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도

검색결과 40,761건 처리시간 0.054초

다공성 콜라젠 미립담체를 이용한 부착성 동물세포 Vero-6의 배양 (The Cultivation of Anchorage-Dependent Animal Cell, Vero-6, on Macroporous Collagen Microcarrier)

  • 최연수;최태부박정극
    • KSBB Journal
    • /
    • 제8권5호
    • /
    • pp.465-472
    • /
    • 1993
  • 현재 상품화되어 시판되고 있는 4가지의 미립담체를 이용해 각각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부착성동물세포배양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ytodex 3의 경우 세포의 초기 접종농도를 약 $2.0{\times}10^5$ cells/ml로 하였을 때, 3g/l는 약 $1.4{\times}10^6$cells/ml, 5g/l는 약 $2.0{\times}10^6$cells/ml의 최종세포밀도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bead-to-bead trandsfer 실험을 한 결과 3g/l를 간헐적으로 첨가하였을 때는 약 $1.9{\times}10^6$cells/ml, 5g/l 첨가하였을 때는 약 $3.0{\times}10^6$cells/ml까지 최종세포밀도가 증가하였다. Cultispher-G, 3g/l를 이용해 초기 접종농도를 약 $2.0{\times}10^6$cells/ml로 하여 배양하였을 때 약 $1.3{\times}10^6$cells/ml까지 세포농도가 증가했고, 5g/l를 이용해 초기 접종농도를 $4.0{\times}10^5$cells/ml로 접종하였을 때 최종세포농도가 약 $3.2{\times}10^6$cells/ml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bead-to-bead transfer배양 실험결과에서 3g/l의 미립담체를 간헐적으로 첨가해 약 $1.8{\times}10^6$cells/ml까지 최종세포밀도가 올라갔고 5g/l를 간헐적으로 첨가하였을 때 $2.5{\times}10^6$cells/ml까지 세포밀도를 얻었다. VX-100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하였을 때 초기 접종농도가 약 $2.0{\times}10^5$cells/ml에서 최종세포밀도가 약 $4.4{\times}10^6$cells/ml까지 증가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실험에 사용한 다른 종류의 다공성 젤라틴 bead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Cytodex-3보다는 최종세포농도가 약 2배이상 증가한 결과를 얻었다. Informatrix bead는 초기 접종농도를 약 $3.0{\times}10^5$cells/ml로 하였을 때 최종세포밀도가 약 $2.1{\times}10^6$cells/ml까지 증가하였다. Collagenase효소를 이용하여 젤라틴 bead를 녹인 후 회수한 세포는 대부분 viable하였고 새로 도입된 bead에 성공적으로 부착하여 성장하였다. 따라서 담체 내부에서 자라는 세포도 회수하여 재사용 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고아미와 밀가루 배합 비율에 따른 구운 약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d Yackwa Made with Various Amounts of Goami Powder and Wheat Flour)

  • 김현아;양정수;김용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9-188
    • /
    • 2013
  • 본 연구는 고아미로 만든 약과의 품질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밀가루에 고아미를 비율별로 첨가하여(100, 80:20, 60:40, 40:60, 20:80, 100) 약과를 만들고 집청전 후 무게, 경도, 수분 함량, 색도,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약과 반죽 14g: 12mm 몰드에 성형, 구운 온도: $160^{\circ}C$, 20Min., 집청: $60^{\circ}C$, 30Min.). 밀가루로 만든 약과의 집청전후의 무게가 가장 가벼웠고, 고아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과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무거웠다. 약과의 부피는 밀가루약과의 부피가 가장 컸고 고아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과의 부피가 유의적으로 작아졌다. 수분 함량은 고아미 100%로만 만든 약과가 가장 컸다. 약과의 경도는 고아미를 첨가한 약과가 높았고, 씹힘성은 경도가 가장 낮은 밀가루로 만든 약과인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부착성과 탄력성, 검성과 응집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약과의 명도는 고아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고아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고아미약과의 관능검사 결과 밀가루와 고아미가 비율별로 섞인 약과보다 오히려 밀가루만으로 만든 대조군이나 고아미만으로 만든 약과의 선호가 높았다. 또한 고아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과의 단맛이 강하고 촉촉하여 높게 선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밀가루를 대신하여 고아미쌀 만으로도 촉촉하고 팽화율이 비교적 높은 품질이 좋은 약과의 개발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통약탕기와 전자약탕기를 이용한 이산화황 제거효율 연구 (A study of SO2 Removal Efficiency from Traditional Herbal Medicine Using Traditional & Electronic Medicine Boilers)

