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약물방출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5초

전기 반응으로 약물방출 제어를 위한 활성탄소섬유의 표면처리 및 카본블랙 첨가 효과 (The effects of carbon black addition in activated carbon fibers and surface treatment for controlled drug release in electro-responsive drug release system)

  • 김민일;박미선;이세현;이영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544-1544
    • /
    • 2015
  • 재료의 종류 및 특성에 따른 전기 반응 약물방출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압을 이용한 약물방출 시스템을 설계 하였으며 각각의 재료의 특성에 따른 약물방출 특성을 확인하였다. 약물방출은 활성탄소섬유에 친수성 관능기를 도입할 경우 방출되는 약물의 양이 37% 감소하였다. 한편 PVA에 카본블랙을 첨가하여 전도성을 향상 시킨 경우 11%의 약물만을 방출하던 PVA가 대부분의 약물(98%)을 방출하였다.

  • PDF

조절방출성 신제제를 위한 소프트하이드로겔의 개발

  • 이승진;구영순;김신정;김윤정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65-65
    • /
    • 1992
  • 소프트하이드로겔은 소재의 친수-소수성, 조성, 가교도, 약물의 물성에 의해 약물방출을 조절할 수 있었으며 또한 특이적인 전연성, 탄성에 의해 약물의 0차방출이 가능하였다. 메타크릴산-IPN-소프트하이드로겔은 현저하게 높은 PH의존성 팽윤도와 이에 따른 약물조절방출능을 보였으며 아크릴산-IPN-소프트하이드로겔은 우수한 점착성을 나타내었다. 이상 연구된 소프트하이드로겔들은 새로운 소재로서 개발대상으로 설정된 조절방출성 제제로의 활용성을 기대되었다.

  • PDF

조절방출성 약제를 위한 소프트 하이드로겔 소재의 개발

  • 이승진;구영순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96-196
    • /
    • 1994
  • DDS에 활용될 수 있는 고분자 소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물성 및 응용성이 우수한 고분자 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Ethylene oxide,propylene oxide 각각의 copolymer인 poloxamer등의 prepolymer들을 triisocyanate로 가교시키고 diisocyanate 로 chain이 연장된 "soft hydrogel"을 제조하였다. 모델 약물을 선정하여 crosslinker와 extender의 조절에 따른 hydrogel의 약물 방출 조절능을 조사하였으며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교부위에 urethane bond를 함유한 soft hydtogel은 건조상태에서도 고무와 같은 전연성을 보여 일반적인 hydrogel과 대비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활용성이 기대되었다. Extender및 crosslinker의 비율에 따라서 이 rubber elasticity가 조절되었다. 가교도가 감소할수록 팽윤도가 상승하였고 이에 따른 약물방출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Prepolymer의 분자량 및 친수/소수성등의 물성에 따라 약물방출을 조절할 수 있었다. 제조된 hydrogel에 조절방출시 필요한 기능을 부가시키고자 poly(carylic acid)류와 IPN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물성을 조사하였고 비이온성/양이온성/음이온성 모델약물을 선정하여 pH에 따른 가변적 팽윤도와 이온성 상호작용등에 근거한 약물 조절방출기전을 조사하였다.기전을 조사하였다.

  • PDF

Poly(DL-lactide)로 피막된 키토산 유도체 매트릭스에서의 약물방출 (Drug Release by Poly(DL-lactide) Coated Chitosan Derivatives Matrices)

  • 차월석;나재운이동병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461-467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약물 전달체(키토산, 키토산.엽, 술폰화키토산)에 prednisolone을 분산시켜 제조한 고분자 매트릭스를 poly (DL-lactide)로 피막을 형성시킨 후 pH 1.2와 pH 7.4 인산염 완충용액에서 약물 방출실험을 하였다. 약물 방출시간은 pH 1.2에서 보다 pH 7.4에서 더 지연되였으며 약물 전달체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물의 방출시간도 지연되었다. 피막된 고분자 매트릭스의 종류에 따라 지연된 약물의 방출시간은 키토산의 경우가 가장 길었으 며, 술폰화키토산, 키토산.염의 순셔였다. Monolith IC 고분자 매트릭스에 비해 2배 정도의 약물의 방출 지연성을 보인 피막된 monolithic 고분자 매트럭스 가 방출조절형 제제로서 더 바람직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제형들은 초기 급격한 약물 방출속도의 변화를 억 제 하는 sustained release pattern 제 제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알긴산 나트륨의 코팅이 삼투정 펠렛의 약물방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dium Alginate of Osmotic Pellet on Drug Release)

