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물계산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학생의 약물용량계산능력과 정확도에 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n Ability and Accuracy in Drug Dose Calculations of Nursing Students)

  • 정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23-13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약물용량계산에서의 취약점을 찾기 위해 학생들의 자기기입식 일반적 사항과 약물계산수업 전 자신감(이하, 자신감), 수업수행도(이하, 수행도) 및 약물용량계산 시험지를 SPSS 19.0 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약물계산능력을 나타내는 서술식 두 문제의 평균 정답률은 72%였고, 단순계산능력은 성별 간 차이가 없었으나 응용계산능력과 계산정확도는 남학생이 유의하게 높았고, 고등학교계열별 계산능력에는 차이가 없었다. 자신감과 수행도 및 수행도와 계산정확도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신감의 수행도에 대한, 수행도의 계산정확도에 대한 설명력은 각각 4.2%와 3.2%였다. 1개 대학 간호학생 대상의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할 수는 없으나,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수학학습으로 수행도를 높이고 약물계산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킴으로써 계산정확도를 높여 투약오류예방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간호 학생의 약물 용량 계산과 자신감에 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Drug Dose Calculations and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45-51
    • /
    • 2017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 과정을 이수한 간호 학생의 약물용량 계산과 자신감의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동의서를 작성 후 설문지와 약물 용량계산시험지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으로 분석하였다. 약물 용량 계산평균점수는 10점 만점에 $7.46{\pm}1.97$점이었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며(t=3.64, p=.001), 자연계 출신이 실업계 출신보다 높았다(F=5.11, p=.007). 자신감 평균점수는 6점 만점에 $4.12{\pm}1.12$점이었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며(t=8.94, p=.001), 고등학교 계열별로는 자연계 출신이 인문계나 실업계 출신보다 높았다(F=6.28, p=.002). 약물 용량 계산과 자신감 간 중등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 .32, p=.001), 약물 용량 계산과 자신감 간 회귀분석에서 약물 용량 계산에 대한 자신감의 설명력은 10.2%로 나타났다(p=0.001).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 학생의 자신감을 강화시켜 약물 용량 계산의 정확성을 꾀할 필요를 시사한다.

졸업 예정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투약수행역량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on Perceived Medication Administration Competence in Senior Nursing Students)

  • 김정희;강경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215-224
    • /
    • 2019
  • 본 연구는 졸업예정 간호 학생들의 주관적 투약수행역량 수준을 확인하고, 제 특성들이 주관적 투약수행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함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졸업예정 간호대학생 총 128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까지이다. 본 연구의 측정변수는 약물용량계산 자기효능감, 약물계산 불안감, 주관적 투약수행역량이며, 자료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chi-square test,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회귀 분석결과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주관적 투약수행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약물계산자신감(${\beta}=.463$, p<.001), 임상실습 태도(${\beta}=.168$, p=.04)이었다. 임상실습태도가 적극적이고(B=7.002), 약물계산자신감이 높을 때(B=1.648) 주관적 투약수행역량이 높았으며 이들 변수들은 주관적 투약수행역량을 29.0%를 설명하였다(F=26.93, p<.001). 적극적인 임상실습 태도와 학생들의 약물계산에 대한 자신감은 간호학생들의 투약수행 역량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환자의 약물처방에 대한 정확성 확인, 처방된 약물용량의 재계산, 투약 후 환자반응 관찰 등 학생들의 투약수행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전략을 세우는데 활용될 수 있다.

