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야외관측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igh Resolution Snow Gauge (정밀 강설량계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Bu-Yo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8 no.4
    • /
    • pp.270-274
    • /
    • 2006
  •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 for automatic recording of snowfall by a mass unit which is required in weather forecast and hydrology research. In this method the weight of a buoyancy bar submerged in a liquid is measured by a strain-gauge loadcell. Field test results of the strain-gauge loadcell showed good stability as well as high accuracy. Indoor tests of the instrument using a large tank of 120 cm diameter and 25 cm height connected to a small tank measured the liquid level with a good stability, showing a measurement error of less than 0.1 mm in a 100 mm range. This method of water depth measurement is very useful in measuring snowfall because it has no limitation on the funnel size of the instrument. In addition, an antifreezing solution instead of water used in the tank makes a heating system for melting snow unnecessary.

On Input Information of Land Surface Model Considered in Field Experiment (야외 관측에서 고려해야 할 지면 모형의 입력 정보에 관하여)

  • Chae, Nam-yi;Hong, Jin-kyu;Kim,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01.06a
    • /
    • pp.8-10
    • /
    • 2001
  • 1. 연구목적 : 지면에서 관측되는 질량 및 에너지 플럭스 등의 검증을 위해 지면 모형이 사용된다. 이러한 지면 모형 중의 하나인, Simple Biosphere model 2(SiB2)의 입력 정보와 모형의 검정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중심으로 야외 관측시 고려할 점을 논의한다.(중략)

  • PDF

실시간 피폭해석 시스템 검증을 위한 야외 확산실험

  • 한문희;김은한;서경석;황원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71-74
    • /
    • 1996
  • 원자력시설의 비상사태시 대기중으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로부터 주변 주민 및 환경이 받는 영향을 신속·정확하게 평가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간 방사선 피폭해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수립된 대기 확산모델의 검증 및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야외 확산실험이 수행되었다. 대기 확산모델의 계산결과와 실험을 통하여 관측된 추적자 가스의 농도 분포를 상호 비교한 바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서는 관측된 농도값과 계산된 농도값이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실험 대상 지역에서 충분한 기상 관측을 수행하지 못하여 시간에 따른 풍속의 변화를 확산모델에 자세히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이었다.

  • PDF

Meteorological Information Analysis Algorithm based on Weight for Outdoor Activity Decision-Making (야외활동 의사결정을 위한 가중치 기반 기상정보 분석 알고리즘)

  • Lee, Moo-Hun;Kim, Min-Gy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3
    • /
    • pp.209-217
    • /
    • 2016
  • Recently, the outdoor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economic growth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In addition, weather and outdoor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Currently, Outdoor Activities decisions are determin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or's forecasts and subjective experience. Therefore, we need the analysis method that can provide a basis for the decision on outdoor activities based on meteorologic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can analyze meteorological information to support decision-making outdoor activities. And the algorithm is based on the data mining. In addition, we have constructed a baseball game schedule with automatic weather system's observation data in the training data. We verified th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부력식 수위계의 관측 특성

  • Lee, Bu-Yong;Park, Ji-Chang;Jang, Seong-Won;Han, J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209-210
    • /
    • 2006
  • 장비의 설치 후 수위 값에 대한 보정 없이 1년간 관측한 결과 20 미터 측정 구간에 대해서 최대 20 cm의 오차가 발생하여 약 1%의 오차가 있었으며, 그 후 오차는 줄어들어 약 ${\pm}2\;cm$이내의 값을 유지하는 매우 안정된 일변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측정 오차 0.1%에 해당하는 매우 안정된 관측 자료이다. 개선된 부력식 수위계는 관측에 있어서 1년간 야외에서 안정된 값을 나타내어 댐에서의 수위와 지하수 수위 측정에 활용 가능성을 볼 수 있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for the Field Tracer Experiment over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고리 원전주변에서 야외 확산실험 모사)

  • Suh, Kyung-Suk;Kim, Eun-Han;Whang, Won-Tae;Jeong, Hyo-Joon;Han, Moon-Hee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29 no.3
    • /
    • pp.205-212
    • /
    • 2004
  • Three-dimensional wind field and atmospheric dispersion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r estimating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s of radioactive materials released into atmosphere. The field tracer experiment near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located over complex terrain was carried out for validating the atmospheric dispersion model. The wind fields we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calculating the concentration. Therefore several numerical simulations using the measured wind data were performed to get more accurate concentration distributions compared with the analyzed values of the tracer gas. The calculated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greed well in the case of the usage of the more measured wind data in wind field model.