  • 윤주용;구정;이수영;김문석;이봉;강길선;이해방
    • 폴리머
    • /
    • 제32권2호
    • /
    • pp.103-108
    • /
    • 2008
  • 삼투정 펠렛은 경구를 통한 약물전달 시스템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삼투정 펠렛은 수팽윤성 시드층과 모델약물인 니페디핀을 포함하는 약물층 그리고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는 반투막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모델약물인 니페디핀을 포함한 삼투정 펠렛을 제조하고, 반투막층으로 사용되는 초산셀룰로오스(CA)와 Eudragit RS의 코팅두께에 따른 약물방출 거동과 알긴산 나트륨과 알긴산 나트륨의 가교가 삼투정 펠렛의 약물방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모델약물인 니페디핀을 포함한 삼투정 펠렛의 제조는 유동층코팅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비교적 높은 코팅 수율로 $1500{\sim}1700{\mu}m$ 내외의 펠렛이 제조됨을 SEM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펠렛의 반투막 층의 코팅두께에 따른 약물방출 거동을 보면 반투막의 코팅 두께가 증가할수록 약물의 방출이 지연됨을 확인하였다. 알긴산 나트륨을 반투막층 위에 코팅하였을 경우 인공위액(pH 1.2)에서는 약물방출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인공장액(pH 6.8)으로 교체한 후 약물방출이 서서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알긴산 나트륨을 염화칼슘을 이용하여 가교시켰을 경우 약물의 방출이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삼투정 펠렛의 약물방출은 반투막충의 코팅두께에 영향을 받으며, 알긴산 나트륨이 삼투정 펠렛의 약물방출에 영향을 끼침을 확인하였다.

Poly(DL-lactide)로 피막된 고분자 매트릭스로부터 약물 방출 조절 I. pH 1.2 염산 용액에서 피막물질이 약물방출에 미치는 영향 (Control of Drug Release from Polymeric Matrices Coated with Poly(DL-lactide) I. Effect of Coasting Substance on the Drug Release in pH 1.2 Hydrochloride Solution)

  • 나재운;박영훈
    • KSBB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97-302
    • /
    • 1999
  • Poly(DL-lactide)로 피막된 고분자 매트릭스를 약물전달시스템에 이용하기 위해 키토산, 키토산 염산염 및 술폰화 키토산으로 제조되었다. 모델 약물로 프레드니솔론을 사용하는 본 약물방출에 관한 연구는 pH 1.2 염산 용액에서 실험을 하였다. 약물 방출 속도는 고분자 매트릭스의 함유량이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다. 피막된 고분자 매트릭스의 종류에 따라 지연된 약물의 방출시간은 키토산의 경우가 가장 길었으며, 술폰화 키토산, 키토산 염산염의 순서였다. DL-PLA로 피막된 고분자 매트릭스가 피막되지 않는 고분자 매트릭스 보다 약물 방출시간이 2배 정도의 지연되었을 뿐만 아니라 초기에 약물 과잉방출 현상도 작아 피막된 경우가 방출 조절형 제재로서 더 바람직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DL-PLA로 피막된 고분자 매트릭스는 장시간의 약물 방출을 위한 약물전달체로써의 응용이 기대된다.

  • PDF

다중 전극에 전기 중합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선택적 약물방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controlled drug release using conductive polymer electrochemically polymerized on multi-electrodes)

  • 송태은;장종현;손지회;양상식;박정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278-280
    • /
    • 2004
  • 본 논문의 내용은 다중전극에 전기 중합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약물을 결합한 후 전압 인가에 의한 선택적인 약물방출을 구현하는 것이다. Glass wafer에 anode와 cathode 전극을 제작하고 4개의 anode 전극면에 각각 전기중합으로 전도성 고분자막을 합성하였다. 양이온성 약물인 lidocaine을 결합할 수 있도록 피롤과 함께 도펀트로써 분자량이 큰 DBS를 사용하였으며 고분자막의 이온출입원리를 이용하여 약물을 결합하고 방출하였다. Cyclic voltammogram로부터 PPy(DBS) Polypyrrole (dodecylbenzene sulfonate) 전극의 산화 환원특성 및 전극면에 PPy(DBS) 막이 생성되기 위한 조건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PPy(DBS)막을 3전극 시스템과 Coulometry를 이용하여 전압을 인가하여 합성하였고, 합성전하량으로 부터 PPy(DBS)막의 두께를 알 수 있었다. Lidocaine의 결합 및 방출 시에도 정전압을 이용하였으며 약물의 방출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UV spectrometer를 사용하였다. 다중전극에 PPy(DBS)막을 1.5um 두께로 합성한 후 lidocaine을 결합시키고 선택적으로 약물을 방출한 결과 각각의 PPy(DBS)막으로부터 $1.4{\sim}1.7mg$의 약물이 방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스텐트 코팅용 생분해성 고분자의 약물 방출 특성 (Drug Release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ble Polymers for Stent Coating)