  • 양승희;유석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33-1140
    • /
    • 2009
  • 본 이산화황이 잔류하는 한약재를 탕제로 달이는 방식에 따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약 달이는 방식을 전통약탕기와 진자약탕기 2종류로 설정하였다. 전통약탕기로 156.4ppm을 함유하는 한약재를 1시간 달였을 때 96.7%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2시간 달였을 때 100%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전통약탕기 뚜껑을 전통한지, 일반한지, 거름종이, 일반종이를 사용하였을 경우 전통한지를 사용할 경우가 이산화황 제거효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한지의 초기 pH는 10.03으로, 전통약탕기에 이산화황이 48ppm, 193ppm, 753ppm 및 1,506ppm 함유하는 한약재를 넣고 1시간 달인 후 pH 측정결과 9.37, 9.14, 8.9 및 8.03으로 각각 나타났다. 전자약탕기 파이롯트실험은, 전자약탕기로 1시간 약을 달일 경우 82.8%의 이산화황제거율을 보였으며, 약탕기 내부 중판부분에 전통한지, 거름종이, 활성탄, 참숯을 넣고 약을 달였을 때 73.6%, 72.8%, 73.9% 및 69.5%의 제거율을 보여 전자약탕기는 내부에 어떤 물체를 넣었을 경우 이산화황의 휘발을 방해하여 제거를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U-251-MG 세포에서 PSA 경로에 작용하는 Hepatocyte Growth Factor의 효과 (Effects of Hepatocyte Growth Factor on the PSA Signaling Pathway of U-251-MG Cells)

  • 김환규
    • KSBB Journal
    • /
    • 제24권5호
    • /
    • pp.425-43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U-251-MG 세포를 이용하여 증식, 이동, 침윤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분비에 미치는 PSA와 HGF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PSA siRNA에 의해 U-251-MG 세포의 증식은 약 37% 억제되었으나, HGF 처리 (10 ng/mL)에 의해 증식이 약 1.4배 증가되었다. PSA siRNA에 의한 U-251-MG 세포의 이동은 약 60%가 억제되었으나, HGF 처리에 의해 이동이 약 1.3배 증가되었다. 또한, PSA siRNA에 의해 U-251-MG 세포의 침윤이 약 67% 억제되었으나 HGF 처리에 의해 세포의 침윤이 약 4.3배 증가되었다. PSA siRNA처리에 의해 MMP-2의 분비는 약 25%, MMP-9의 분비는 약 20% 억제되었으며, HGF에 의해 PSA siRNA에 의해 억제된 MMP-2 및 MMP-9의 분비가 약 2.8배 및 3.5배 증가되었다. HGF 처리에 의해 플라스민의 분비량은 약 14배 증가되었고, PSA를 억제한 U-251-MG 세포에 HGF를 처리한 결과, 플라스민의 분비가 약 1.6배 증가하였다. 또한, PSA siRNA에 의해 MMP-2의 발현은 유의할만한 변화가 없었으나, MMP-9의 발현은 약 85% 억제되었다. PSA를 억제시킨 U-251-MG 세포에 HGF를 처리한 결과, MMP-2의 발현은 약 5.7배, MMP-9의 발현은 약 6.3배 증가되었다. 한편, MMPs의 광범위 억제제인 BB-94 처리에 의해 U-251-MG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이 유의할만하게 억제 된 것은 MMP-2 및 MMP-9이 U-251-MG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에 관여할 것임을 시사해준다.