항암제 KR 53170 및 관련 화합물의 in vivo 항암효과 연구

  • 정경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29-129
    • /
    • 1993
  • 현재 암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항암제들은 therapeutic index가 낮아서 면역 및 조혈기능 장애 등 해결 되어야 할 문제점 들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여구자는 우수하고 안전한 항암제를 개발하여 암의 치료에 이바지하고자, 화학연구소에서 in vitro 세로독성을 확인한 화합물에 대하여 in vivo 항암력을 실험, 치료효과가 높은 유도체/유사체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에 본 연구의 목표를 두고 있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화학연구소측이 제공한 KS 0409를 실험 약물로, sarcoma 180 복수암에 대한 in vivo 항암력을 실험하였다. 약 4주령의 SPE(specific pathogen-free) ICR계 마우스 및 BALB/c 마우스를 실험동물로 하여 sarcoma 180 암세포 부유액(세포 농도, 1$\times$$10^{7}$ cells/ml)을 실험동물의 복강내에 0.1ml 씩 이식하고 암이식 24시간 후부터 매일 1회씩 9회 약물 주사를 시행하였다. 대조약물 cisplatin은 2% DMSO-생리식염수를 주사하였다. 생존일수 관찰은 60dlfRK지 하였으며 % T/C를 계산하여 항암력을 평가하였다. 단 60일 생존 동물은 평균수명 계산에서 제외하였다.

  • PDF

컴퓨터를 이용한 분자모델링

  • 김용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제2회 추계심포지움
    • /
    • pp.105-110
    • /
    • 1994
  • 분자 모델링은 Molecular Mechanics 라는 empirical force field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분자들의 3차원적 구조를 구하고, 이로부터 이 분자들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들을 계산하고, Computer Graphics를 사용하여 형상화하는 전반적인 연구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활동의 출발점은 실제의 분자와 가장 가까운 3차원적 분자구조를 얻는 것이다. 여러 가지 가능한 방법을 통하여(양자역학적 계산 혹은 X-ray Database 검색등) 최적의 구조를 얻은 후, 이 구조를 사용하여 관심 있는 여러가지 물리적, 화학적 성질들을 계산할 때, 비로소 실험결과를 설명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새로운 분자의 Design 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뇌로의 약물송달 (III)- 혈액-뇌관문(BBB)의 Osmotic Opening법에 의한 뇌로의 약물송달

  • 황만용;박경호;손영택;이민화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45-345
    • /
    • 1994
  • BBB opening 에 의란 수용성 약물 및 지용성 약물의 뇌혈관 투과 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모델약물로서 수용성 약물인 $^{99}$Tc-DTPA, 지용성 약물인 Pherlytoin을 선택하여 뇌혈관 투과성(PA)의 증가율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랫트의 좌측 외경동맥(left external carotid artery)에 혈류의 역방향으로 PE-50 catheter를 분지점에서 1-2mm 전까지 삽입하고, 1.6 molal L-(+)-arabinosg 고장액 (1580 mOsm)을 0. 12ml/sec의 일정한 속도로 30초간 infusion 한 후. $^{99}$Tc-DTPA 혹은 phenytoin 약물 용액을 대뢰정맥으로 주사하고, 대뢰동맥으로부터 약물 투여전 및 투여후 10, 30초, 1, 1.5, 2, 3. 4, 5. 7, 10분 간격으르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마지막 채혈후 즉시 단두하여 뇌조직을 취하였다. 채취한 뇌를 좌, 우반구 및 각 부위별로 분리하고 감마 카운터와 HPLC를 이용하여 뇌증농도를 정량하였다. 또한 뇌 실질 조직내 약물량을 구하기 위해 뇌 혈관내에 존재하는 약물양을 보정하였는데, 이때 계산에 필요한 뇌증 혈액부피의 측정은 $^{99}$Tc-albumin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 PDF

유전자를 중간 매개로 고려한 동시발생 기반의 약물-질병 관계 추론 (Co-occurrence Based Drug-disease Relationship Inference with Genes as Mediators)

  • 신상원;신예은;장기업;윤영미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1-9
    • /
    • 2018
  • 신약 재창출은 현재 사용되는 약물의 새로운 용도를 발견하는 방법이다. 텍스트 마이닝은 정형화되지 않은 문서로부터 의미 있는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약물-유전자와 유전자-질병에서 동시에 측정된 유전자 출현 빈도의 비율을 고려하여 새로운 약물-질병 관계를 추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생물학적 문헌으로부터 약물-유전자와 유전자-질병의 동시출현 빈도를 측정하고 각 약물과 질병에 대하여 유전자의 출현 비율을 계산한다. 약물-질병 관계의 가중치는 동시에 측정된 유전자 출현 비율의 평균을 이용하여 계산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질병의 분류 정확도를 측정한다. 약물-질병 관계를 추론하는 것에서 동시출현 빈도를 문장 단위로 측정하고 여러 관계를 고려하는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더 정확히 식별해내는 것을 보였다.

