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리성분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8초

유색미의 항산화기능 및 신물질 oryzafuran과 allantoin의 추출분리 (Antioxidant Activity of Colored Rice and Identification of New Substances, Oryzafuran and Allantoin)

  • 한상준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요지
    • /
    • pp.2-6
    • /
    • 2005
  • 질병의 예방, 노화억제, 돌연변이 억제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안토시아닌 색소 C3G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흑자색 유색미의 성분연구를 수행한 결과 9가지의 천연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그 중 항산화 기능이 매우 뛰어난 페놀성 화합물 oryzafuran을 최초로 분리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또한 allantoin과 같은 알칼로이드도 쌀에서는 처음으로 분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흑자색 유색미는 식용이상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이러한 성분의 정량분석 방법과 합성과 관련된 메커니즘, 성분의 약리적 기능, 유전자원 평가 등 산업화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고C3G, 저단백, 저알레그렌, 고불포화지방산 등과 같은 다기능성 유색미 품종을 육성 보급함으로써 국민보건 및 농가소득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이와 같은 성분이 주로 분포하는 미강은 도정과정을 통해 대부분 제거되기 때문에 회수하기가 용이하고, 따라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흰쌀을 식품가공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어 산업적으로 가치가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 PDF

재래닭의 의안연구 (A study on a medical chart about native chicken)

  • 이강현;지중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617-623
    • /
    • 2014
  • 본 연구는 전통의학문헌에 나타난 재래닭 관련 의안을 분석하여 재래닭의 약리작용 성분을 정리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민간치료 자료의 처방과 기존의 한의서에 기술된 다양한 재래 닭 처방과의 상이성 및 공통점을 찾아 분석하여 과학적 검증이 가능한 내용에 대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분석된 내용을 구분 정리하여 DB를 구축하고, 전통의서에 수재된 처방, 한약, 생약 및 특수 치료 방법에 대한 유용성 평가를 통하여 닭 관련 제품개발과 다양한 기능성 식품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국가 지식자원의 지속적인 확충과 전문인력 양성 및 지식문화 관련사업의 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을 육성하고자 한다. 재래닭 관련 처방지식에 대한 검색 및 정보 관리체계의 정형화가 난해하므로 규격화, 개념화, 형식화한 전통의학 재래닭 처방지식 DB를 구축하여 다학제간의 연구시스템을 통한 고의학 서적의 약학적 유용성을 평가하고 대체의학이나 기능성 식품개발의 실용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형개의 생육시기와 식물체 부위별 정유성분 (Variation of Essential Oil Components in Stages and Organs of Schizonepeta tenuifolia Briquet)

  • 이상복;성충기;성병열;정동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5-59
    • /
    • 1993
  • 형개의 잎, 줄기 및 화수의 정유함율 및 정유구성성분을 생육시기별로 비교 분석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형개의 정유함율은 잎이 줄기나 화수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으며 영양성장기부터 개화 후반결관까지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잎과 줄기의 정유함율은 증가하였다. 2. 정유성분의 구성은 잎과 화수의 경우는 d-menthone과 l-pulegone이 56~71%의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줄기는 21~26%의 함유비율을 보이고 잎과 화수에 거의 나타나지 않는 두 물질이 확인 되었다. 3. 잎의 정유성분구성은 생육후기로 갈수록 d-menthone은 생육초기에 많았다가 후기에 증가하는 반면에 l-pulegone은 점차 감소하여 두가지 주정유성분의 함유비율이 서로 반대로 나타났다. 4. 형개의 정유 성분 평가를 위하여 주요 성분의 생약 약리학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 PDF

고려인삼의 약리효능의 올바른 이해와 세계화 전략 (Proper Understanding and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Ginseng)

