점중에서 잡음에 취약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입력 신호 성분만을 자동 추적하는 창함수(Automatic Tracking Window)를 전처리기로 사용한 Prony 산란점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또 그 성능을 기존 Prony방법만을 사용한 산란점 추정방법과 비교하여 잡음에 대한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Raman Study of Individual InGaAs Nanowires

  • 김한울;노희석;이은혜;배민환;송진동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3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370-370
    • /
    • 2012
  • 성장 길이 방향으로 조성비가 점차 바뀌는 InxGa1-xAs 나노와이어에 대한 라만 산란 연구 결과를 보고한다. Si 기판 위에 Au 입자를 뿌린 후에 이를 촉매로 하여 molecular beam epitaxy 방법을 이용하여 InGaAs 나노와이어를 성장시켰다. 투과전자현미경 실험 결과에 의하면 InGaAs 나노와이어의 길이는 약 $3{\sim}5{\mu}m$, 두께는 약 20~50 nm 정도였다. 성장 길이 방향으로 조성비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서 나노와이어에 대한 공간 분해된 라만 산란 실험을 수행 하였다. 실험 결과 나노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InAs-like transverse optical (TO) phonon 에너지와 GaAs-like TO phonon 에너지의 변화가 있었으며 이를 통해 성장 길이 방향으로 In과 Ga의 조성비의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각의 광학 포논 에너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성비의 변화에 대한 정량적인 수치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수익향상을 위한 사양관리 시리즈(2) -햇닭의 체중과 산란율

  • 하낙순
    • 월간양계
    • /
    • 제7권4호통권66호
    • /
    • pp.46-48
    • /
    • 1975
  • 매일 1$\%$의 알을 더 낳는다면 년간 수입은 얼마나 더 증가 하겠읍니까? 평균수수 1,000수만으로도 년간 약 10만원이 예상됩니다. (1,000수$\times$1$\%$$\times$365일=3,650개$\times$22원=80,300) 지금 여러분은 몇수의 산란계를 사육하고 계십니까?

  • PDF

육계농장의 질병 해결과 생산성 향상

  • 김종택
    • 월간양계
    • /
    • 제25권11호통권289호
    • /
    • pp.136-141
    • /
    • 1993
  • 산란계나 종계의 육추, 육성, 성계기에 있어 체중이 낮은 병아리는 계군 전체의 평균체중을 끌어내릴 뿐 아니라 체력이 약하여 육성율, 생존율, 산란율을 저하시키는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육계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어 육계 농장에서의 질병과 관리 및 이에 따른 경제성 개선에 관한 내용을 실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 PDF

산란계 질병명과 예방$\cdot$치료

  • 대한양계협회
    • 월간양계
    • /
    • 제4권3호통권29호
    • /
    • pp.92-97
    • /
    • 1972
  • B.S.Pomeroy 박사의 산란계 질병에 대한 예방과 치료약품을 소개함과 아울러 현재 국내에서 발생되는 질병명 및 시판되는 약약품등을 필자의 편의대로 설명하였다. 국내에서 발병되는 질병명은 한국가금협회 산란계 능력검정시(1971.8.1$\~$1972.1.31)안양 가축위생연구소에 의뢰한 가검물의 진단을 참고로 한 것인데 요약하면 CRD, 마렉병, 곰팡이성폐렴, 살모넬라 균증, 류코싸이토준증, 임파구성백혈병, 지방과자등, 대장균증, 뇨산침착증, 간파열증, 장염, 비특이성장염, 혈종, 탈홍등이다.

  • PDF

쌍별귀뚜라미, Gryllus bimaculatus (Orthoptera: Gryllidae)의 사육밀도가 섭식량, 성충사망률 및 부화 약충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ring density on food consumption, adult mortality and mean number of hatchlings of Gryllus bimaculatus (Orthoptera: Gryllidae))

  • 박영규;이형근;최영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89-94
    • /
    • 2013
  • 쌍별귀뚜라미의 먹이 섭식량, 부화기간, 성충사망률, 사육밀도 및 성비에 따른 부화 약충수와 산란경향을 실내사육실($25{\pm}5^{\circ}C$, $60{\pm}10%$RH)에서 조사하였다. 사육중인 성충의 사육밀도가 50 ~ 400 개체로 증가할 때 사육밀도에 관계없이 하루에 $0.067{\pm}0.008g$의 사료를 섭식하였고 무는 0.128 ~ 0.068 g을 섭식하여 밀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산란된 알은 부화시작 후 6일차까지 95.8%가 부화하였다. 평균 사망률은 사육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일차함수로 증가하여 8주차에 93.9%가 사망하였다. 암컷 100개체의 사육밀도일 때 암컷 한 개체당 총 부화 약충수는 $248.8{\pm}17.8$ ($mean{\pm}SD$) 개체로 200 개체일 때의 $172.2{\pm}10.6$ ($mean{\pm}SD$) 개체보다 많았다. 암컷과 수컷의 성비는 부화약충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란 시작후 일차별로 산란수의 증감이 반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3주차까지 총 산란수의 81.5%를 산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