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야만성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밀리터리 룩에 표현된 파시즘 - 1990년대 이후부터 - (Fascism Expressed in Military Looks: Since the 1990s)

  • 임상임;추미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5호
    • /
    • pp.845-85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of military looks with fascist aesthetics and to infer various aesthetic values of fascism expressed in military looks. The research method is documentary studies through the literature and academic papers, and examined masters' and doctors' theses, domestic and overseas books and fashion magazines, photographs and materials collected from the Internet. The facism expressed in military looks is as follows: First, nationalism, reflecting the current ideology of rebellion, appeals to the original national sentiment of the masses. Second, temptation implies that fascism tempts the mass using the nature of charisma rather than by force and, by doing so, accumulates mighty power without military force. Third, mythology is utilizing images and symbols of great appeal to people for absolute power beyond the concept of time. In order to express power for the effusion of emotional energy through the vision for realities and the magical power of images. Fourth, barbarism is always harbored in the conflict and confrontation of interests among ideas, economies, religions and classes on the other side of contemporary civilized society.

  • PDF

김지훈 작 풍찬노숙 혼혈족의 혁명논리로부터 새로운 질서 찾기 (Kim Jihoon's , Finding a New Order from Revolutionary Logics)

  • 권경희
    • 한국연극학
    • /
    • 제48호
    • /
    • pp.127-170
    • /
    • 2012
  • The primary concerns of this thesis simply stems from the curiosity of how the playwright Kim Jihoon lookouts a peculiar change of our spiritual, physical world. His lately work, , deals with a tribe of mixed blood who are either not shared by, or excluded from a national system, putting the writer's emphasis on some hints that informs us his outlook on the world. And these hints summon the following doubts. What is the significance of constituting a national community in this age, particularly in the time when the end of national people is frequently being referred? In strengthening national compositions, can the national identity be a pivotal element and central mechanism? Can the identity be able to exercise the hegemonic functions containing the political rights of decisions? Does the identity still dominate the various collective bodies such as genders, races, regions, professions, generations and classes etc? Finally, as the manifests, can the national identity be a desirable alternative that may cease both confusions and disorders evoked by the collision of heterogeneity? To find the answer, the study starts from a search for the origin of the complexities immanent in the mixed blood. The terror syndrome and the ambiguous identity, both residing outside the border of normality, will characterise the origin. Then I will focus both on the tribe's desperation itself and their present hope, in order. A myth of creating a country, making history and nationalism, all these are converged in their resistant ideology. This thesis ends with no clear conclusion, and yet suggesting the three presumptions the text insinuates: nomadism, a new barbarism, and the heterogeneity that awaits for our re-reading, and hoping that the three will lead the 'being-to-come' of the tribe, as an alternative of their future.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이버네틱스와 휴먼·포스트휴먼에 관한 인문학적 지평 연구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e Human/Posthuman Discourses Emerging From Cyberne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 김동윤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836-848
    • /
    • 2019
  • 본 글은 오늘날 과학기술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친 사이버네틱스와 이를 계승한 인지과학, 인공지능, 이로 인해 촉발된 포스트휴먼 담론으로 이어지는 맥락을 살펴보고자 한다. N. 위너에 의해 주창된 사이버네틱스는 현대정보과학과 뉴런망(網) 개념을 배태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인간의 정신(mind)을 디지털 부호화하려는 현대 뇌신경과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말해진다. N. 위너는 인간은 커뮤니케이션의 동물이라고 전제하고 피드백에 입각한 정보이론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위너는 기존 인간의 부정적인 국면들(폭력성, 야만성 전쟁 등)과 전체주의적인 선동 선전에 의해 정보의 엔트로피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부정적인 정보의 엔트로피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이버네틱스, 즉 자동제어 장치를 통해 정보가 자유롭게 유통되는 시스템을 고안한 것이다. 이제 인간 사회는 피드백 효과에 바탕을 둔 정보이론과 그 시스템에서 서로 소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너는 인간이 기계가 되고 매체가 과잉 정보로 인해 정보가 전달하는 메시지가 단지 되풀이되는 것을 경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이버네틱스는 닫혀진 시스템으로서 복합성에 의해 비판 받게 되었다. 그 이후 사이버네틱스 개념은 이를 계승한 인지과학의 영역에서 인지주의(Cognitivism)를 낳았고 이는 오늘날 인공지능 개발의 기반 인식을 형성하고 있다. 인지주의의 단적인 예는 인간 뇌를 뉴런 개념으로 파악하여 뉴런을 디지털 부호화 함으로써 '뉴런인간'(장 피에르 샹죄)을 탄생시키는 것이다. 뉴런 인간의 개념은 인간과 기계를 동일시하고 인간의 탈신체화, 인간 신체의 탈문질화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다른 한편 인간 뇌의 디지털 부호화와 신체의 탈물질화는 N. K. 헤일즈가 말하는 '포스트휴먼'의 이상에 가깝다. 도나 J 헤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도 포스트휴먼의 이상을 사이보그로 구현하려 한다. 디지털 혁명으로 촉발된 포스트휴먼 개념은 기존 인간에 대한 정의와 위상, 인간과 기계의 관계와 경계를 근본적이고 급진적인 방식으로 질문한다. 인간의 이상과 인류의 오랜 염원은 인간 존재를 불멸화하는 것이다. 18세기 계몽주의자 콩도르세가 말하는 완벽가능성의 이상은 완벽하게 만들어진 인간에 대한 환상과 신화이다. 귄터 안더스는 인간이 완벽하게 만들어지지 않고 불완전한 인간으로 태어난 것을 부끄럽게 여긴다고 말한다. 인간의 자가제조를 통한 완벽성의 꿈과 환상은 삶의 지평에서 - 불멸을 꿈꾸면서 - 죽음을 후퇴시키고 삶으로서의 세계(Lebenswelt)를 축출한다. 삶의 세계는 삶의 풍요로운 의미의 근원이자 실존적 지평이다. NBIC 기술, 사이버네틱스, 인공지능, 뇌신경과학의 다양한 형태의 결합은 '호모 아티피시알리스'(Homo Artificialis, 인공인간)를 창발함으로써 오랜 시간 속에서 숙성된 인문적 성찰과 지혜, 그것이 사유한 삶의 근원으로서의 실존적 지평을 근본적으로 뒤흔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급진적인 과학기술적 변화의 맥락에서 떠오른 '포스트휴먼' 개념은 - 역설적이게도 - 인간(휴먼)의 위상, 삶의 의미, 존재의 지평 등 가장 인간(학)적 형이상학적 실존적인 질문들을 재점화하고, 깊은 인문적 성찰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