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제내성

Search Result 34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ulfonylurea 및 imidazolinone계 제초제(除草劑)의 살초작용(殺草作用)과 acetolactate synthase 활성(活性) 억제작용(抑制作用) (Acetolactate Synthase Activity Inhibition and Herbicidal Activity of Sulfonylurea and Imidazolinone Herbicides)

  • 황인택;홍경식;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4-62
    • /
    • 1995
  • 분지 아미노산 생합성 효소인 ALS의 활성(活性)을 억제하는 sulfonylurea계 2약제 및 imidazolinone계 2약제를 대상으로 32초종에 대한 약제별 살초(殺草) 반응성 및 옥수수, 밀, 콩의 ALS 활성(活性) 억제 반응성을 통하여 ALS 활성(活性) 억제작용(抑制作用)과 살초작용(殺草作用)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1. Sulfonylurea계의 2가지 제초제(除草劑)들의 살초(殺草)스펙트럼은 적은 처리량에서도 매우 넓었으며, 내성(耐性)을 보였던 식물은 발아전 토양처리에서 밀, 보리, 개밀, 메귀리 등이었고, 발아 후 경엽처리에서 밀, 보리, 까마중, 왕바랭이, 개밀, 미국개가장, 메귀리 등이었다. 2. Imidazolinone계 2종의 제초제(除草劑)들에 대하여 내성(耐性)을 보였던 식물은 발아 전 처리에서 콩, 자귀풀, 도깨비바늘, 메귀리, 개밀 등이었고, 발아후 처리에서 콩, 자귀풀, 크로바 등으로 두과식물이었다. 3. Sulfonylurea 및 imidazolinone계 제초제(除草劑)들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감수성(感受性)인 식물은 옥수수와 수수, sulfonylurea계에 감수성(感受性)을 보이면서 imidazolinone계에 내성(耐性)을 보였던 식물은 콩, 크로바, 자귀풀 등 두과식물이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sulfonylurea계에 내성(耐性)을 보이면서 imidazolinone계에 감수성(感受性)을 보였던 식물은 밀과 보리, 공통적으로 내성(耐性)을 보였던 식물은 개밀등 이었다. 4. Sulfonylurea계 약제에 대하여 온실 실험에 서 얻은 초종별 $GI_{50}$ 값과 각 초종으로부터 추출한 ALS 활성(活性) 억제 $IC_{50}$ 값은 경향이 일치하지 않았다. 5. Imidazolinone계 약제에 대하여 온실 실험에서 얻은 초종별 $GI_{50}$ 값과 각 초종으로부터 추출한 ALS 활성(活性) 억제 $IC_{50}$ 값은 경향이 유사(類似)하였다.

  • PDF

식물병원성세균의 약제저항성에 관한 연구 III. 벼 흰빛잎마름병균에 있어서 Streptomycin 내성균주의 몇 가지 변이 (Studies on the Chemical Resistance of Phytopathogenic Bacteria III. Some Variations on the Streptomycin Resistant Isolates of the Rice Bacterial Leaf Blight Pathogen, Xanthomonas oryzae(Uyeda et Ishiyama) Dowson)

  • 조원철;심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5-239
    • /
    • 1977
  • 선발에 의하여 얻은 벼 흰빛잎마름병균 Xanthomonas oryzae의 Streptomycin 내성균에 대하여 병원성, 배지내에서의 생장량 및 자외선 감수성에 대한 변이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M 내성균은 Wase-Aikoku-3, Rant Emas-2 황옥 및 Kimmase의 4개 판별품종에 대한 병원성 비교에서 75-6의 내성균주가 황옥에 대하여 감수성 반응이 모균과 달리 중정도의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2) SM-내성균은 정상배지에서 모균보다 약간 높은 생장량을 보였고 100ug/ml Agrepto 첨가 배지에서는 접종후 60시간까지 생장이 조지되었으나 70시간 이후에는 모균의 생장량을 능가하였다. (3) SM-내성균은 254mu 파장의 자외선 조사에서 모균과 동일한 감수성을 나타내어 내성인자는 안정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1977년(年) 대구(大邱)에서 분리(分離)한 Salmonella 및 Shigella의 항균제(抗菌劑) 감수성(感受性)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almonella and Shigella Isolated in Taegu Area in 1977)