약물용량계산 학습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 Drug Dosage Calculation Learning Smartphone Application)

  • 김명수;박정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251-2261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들의 약물용량계산 능력을 개발, 증진하기 위해 학습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충분한 자료를 근거로 콘텐츠를 구성한 후에 교육용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과정으로 개발하였고, 전문가 집단에 의해 평가받았다. 간호대학생 37명을 대상으로 4주간의 중재 후, 참여도에 따른 자료를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정도에 따라 학습목표의 성취도(${\chi}^2$=10.90, p=.004), 업무 적용도(Z=2.86, p=.004), 수학적 자신감은 유의하게 증진(Z=3.07, p=.002)되었으나, 학업적 효능감에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은 간호 대학생들의 약물용량계산 능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용 프로그램이라 여겨지나, 보다 효과적으로 약물계산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업적 효능감을 높이고, 참여를 적극적으로 격려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범밀도 함수법과 Molecular Descriptor를 이용한 모르핀 유도체에 대한 분자 모델링 연구 (Molecular Modeling Study on Morphine Derivatives Using Density Functional Methods and Molecular Descriptors)

  • Cotua, Jose;Cotes, Sandra;Castro, Pedro;Castro, Fernando;Mora, Liadys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63-373
    • /
    • 2010
  • 마약인 모르핀, 헤로인, 코데인, 펜타조신 그리고, 버프레노파인에 대하여 범밀도함수이론에 근거하여 계산 연구를 수행하였다. 약물특이 분자단과 치환기의 기하학적 파라미터는 B3LYP/6-31+G(d) 레벨로 계산하였고, 전자의 구조는B3LYP/6-311++G(d,p) 레벨로 같은 혼성 범함수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원자의 전하분포는 Mulliken 개체 수 분석에 의하여 구하였다. 보고된 생물학적 활성, 계산된 분배 계수, 전자 및 기하학적 분석을 토대로 펜타조신과 버프레노파인을 새로 제시된 유사화합물에 대한 모델화합물로 선택하였으며, 이들 유사화합물에 대하여 연구한 뒤, 모델화합물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약물특이 분자단의 기하학적 구조와 전자 구조가 다른 치환기의 존재 하에서도 변함없이 유지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제시된 유사화합물들도 모델 분자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들 유사화합물들도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낼 것 같다.

투약에 대한 흥미도와 약물계산역량 간의 관계에서 약물계산자신감의 매개효과: Kolb의 학습양식유형을 적용하여 (The Mediating Effect of Drug Calculation 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in Medication and Drug Calculation Competency)

  • 박형숙;조규영;김동희;김상희;김명수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5권4호
    • /
    • pp.155-16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nfidence for drug calc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in medication and drug calculation competency using learning style.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21 nursing students from Busan and Kyungnam province. The scales of learning style, interest in medication, importance of perception, confidence for drug calculation, and drug calculation competency for nursing students were us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Learning styles of the participants were diverger 19.0%, accommodator 30.9%, converger 21.1%, and assimilator 29.0%. The drug dose calculation competency of participants was relatively low with a mean score 66.73.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drug dose calculation competency, interest in medication (r=.31, p<.001), and confidence for drug calculation (r=.44, p<.001). Confidence for drug calculation was a moderator between interests in medication and drug calculation competenc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dence for drug calculation promoting strategy such as medication reconciliation and various learning technology for improving drug calculation competency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