  • 성낙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1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4-4
    • /
    • 2011
  • 고려인삼의 학명은 Panax ginseng으로 그리스 어원을 해석하면 '모든 질병을 치료 할 수 있는 약재'이다. 본 발표에서는 첫째, 고려인삼의 약리효능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 결과를 소개해 고려인삼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둘째, 국제인삼시장의 현황과 중앙정부의 지원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고려인삼은 재배기간인 4~6년 소요되고 수삼, 백삼, 홍삼, 태극삼, 흑삼의 형태로 사용된다. 고려인삼은 사포닌, 알칼로이드, 다당체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생리활성의 유효성분은 ginsenoside로 알려져 있다. 고려인삼의 ginsenoside는 약 35종이 알려져 있고 각 ginsenoside에 따라 항아토피, 알츠하이머 예방, 항당뇨, 면역 증강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아직도 그 효능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고려인삼의 국제거래가격은 캐나다산의 4.8배, 중국산의 5.5배이고 토지 임차료는 미국, 중국의 약 5배, 캐나다의 2.6배이며 인건비는 중국의 13배에 달하나 수량성은 10a 당 450~600kg으로 미국 캐나다(800~1,000kg), 중국(950~1,250kg)의 수량성 보다 낮다. 고려인삼의 산업적 발전을 위해 중앙정부는 생산기반, 유통구조, 안전성, 과학화를 포함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지원시책을 준비하고 있다.

  • PDF

황칠나무의 휘발성 화합물 분석 및 HepG2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 (Volatile Compound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on HepG2 Cells)

  • 양선아;코랄리아 가르시아;이지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61-566
    • /
    • 2017
  •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황금빛의 수액과 약리효과로 한국에서 알려져 있으며, 잎 및 줄기 추출물의 다양한 효능은 피부질환, 편두통, 월경통, 근육통 및 전염성 질환 등의 질병을 개선하는 약리 성분을 공급하는 우수한 공급원이 될 수 있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황칠나무 추출물의 효능에 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나, 부위별 휘발성 성분의 조성에 대한 보고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수액의 주요 휘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유기용매 및 초임계유체추출법을 이용한 추출물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잎 추출물에서는 15가지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줄기 및 수액에는 각각 29가지 및 3가지 성분이 확인되었다. 또한 용매와 초임계유체추출법을 사용하여 얻은 휘발성 성분의 프로파일은 다르게 나타났다. 잎의 용매 추출물과 줄기의 초임계유체 추출물에서는 에스테르와 방향족 탄화수소가, 잎의 초임계유체 추출물 및 줄기의 초임계유체 추출물에는 테르페노이드가 주요 성분으로 나타났다. 한편, limonene (96.3%), ${\alpha}$-pinene, 그리고 ${\beta}$-myrcene은 수액 용매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잎 및 줄기의 용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 잎의 용매 추출물이 HepG2 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용이 Acute-Phase Reactants에 미치는 영향

  • 한용남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24-124
    • /
    • 1993
  • 녹용은 강심작용, 여성홀몬작용, 강장작용, 창상치유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데 녹용의 상용량에서는 강장작용, 창상치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용의 창상치유작용은 생체내 질소 평형이 음의 방향으로 되었을 때 이를 빠른 시간내에 정상적으로 회복시키는 약리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도 흰쥐에 turpentineee oil (TPO)를 주사하여 acute-phase response를 일으켜 질소평형을 깨뜨린 실험 모델에서 녹용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Acute-phase reactants중에서 $\alpha$$_2$-macroglobulin, $\alpha$$_1$-cysteine pretense inhibitor (T-kininogen), ceruloplasmin을 측정 하였는데 이 중에서 creuloplasmin의 측정이 재현성이 높았다. TPO로 급성염증을 유발시키면 2일 후에 ceruloplasmin의 혈청내 농도가 약 100% 증가하며 4일까지 지속하다가 5일째부터 감소하는데 이때 미리 녹용추출물을 투여한 군은 TPO주사 후 4일째에 50% 감소하였다. TPO로 염증을 유발하기 전에 녹용을 투여했을 때가 염증유발 후에 투여했을 때보다 녹용의 효과가 현저히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급성염증에 의해 깨어진 단백질 평형을 신속히 정상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녹용의 효과를 지표로 하여 녹용의 유효성분 분리를 수행하고자 한다.