  • 박문재;전도기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1-36
    • /
    • 1978
  • 1977년(年) 대구지방(大邱地方)에서 분리(分離)한 20주(株)의 Salmonella paratyphi A, 55주(株)의 S. typhi, 7주(株)의 Shigella flexneri, 14주(株)의 Sh. sonnei에 대(對)하여 항균제감수성(抗菌劑感受性)을 실험(實驗)하였다. S. paratyphi A는 전부(全部)가 salfisomidine(Sa)에 내성(耐性)이었으나 기타공시약제(其他供試藥劑)에는 전부(全部)가 감수성(感受性)이었고 특(特)히 gentamicin, amikacin, kanamycin에 감수성(感受性)이 강(强)하였다. S. typhi는 1주(株)가 chloramphenical(Cm), tetracycline(Tc), streptomycin(Sm) 및 Sa에 내성(耐性)이었고 R(Cm Tc Sm Sa)를 보유(保有)하고 있었으나 기타(其他) 균주(菌株)는 모든 약제(藥劑)에 감수성(感受性)이었고 특(特)히 ampiallin에 감수성(感受性)이 강(强)하였다. Shigella는 1주(株)를 제외(除外)한 20주(株)가 Cm, Tc, Sm 및 Sa에 고도내성(高度耐性)이었으며 기중(其中) 19주(株)가 plasmid R(Cm Tc Sm Sa)를 보유(保有)하고 있었다.

  • PDF

국내 말에서 분리된 Staphylococcus aureus의 특성 및 약제 내성 양상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Horse)

  • 최성균;조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9-74
    • /
    • 2008
  • 국내에서 사육중인 말에서 채취한 시료로부터 Stapylococcus aureus를 분리 동정한 결과 39.2%(58/148)의 분리율을 나타내었다. S. aureus의 혈장응고효소 생산능 시험에서는 98.3%가 양성반응을 나타내었고 신선 혈장의 희석농도는 1:2에서 가장 높은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최종 동정된 S. aureus의 기본적인 생화학 성상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S. aureus의 특성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urease test의 경우 전체 균주의 73% 만이 양성 결과를 나타내어 균주별로 다양한 반응 양상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34종의 substrate에 대한 분해 양상에 대한 검사 결과 fructose, maltose, ${\alpha}$-hydroxy butyric acid, thymidine-5'-mono phosphate, uridine-5'-mono phosphate 등의 substrate에 대해서는 모든 균주가 이용능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ribose, sorbitol, xylose, xylitol 등의 substrate에 대해서는 모든 균주가 기질 이용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PCR에 의한 S. aureus를 동정한 결과 108bp 크기의 band를 확인하였다. 국내 말에서 분리한 58주의 S. aureus에 대한 약제 내성 양상을 조사한 결과 spectinomycin, sulfonamides, erythromycin, tetracyclin, ciprofloxacin, neomycin, enofloxacin, penicillin 등의 약제에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Pharmacogenomics in Cancer Research

  • 라선영
    • 한국생물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2006년도 Principles and Practice of Microarray for Biomedical Researchers
    • /
    • pp.91-96
    • /
    • 2006
  • 현대의학의 발전으로 많은 질병들의 치료율이 개선되고 있으나, 암은 여전히 낮은 치료율과 약제 내성 및 부작용으로 많은 환자들이 의학적 고통 뿐 아니라 정신적, 경제적 문제점들을 호소하고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은 동일한 병리학적 특성을 가지는 종양이라도 사람마다 그 생물학적 특성이 다르며, 동일한 환자안에서도 종양의 시기에 따라 다양한 특성의 세포들이 공존하며 다양한 문제를 발생하는 tumor heterogeneity에서 기인하게된다. 다행히 최근의 분자생물학의 발전과 인간유전체연구들의 활성화로 이와같은 다양한 암의 특성과 환자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연구 방법들의 개발로 환자의 특성에 맞는 항암제를 효율적으로 투여하는 맞춤치료를 향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와같은 맞춤치료의 일환으로 약제의 환자에서의 반응과 부작용을 예측하고자 최신의 high-throughput 기법을 도입한 것이 Pharmacogenomics이다. 즉, 지금까지의 항암치료는 암의 종류에 따라 임상연구 결과에 근거한 항암제를 선택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것처럼 암의 특성과 환자 반응의 다양화로 실제 항암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많은 수의 환자들이 치료에 내성을 보일 뿐 아니라 치명적인 부작용으로 새로운 문제에 대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각 항암제011 최대의 효과를 보이며 최소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최선의 치료책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 암환자의 치료 단계에서 정확한 진단 및 병기 설정, 생물학적 특성 이해 뿐 아니라,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생물학적 표지자를 찾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로 현재 임상에 사용되는 몇 가지 종양표지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전자 칩들이 연구단계에 있다. 특히 다양한 생물학적 현상이 많은 유전자들의 변화에 의한다는 근거하여 약제의 효과와 부작용을 예측할 수 있는 표지자 발굴도 DNA chip 등의 high-throughput technology를 사용하여 그 특이도와 민감도가 향상된 표지자 발굴이 시도되고 있다. 아직은 시작단계이고 많은 검증이 필요하나 여러 가지 가능성의 증거들로 멀지않은 시기에 맞춤치료가 가능하리라 기대하며, 암 연구에 있어서 pharmacogenomics의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한국에서 분리된 리팜핀 내성 균주에서의 리파부틴 감수성 정도 및 관련 rpoB 유전자 돌연변이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Proportion of Rifabutin-susceptible Strains among Rifampicin-resistant Isolates and Its Specific rpoB Mutations)