이동식 펠릿 제조장비 개발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a Movable Pellet Manufacturing Equipment)

  • 조시기;금성민
    • 에너지공학
    • /
    • 제24권3호
    • /
    • pp.13-19
    • /
    • 2015
  • 본 연구는 숲가꾸기 사업시 솎아내는 나무(소경간벌재), 벌채 수확 후 남긴 잔재물인 가지, 목재가공 후에 남긴 폐기 대상목재, 갱신지 벌채림 및 왕겨 등을 활용하여 펠릿 제조가 가능한 이동식 펠릿 제조 장비를 개발하는 것으로, 초기함수율이 약 32%인 도로변 가지치기 나무를 재료로 최종함수율이 약 10%인 펠릿을 생산할 경우 시간당 생산량은 약 309kg이며, 하루 약 8시간 작업시 약 2ton의 생산량이 가능하고, 펠릿 생산(시간당 약 309kg)에 필요한 평균소요동력은 약 122.4PS이며, 생산비용과 판매비용을 비교하면 1일 작업기준으로 약 268,000원의 수익이 예상되어 향후 사업성이 기대된다.

모바일 기반의 안내도 및 약도 검색 시스템 (Guide Map and Outline Map Searching System Based on Mobile)

  • 류종민;좌정우;진희채;김도현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77-87
    • /
    • 2006
  • 최근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GPS를 갖고 길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들 시스템을 이용하여 간단한 지도를 사용하려면 추가적인 비용과 장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일반 핸드폰 사용자들에게 지도를 이용한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GPS가 요구되는 기존의 모바일 길안내 서비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WIPI 기반의 약도 및 안내도 검색 모델을 제시하고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개발된 모바일 약도 및 안내도 검색 시스템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WIPI 기반의 모바일 단말기에 추가 비용과 장비 없이 사용자에게 목적지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서비스 제공자는 이 시스템을 통해 검색한 목적지 주변의 가맹점을 광고할 수 있다.

  • PDF

중수도 시스템 운전을 위한 전기분해장치의 설계 (Design of Electrolysis Reactor for the Reclamation System)

  • 신춘환;배정석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23-327
    • /
    • 2006
  • 전류밀도를 $1.0\;A/dm^2{\ell}$로 고정시키고, 촉매로 사용된 소금의 농도를 전체 폐수량의 약 15%로 조절하여 접촉시간을 $0\;{\sim}\;120$ 분으로 조절하여 각각의 시간에서 $COD_{Mn}$ 농도 약 70mg/L의 합성폐수를 전기분해 처리하여 접촉시간 약 30분에서 약 25 mg/L로 제거 되었으며, 60분이 지난 후부터 약 12 mg/L로 제거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접촉시간을 1 시간으로 고정시키고, 촉매로 사용된 소금의 농도를 전체 폐수량의 약 15%로 조절하여 전류밀도를 $0\;{\sim}\;2.0\;A/dm^2{\ell}$로 조절하여 각각의 전류밀도에서 $COD_{Mn}$의 농도변화 실험결과 전류밀도 약 1.0 $A/dm^2{\ell}$에서 약 9 mg/L로 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접촉시간을 1 시간, 전류밀도를 $1.0A/dm^2{\ell}$로 고정시키고 사용된 소금의 농도를 전체 폐수량의 $0\;{\sim}\;30\;%$로 조절하여 각각의 촉매 첨가율에서 $COD_{Mn}$의 농도변화를 조사결과 촉매 첨가율 30 %에서 가장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촉매의 첨가에 의한 전기분해 효율뿐만이 아니라 직류전원공급기에 전기적 부하 또한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남해 연안수의 수온상승과 수온전선 후퇴와의 상관성 (Positive correlation water temperature increase with thermal front retrogression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김영택;이호정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2-123
    • /
    • 2010
  • 2000~2009년 동안 격월로 관측한 수온 관측 자료를 분석하여 표층 수온이 10년 동안 약 $1{\sim}1.9^{\circ}C$ 상승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상승폭이 해역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부산해역은 약 $1.5^{\circ}C$, 여수해역은 약 $1.7^{\circ}C$, 제주북부에서도 약 $1.7^{\circ}C$의 상승폭을 보임으로서 남해 동쪽보다는 서쪽해역의 상승폭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남해 연안수의 평균 수온이 증가하는 추세경향으로 미루어 볼 때 남해 수온전선이 약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연안쪽으로 밀릴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 모슬포는 약 $1.9^{\circ}C$ 가 상승하였으며 제주도 성산포는 2004~2009년 동안 약 $1.2^{\circ}C$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와 같은 수온의 변동성은 조위관측소에서 관측된 수온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부산은 $0.2^{\circ}C$/8년, 여수 $0.4^{\circ}C$/10년, 제주북부는 $1.5^{\circ}C$/10년, 모슬포와 성산포는 $1^{\circ}C$/6년, 서귀포는 $1.7^{\circ}C$/8년 상승폭을 보인다. 조위관측소의 수온 상승폭보다 한국연안해류조사의 수온 상승폭이 약간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관측소의 위치가 해안가에 있는 반면 연안해류조사는 선박을 이용하여 외해쪽에서 수온을 관측하기 때문에 고온 고염의 대마난류(Tsushima Warm Current) 영향을 더 많이 받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해수의 수온 상승 현상은 증가율이 약간 낮기는 하지만 50m 수심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부산해역, 여수해역, 제주북부 해역은 모두 약 $1.2^{\circ}C$의 상승폭을 보였으며, 제주도 성산포는 약 $1.1^{\circ}C$인 반면, 모슬포 해역에서는 약 $1.5^{\circ}C$로 상승추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남해 연안수가 표층과 저층에서 동반 상승했다는 것은 대마난류의 세력이 강해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시자(indicator)로서 최근 제주도와 남부지방의 기후온난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상승률은 관측기간이 길어질수록 작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남해의 물리적 특성 변화를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좀 더 장기적인 자료가 필요하다.