  • PDF

인삼 Saponin이 Prostaglandin 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s on the Biosynthesis of Prostaglandins)

  • 박찬웅;이선희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77-80
    • /
    • 1988
  • 인삼의 효과는 인삼칠효설로 요약되듯이 각종 장기에 대하여 다양한 약리작용을 나타낸다. 이는 인삼의 약리작용을 중개하는 생체내 생리활성물질의 존재를 생각하게 되며 이같이 생리활성물질을 하나로 prostaglandin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성분이 prostaglandin 등 arachidonic acid 대사산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함으로써 인삼의 약리학적 작용과 그 기전을 간접적으로 구명하고자 하였다. 즉 $[^{3}H]$-arachidonic acid를 기질로 넣어주고 토끼 신장 microsome, 소 대동맥 microsome, 사람 혈소판 homogenate 등을 효소원으로 한 in vitro 생합성과정에 변화를 주는 수종 인삼 saponin 및 phenolic acid 성분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인삼 saponin 성분은 panaxadiol, panaxatriol 및 protopanaxadio 계 saponin 류인 ginsenoside $Rb_{2}(G-Rb_{2})$, ginsenoside Rc(G-Rc) 및 protopanaxatriol 계 saponin류인 ginsenoside Re(G-Re) 이었고 이들 성분이 arachidonic a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통해 최종 대사산물인 prostaglandin 류를 생성하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rachidonic acid 로부터 생성된 총 cyclooxygenase 반응생성물 및 malondialdehyde의 양은 실험에 사용한 인삼 saponin 성분의 전 농도 범위에서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인삼 saponin 성분들은 cyclooxygenase에 직접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2. Panaxadiol (500 ${\mu}g/ml$$PGE_{2}$ 생성에는 영향이 없으나 $PGF_{2}{\alpha}$생성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농도의존적으로 $TxB_{2}$의 생성을 감소시켰고 6-keto-$PGF_{1}{\alpha}$의 생성을 증가시켰는데 이는 $TxA_{2}$ synthetase 억제제인 imidazole의 효과와 유사하였다. 4. G-Re는 $1{\times}10^{-5}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효과가 없으나 $1{\times}10^{-4}g/ml$ 이상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 있는 $PGE_{2},\;PGF_{2}{\alpha},\;TXB_{2}$의 생성억제와 함께 6-keto-$PGF_{1}{\alpha}$ 증가를 보였다. 이는 prostacyclin synthetase를 자극하는 serotonin의 효과와 같은 작용으로서 prostacyclin synthetase 억제제인 tranylcypromine에 대하여 길항효과를 보였다. 5. $TxB_{2}$생성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ginsenoside들의 효과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인삼 saponin 성분을 전처치한 patelet rich plasma에서 혈소판 응집시험 결과, ADP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반응에는 모든 인삼 saponin 성분들이 효과가 없었으나 arachidonic acid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반응에는 $G-Rb_{2}$, G-Rc, G-Re의 순으로 농도 의존적인 억제현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인삼 saponin 성분들은 arachidonic a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통해 일단 생성된 endoperoxide에서 각각의 prostaglandin을 생성하는 효소, 특히 $G-Rb_{2}$$TxA_{2}$ sysnthetase에 강력한 억제제로, G-Re는 prostacyclin 생합성의 촉진제로 심혈관계 균형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 PDF

네트워크 약리학을 기반으로한 총명공진단(聰明供辰丹) 구성성분과 알츠하이머 타겟 유전자의 효능 및 작용기전 예측 (Network pharmacology-based prediction of efficacy and mechanism of Chongmyunggongjin-dan acting on Alzheimer's disease)