  • 류우진;박영길;김희진;장철훈;배길한;김성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3호
    • /
    • pp.257-265
    • /
    • 2005
  • 연구 배경 : 리팜핀 내성 균주에서 리파부틴 약제의 교차 내성정도와 리팜핀 내성-리파부틴 감수성 결핵균의 rpoB 유전자 돌연변이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감수성검사에서 리팜핀에 내성인 균주를 선정하여 리파부틴 농도 $0-80{\mu}g/ml$ 농도로 재접종하여 감수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리팜핀-내성균주 모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리파부틴 감수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역교잡 방법으로 리파부틴 감수성균을 구별하였다. 연구 결과 :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리팜핀 내성인 201균주 중에서 41균주(20.4%)는 리파부틴에 감수성을 보였다. 리파부틴 감수성을 보이는 rpoB 유전자 돌연변이는 Leu511Pro, Ser512Arg, Gln513Glu, Asp516Ala, Asp516Gly, Asp516Val, Asp516Tyr, Ser522Leu, His526Asn, His526Leu, His526Cys, Arg529Pro, Leu533Pro 등 이었다. 역교잡 방법을 이용하였을 경우 rpoB 돌연변이를 가진 균주 중에서 리파부틴 감수성균의 민감도는 92.5%이었고, 특이도는 96.1%이었다. 결 론 : 리팜핀 내성균이라도 약 20.4% (95% 신뢰구간: 14.8% to 26.0%)가 리파부틴 약제에 감수성이므로, 우리나라의 다제내성 결핵환자의 치료에서도 리파부틴이 중요한 약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향후 다제내성 결핵 환자에서의 리파부틴의 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가 필요하다.

국소 병변의 다제 내성 폐결핵 환자에서 폐절제술의 역할 (The Role of Resectional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Localized Multi-drug Resistant Pulmonary Tuberculosis)

  • 안창혁;안종운;강경우;강수정;임영희;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이종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6호
    • /
    • pp.676-683
    • /
    • 2000
  • 배경 : 다제 내성 폐결핵은 적극적인 내과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높은 치료 실패율을 보이므로 최근 보조적 치료 수단으로 폐절제술이 다시 등장하여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폐절제술에 대한 적응증이 아직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본원에서 폐절제술을 시행 받은 다제 내성 폐결핵 환자들의 치료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적응증의 정립에 지표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6년 5월부터 2000년 2월까지 INH와 RFP에 동시 내성을 보이는 다제 내성 폐결핵 환자 중 폐결핵 자체에 대한 보조적 치료로써 폐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여 진료 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 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남자 5명, 여자 8명으로 연령은 $37.5{\pm}12.4$세 (24~63세)였다. $2.4{\pm}0.8$ 회의 화학치료 과거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술 전에 내성 약제수는 $5.2{\pm}1.9$제, 감수성 약제수는 $5.4{\pm}1.5$제였다. 다제 내성 결핵을 진단 받고 수술까지의 기간은 $109.7{\pm}132.0$개월이 본원에서 재치료 받은 후 $10.5{\pm}8.8$ 개월이었다. 대부분의 환자 (92.3%)에서 주병변에 공동을 동반하고 있었으며, 수술 전 $FEV_1$$2.37{\pm}0.83$ ml 였다. 늑막폐정제술은 2명에서, 폐엽절제술은 분엽절제술이나 설상절제를 포함하여 11명에서 시행 받았다. 수술 후 한 환자 (7.7%)에서 폐렴이 발생하였고, 사망은 없었다. 균음전은 수술 후 $41.5{\pm}58.9$ 일만에 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후 $5.1{\pm}0.8$ 제의 약제를 약 24개월까지 투여 받았는데, 한 환자(7.7%)에서 수술 32개월 만에 재발 하였다. 결론 : 주병변이 국한되어 있는 다제 내성 폐결핵 환자는 내과적 재치료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보조적인 치료로써의 폐절제술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Isoniazid 내성 폐결핵의 치료실태와 치료성적 (Treatment of Isoniazid-Resistant Pulmonary Tuberculosis)