  • PDF

잣나무를 식해한는 한국미기록종 넓적잎벌(막혈목, 고아요아목) 에 관한 연구 (I)-형태 및 분류학적 연구 (Studies on a Korean Unrecorded Phamphilid -sawfly (Hymenoptera, Symphyta) Feeding on Korean Pine. taxonomical and Morphological Studies)

  • 이덕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6
    • /
    • 1961
  • 본 논문은 경기도광릉시험목에서 잣나무를 식해하는 한국미기록종 잣나무넓적잎벌(신칭)을 재료로 하여 1958-1961 년에 연구한 것을 기록한 것이다. (1) 본충은 막혈목 광요아목 편엽봉과의 Acantholyda nemoralis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것의 학명으로는 R.B.Benson T의 설에 따라 Acantholyda posticalis posticalis MATSU.MURA를 채용하기로하였다. (2) 분포지로는 개지의 일본, 몽고, 시베리아 외에 한국을 추가한다. 구라파에서는 별개의 아종이 있다. 본종의 서식지로는 현재까지 경기도의 광fmd, 가평, 양주와 강원도의 충성군이 알려져있을 뿐이다. (3) 성충의 체색은 대체로 흑색이나, 두부와 훙부에 황색의 무늬가 많\ulcorner. 촉색은 황갈색 사상으로 유충은 웅충은 33절, 자충은 32절로 되었다. (4) 란은 QH트형으로 그 양단이 상외방으로 돌출, 산란직후의 색은 광택있는 담황갈색을 정하나 3일이 경과하면 담자황록색으로 변한다. 길이 약 3 mm , 폭 약 0.7mm이다. (5) 부화유충의 채색은 대적황색이나 , 머리와 흉곽은 흑색이다. 머리가 크고 몸통은 가늘다. 체장 약 3.5mm, 체폭 약 0.7mm. 성열유충의 체색은 담황갈색이나, 배선 및 기문상선은 선명한 적색이다. 3상의 흉곽과 한쌍의 미각이 있고, 망막은 없다. 두부는 키틴질화하였고, 갈색이며, 촉색은 7 절로되어 있고 대사가 발달하였다. 체장 약 27.4mm, 체폭 약 4.5mm , 전용은 적색의 배선 및 기문상선이 없고, 전신이 등황색이며, 촉색의 배측에 칠흑색의 커다란 복안을 가지고있는 점등이 성열유충과 다른 점이다. 암컷이 될 것은 크고 (체장 약 20-26mm), 수컷이 될 것은 작다(체장 약 3-17mm). (6) 용은 나용으로 용화직전의 것은 단지 복안과 단안만이 흑색을 정하고 , 타부분은 전부황색이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색이 변한다. 체장 약 17mm, 체폭 약 5m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