  • 권빛나;유수민;김동욱;오진영;장미경;박성주;배기상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6-118
    • /
    • 2023
  • Objectives: Network pharmacology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nd analyzing a drug-compound-target network to predict potential efficacy and mechanisms related to drug targets. In that large-scale analysis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it is considered a suitable tool to explore the function and role of herbal medicine. Thus,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functions and pathways of Chongmyunggongjin-dan (CMGJD) on Alzheimer's disease (AD) via network pharmacology analysis. Methods: Using public databases and PubChem database, compounds of CMGJD and their target genes were collected. The putative target genes of CMGJD and known target genes of AD were compared and found the correlation. Then, the network was constructed using Cytoscape 3.9.1. and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Gene Ontology (GO) Biological process and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KEGG) Pathways to predict the mechanisms.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total 104 compounds and 1157 related genes were gathered from CMGJD. The network consisted of 1157nodes and 10034 edges. 859 genes were interacted with AD gene set, suggesting that the effects of CMGJD are closely related to AD. Target genes of CMGJD are considerably associated with various pathways including 'Positive regulation of chemokine production', 'Cellular response to toxic substance', 'Arachidonic acid metabolic process', 'PI3K-Akt signaling pathway', 'Metabolic pathways', 'IL-17 signaling pathway' and 'Neuroactive ligand-receptor interaction'. Conclusion: Through a network pharmacological method, CMGJD was predicted to have high relevance with AD by regulating inflammatio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effects of CMGJD on AD.

대회향의 시스템 약리학적 분석과 항균작용 (Systemic Analysis of Antibacterial and Pharmacological Functions of Anisi Stellati Fructus)

  • 한정아;추지은;손지원;김윤숙;서수연;안원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1-190
    • /
    • 2019
  • 시스템 약리학적 분석을 통해 대회향(Anisi Stellati Fructus)의 활성성분 스크리닝, 표적유전자 확보 및 관련 질병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대회향의 항균작용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ystems Pharmacology (TCMSP) Database 와 Analysis Platform을 통해 대회향의 잠재적 활성성분 49개를 확보하였으며, 그 중 설정한 조건에 부합하는 9개 활성성분을 스크리닝 하였다. TCMSP Database는 활성성분의 약물 동태학적 특성 및 약물-표적-질병 간의 관련성을 네트워크 수준에서 파악할 수 있는 획기적인 in silico적 접근을 가능하게 해준다. 활성성분과 반응하는 201개의 유전자 정보를 UniProt database를 통해 확인하고, 취합한 유전자들이 관여하는 348개의 생물학적 과정을 David 6.8 Gene Functional Classification Tool에서 확보하였다. Chemokine ligand 2, Interleukin-10,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를 포함한 총 47개의 유전자가 항균작용에 관여하였고 이들을 표적으로 하는 luteolin, kaempferol, quercetin 등이 대표적 항균 관련 활성성분이었다. 이와 같이 확보된 데이터는 연구 재료 선정에 정확성과 시간, 노력, 비용 절감의 효과를 제공함과 더불어 추후 실험적 증명으로 이어져 감염병의 예방과 치료 전략에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청호(Artemisia apiaceae Herba)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Artemisia apiaceae Herba)

  • 김옥찬;장희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1호
    • /
    • pp.37-42
    • /
    • 1994
  • 청호(Artemisia apiaceae Herba)를 simultanuous distillation 및 steam distillation으로 추출하여 정유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고, GC 및 GC-MS로 분석하여 34개 성분을 확인하였다. 정유의 관능적 특성은 camphorous하면서 herbal하였고, 정유의 steam distillation에 의한 수율은 0.23%, simultanuous distillation extraction에 의한 수율은 0.37%이었다. 확인된 34개 성분 중에서 camphene, camphor, borneol and caryophv-llene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 정유를 11개로 분획한 후 좋은 향기 특성을 갖고 있는 5개의 분획물만을 성분 분석하였으며 특히 분획물 F-5와 F-6은 기능성 약리효능을 얻을 수 있는 의료용 향료로 개발가능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