  • 고원중;권오정;유창민;전경만;김경찬;이병훈;황정혜;강은해;서지영;정만표;김호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3호
    • /
    • pp.248-260
    • /
    • 2004
  • 연구배경 : INH 내성률은 국내 초치료 폐결핵 환자의 10%, 재치료 환자의 20%에 달하지만 아직까지 국내 치료지침이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INH 내성폐결핵의 치료실태와 치료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4년 10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객담에서 배양된 결핵균에 대해 약제감수성검사를 시행하여 다제내성을 제외한 INH 내성이 확인된 69명의 폐결핵 환자 중 6개월 이상 치료를 시행한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획득내성이 28명(46.7%), 객담도말양성이 44명(73.3%), 공동이 30명(50.0%)에서 관찰되었다. INH가 처방된 50명 중 INH 내성이 확인된 후 INH를 제외한 환자는 7명(14.0%)이었다. 치료약제와 치료기간은 다양하였으며, RIF, EMB, PZA를 12개월간 사용한 경우가 11명(18.3%)으로 가장 많았다. 치료결과는 완치 27명(45.0%), 균음전을 확인하지 못한 치료종결이 20명(33.3%)으로 치료성공이 47명(78.3%), 치료실패가 13명(21.7%)이었다. 공동이 있는 경우(p=0.005)와 RIF이 포함되지 않고 2차 약제만으로 치료처방을 구성한 경우(p=0.015)에 치료실패율이 높았다. 한 명의 환자에서 재발이 관찰되었다. 결 론 : INH 내성 폐결핵의 치료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표준화된 국내 치료지침의 제정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항균성제제(抗菌性製劑) 선택(選擇)에 있어 내성검사요령(耐性檢査要領)의 임상적응용(臨床的應用) (Technique of Drug Resistance Test of Clinical Value for the Selection of Antibacterial Agents)

  • 김교준;이헌준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193-199
    • /
    • 1983
  • 대전근교(大田近郊)의 목장(牧場)에서 자유중인 유우(乳牛)를 대상(對象)으로 CMT법(法)에 의하여 유방염(乳房炎)으로 판정(判定)된 양성우(陽性牛)의 유즙(乳汁)으로부터 분리(分離)한 Staphylococcus aureus를 공시(供試)하여 유방염치료(乳房淡治療)에 있어 보다 개선(改善)된 방법(方法)을 모색(模索)하기 위하여 시판(市販)되고 있는 복합처방(複合處方)된 항균제(抗菌劑)를 선택(選擇)하여 내성시험법(耐性試驗法)을 개발(開發)할 목적(目的)으로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한다. 1. 치료용(治療用) 항균제(抗菌劑)를 계속(繼續) 반복(反復)하여 사용(使用)하게되면 차등(差等)있는 내성(耐性)을 나타내었다. 2. Rifamastene, Neo-cillin은 다같이 4회(回)까지 Abimasten-100, Neo-Masti, Special formula, Mastalone은 6회(回)까지 약(弱)한 내성(耐性)을 나타내었다. 3. Tardomyocel-L는 6회(回)까지 내성(耐性)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4. 내성시험(耐性試驗)을 거처 선택(選擇)된 약제(藥齊)를 3일간격(日間隔)으로 교체사용(交替使用)할 것을 권장한다.

  • PDF

국내유통 축산물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 오염도 및 항생제 감수성 조사 (A Survey of Staphylococcus aureus Contamination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in Retail Meat)

  • 양정임;이선민;이길;이환주;김민규;정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28-533
    • /
    • 2008
  • 국내 유통 중인 우육 및 돈육을 대상으로 S. aureus의 오염실태와 검출된 S. aureus 대한 항생제 감수성조사 및 내성 plasmid 전달빈도를 조사하였다. 총 421개 축산물 시료의 20.2%에서 S. aureus가 검출되었으며, 품목별로는 돈육 13.9%, 우육 33.8%의 검출률을 보였다. 가공 전 원료육이 포장육에 비해 S. aureus의 검출률이 높았는데, 돈육에서는 원료육 23.3%, 포장육 7.1%였고, 우육에서는 각각 48.6% 및 28.1%였다. 항생제 감수성 시험결과 ampicillin(76.5%), penicllin(75.3%), tertracycline(27.1%) 및 erythromycin (21.1%) 순으로 높은 내성률을 보였다. 특히 우육에서는 penicillin의 내성이 55.6%인 반면 돈육에서는 97.5%로 돈육에서 1.6배 이상의 높은 내성률을 보였고, tetracycline의 경우 우육에서 13.3%의 내성을 보인 반면, 돈육에서는 42.5%로 3배 이상의 내성률을 보였다. 8가지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균도 검출되었으며, 약제내성과 관련된 Rplasmid의 특성시험에서 혼합배양에서는 내성이 전달되지 않았고, filter mating법에서 tetracycline내성 plasmid가 $1.1{\times}10^{-5}{\sim}1.9{\times}10^{-9}$의 빈도로, erythromycin 내성 plasmid가 $1.2{\times}10^{-5}{\sim}4.0{\times}10^{-8}$ 빈도로 내성이 전달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항생제투입의 정량적인 규제나 법적인 제도장치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되며 앞으로 항생제 사용규제 및 대책마련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절실하다고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