  • 강혜수;김진설;김동운;강병철;이봉희;김범수
    • KSBB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07-110
    • /
    • 2003
  • 스텐트 재질인 stainless steel 표면에 모델 약물인 rose bengal을 포함한 생분해성 고분자 PLGA, PHB, MCL-PHA를 코팅하여 약물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PLGA의 농도가 낮을수록, rose bengal의 농도가 높을수록, dip-coating 시간이 길수록 약물방출이 증가하였으며, PHB > PLGA > MCL-PHA의 순서로 약물이 빨리 방출되었다. 이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농도 및 종류, 약물의 농도, dip-coating 시간 등을 변화시켜 약물방출을 조절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장기제어방출 투여 시스템의 개발(1) : Ethylene-vinyl acetate 막을 이용한 ethinyl estradiol의 경피흡수

  • 신상철;오인준;이용복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03-103
    • /
    • 1993
  • 목적: Estroge 결핍으로 나타나는 폐경기의 주요 증상을 경감 치료하기 위해, estrogen경구 투여시 위장장애, 위장에서의 대사, 간 초회효과, 자주 투여로 인한 환자의 불편 등의 단점이 있나,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투여경로의 하나로 피부를 통해 일정약물을 장기간 일정속도로 송달시키는 경피 흡수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EE)의 장기제어방출을 위해 ethylene vinyl acetate (EVA)를 사용하여 장기 제어방출 및 경피 흡수의 최적화 조건을 설정하여 경피흡수 시스템을 위한 막의 개방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VA 함량이 18-40%까지의 EVA를 사용하여 EE를 함유한 matrix를 casting 방법으로 제조하고 변형된 Keshary-Chien cell을 이용하여 방출실험을 실행하였다. 이때 방출에 미치는 여러 가지 인자로서 EVA 주의 VA함량, 막의 두께, receptor 중 PEG 400의 용량비율, 방출 매개체의 온도, loading 된 약물의 량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점개한 mouse skin에 대한 투과 실험을 행하고 이에 미치는 PEG 400과 자질층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결과: EE의 용해도는 saline so PEG 400의 용량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VA 함량이 증가될수록, PEG 400의 용량비율, 방출 매개체의 온도, loading 된 약물의 양이 증가될수록 PEG 400의 용량비율, 방출 매개체의 온도, loading 된 약물의 양이 증가될수록 EE의 방출속도와 부과속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투과속도는 막두께의 역수와 직선상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EVA matrix로부터 EE가 방출되는 양상은 diffusion-controlled model을 따랐으며 이때 단위면적당 방출된 총량은 T에 비례되었다. 절개한 mouse skin을 통한 EE의 permeation은 PEG 400의 첨가에 의해 상승되었다. 이와 같이 EVA 막이 EE의 부과 및 방출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아 경피 흡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약물방출 스텐트용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으로부터 파크리탁셀의 조절 방출 (Controlled Release of Paclitaxel from Biodegradable Polymer Films for Drug-Eluting Stents)

  • 김시은;이봉수;김진향;박귀덕;한동근
    • 폴리머
    • /
    • 제34권2호
    • /
    • pp.172-177
    • /
    • 2010
  • 최근 20년간 다양한 세포에서 파크리탁셀(PTX)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많이 있지만, 세포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약물방출 동역학에 관한 연구는 거의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물방출스텐트 (DES)에 적용하기 위해서 생분해성 고분자로부터 파크리탁셀의 방출거동을 고찰하였다. 다양한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lactic acid-co-glycolic acid) (PLGA), poly-L-lactide(PLLA) 및 polycaprolactone(PCL)에 파크리탁셀의 함유량을 달리하여 필름을 제조한 후 약물방출 거동을 평가하였다. 약물방출은 8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FE-SEM을 통해 고분자의 분해정도를 관찰하였다. PCL의 생분해 속도는 가장 느리지만 파크리탁셀의 함량이 같을 경우 PCL로부터의 파크리탁셀 방출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PLGA 그리고 PLLA 순서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PCL과 같이 유리전이온도($T_g$)가 낮은 고분자의 경우 체내에서 파크리탁셀과 같은 소수성 약물의 움직임이 용이하기 때문에 약물방출 속도가 빠를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