야외규모 TCE 질량전이 모델의 개발

  • Park Eun-Gyu;Parker John C.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72-7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야외규모 TCE (trichloroethylene) 질량전이역학을 평가하기 위해 TCE의 대수층 내 유입 및 용해상 거동을 고해상도 수치 모사를 실시하였다. 공간적으로 불균질한 대수층 $10{\times}10{\times}10m$ 도메인 내부의 유입된 TCE 분포를 모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정성적 침투모델(percolation model)이 이용되었다. 이를 기초로 하여 연계되어진 (coupled) 지하수 유동 및 용해상 거동 장기 (long-term) 모사를 실시하였다. 지엽적으로 일어나는 질량전이는 기존 연구를 통하여 발표되어진 실험실규모 연구에 기초하였다. 지하수가 도메인을 지나 흘러나가는 경계면에서 측정되어진 용해상 (aqueous phase) TCE의 질량선속 (mass flux)을 통해 실질 야외규모 질량전이 상수가 계산되었다. 관찰된 바 야외규모 질량전이 상수는 실험실 연구를 통해 측정된 값에 비하여 휠씬 작은 값을 보였으며 이는 지하수 유속 및 TCE의 불균질한 분포에 기인한다. 야외규모 질량전이 상수는 평균 지하수 유속에 직접 비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이는 기존 실험실 연구를 통해 알려진 평균 지하수 유속의 0.7승이라는 결과와 대조되는 것이다. 또한 모사를 통해 관찰된 야외규모 질량전이 상수는 상대 TCE 질량의 고갈상수 승에 비례함을 보였다. 이러한 고갈상수는 TCE가 측방으로 퍼지는 현상이 강한 대수층, 즉 저투수성 층의 발달이 양호한 대수층, 에서는 1보다 작은 값을 갖고 그렇지 않은 대수층, 즉 저투수성 층의 발달이 미약한 대수층, 에서는 대체적으로 1보다 높은 값을 갖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이는 DNAPL의 측방 퍼짐이 강한 대수층에서는 용해로 인한 시간에 따른 오염원 부근에서의 농도 감소가 미약하기 때문인 것이며, 그와 반대로 DNAPL의 측방 퍼짐이 약한 대수층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해에 의해 지속적으로 오염원 부근에서의 농도가 감소 또는 소멸함으로 인하여 측정되는 용해상 DNAPL의 질량 선속 역시 계속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The Analysis of Mesoscale Circulations Characteristics Caused by the Evaporation-Efficiency of Water Retention Pavement (보수성 도로 포장재의 증발효율 변화에 의한 중규모 순환장 특성 분석)

  • Kim, In-Su;Lee, Soon-Hwan;Kim, Hae-Dong;Suh, You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6
    • /
    • pp.709-720
    • /
    • 2009
  • Field observation and numeric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water retention pavement on the surface heat budget and on the regional circulation. The numerical model applied in this study is the atmospheric dynamic model Local Circulation Model (LCM) with two dimensional grid system, and a field observation was carried out under the clear sky and calm conditions of the weather on 19 July 2007. In the field observation, the maximum value of surface temperature on pavement covered with water retention material reached the $41.2^{\circ}C$ at 1430 LST and the values was lower for $16.1^{\circ}C$ than that of asphalt without the material. The Case BET03 assumed to be 0.3 for the surface evaporation efficiency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ation and its sensible and latent heat fluxes were numerically estimated to be 229 and 227 $W/m^2$, respectively. Results of the numerical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the water retention pavement tends to induce the increase of latent heat flux associated with the lower surface temperature and mixing height during the daytime. Discontinuity of latent heat caused by the water retention pavement also tend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mesoscale circulation called as land-land breeze or country breeze.

Hari Intensive Field Experiment (HIFE): Overview (하리 집중 야외 실험: 개요)

  • Kim, J.;Yun, J.I.;Ryoo, S.B.;Kim, J.K.;Yun, S.H.;Lim, J.H.;Lee, D.Y.;Kim, M.Y.;Kim, K.H.;Hong, K.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01.06a
    • /
    • pp.1-2
    • /
    • 2001
  • 1. 연구목적 : 현재 한반도 내에서 관측을 수행하고 있거나 계획중인 지표 플럭스 관련 연구자들간의 관측 시스템의 상호 비교, 경계층 동시관측,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다양한 미량기체 플럭스 관측 및 지면과정 모형의 운용과 검정을 위한 실측 자료 확보, 분석 및 활용 2. 논의 : 하리 HIFE 집중실험에 참여한 연구팀들의 관측 시스템 및 연구 목적을 간략히 소개하고 이들간의 국내 공동 연구 및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에 대하여 소개한다.(중략)

  • PDF

Development of Design Principles for Astronomical Observ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Authentic Inquiry (참탐구를 위한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 설계 원리 개발)

  • Choi, Dong-Yeol;Ahn, Yumi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2 no.6
    • /
    • pp.752-769
    • /
    • 2021
  • Although astronomical observation has various educational effects and values, studie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earth science education have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with other fields. In addition,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ystematic design principles development guiding teachers in the application of practical astronomical observation education.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velop design principles for astronomical observation education programs for K-12 students and applied the program to the classes. The initial design principle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revised through validation processes by eight experts. The final principles were confirmed based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wo high school teachers, and they included 11 design principles and 27 detailed guidelines. In addition, an astronomical observation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eight lessons was designed by applying the final design principle. This program was applied to after-school classes in high school, the responses of participating students were investigated. We anticipate our design principles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systematic design of various types of observation activities, including outdoor observ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