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야경증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몽유병과 야경증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 박영우
    • 수면정신생리
    • /
    • 제2권1호
    • /
    • pp.13-22
    • /
    • 1995
  • To provide the physician with adequate information to diagnose and treat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the author reviewed clinical features, epidemiology, causative and precipitating factors, polysomnography, diagnosis,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for these disorders.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have been defined as disorders of arousal that occur early in the night and have their onset during stage 3 or 4 sleep. In both disorders, patients are difficult to arouse, and complete amnesia or minimal recall of the episode is frequent. Genetic, develop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as causes of both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Sleepwalking and sleep terrors typically begin in childhood or early adolescence and are usually outgrown by the end of adolescence. When sleepwalking or sleep terrors have a post-pubertal onset or continue to adulthood, psychopathology is a more significant causative factors. The behavior that occur from deep slow-wave sleep can be painful or dangerous to the individual and/or disturbing to those close to that individual. The assessment of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these conditions requires a thorough medical and sleep history.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in managing patients with sleepwalking or sleep terrors episodes is protection from injury.

  • PDF

야경증의 한약 치료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Trend of Clinical Studies on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Night Terrors)

  • 정지은;최유민;장인수;정민정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8-90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relevant clinical studie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herbal medicines for night terror in children. Methods Studies on herbal treatment for night terrors were searched and analyzed through electronic databases such as PubMed,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Wanfang, CiNii, J-STAGE,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and Science ON. Studies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ase series, and case reports. Results A total of 25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most studies, improvement of night terrors was observed after treatment, such as high total effectiveness. In one study, the frequency of night terror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herbal medicine group.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linical studies, we identified that herbal medicine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night terror. But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ove the effect and safety through additional systematic clinical studies.

부산광역시 일지역 65-84세 노인 인구에서의 수면습관 및 수면장애에 대한 조사 (Sleep Habits and Sleep Disorders among the Elderly Between 65-84 years Who are Living in a Part of Pusan)

  • 양창국;유승윤;주영희;한홍무
    • 수면정신생리
    • /
    • 제4권1호
    • /
    • pp.66-76
    • /
    • 1997
  • 연구배경 : 나이가 들면서 수면습관에 많은 변화가 있고, 이와 함께 수면장애가 증가하나, 이에 대한 관심이 적기 때문에 노인 인구에서의 수면습관 변화에 따르는 문제점 및 수면장애에 대한관심이 적다. 따라서 본연구를 통하여 노년기에서의 수면습관 및 수면장애를 동시에 조사함으로서 노인인구에서의 수면습관 및 수면장애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려고 한다. 방법 : 부산시 일지역 거주 65세 이상 84세 이하 노인인구 933명 중 무작위로 표집한 206명 (22.08%)을 대상으로 개별 가정방문을 통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 1. 평균취침시간은 $10.28{\pm}1.30$시 였고, 입면에 소요되는 시간은 $44.51{\pm}45.12$ 분이었다. 수면중간에 깨는 횟수는 하룻밤 $2.05{\pm}1.59$회 였고 중간에 깨어 있는 시간의 합산은 $42.08{\pm}49.80$ 분이었다. 아침에 깨어나는 시간은 $5.24{\pm}1.33$시였고 잠자리에서 일어나는 시간은 $6.25{\pm}1.38$시였다. 총수면 시간은 $5.63{\pm}1.80$시간이었다. 일주일에 $2.86{\pm}2.85$일간 입면 및/또는 수면유지의 곤란을 호소하였고 일주일에 $2.49{\pm}3.23$회의 낮잠을 자고 있었다. 2. 전체 조사대상 206 명중 116명 (57.7%)은 불면증 군으로, 85명(42.3%)은 비불면증 군으로 분류되었다. 불면증 중에서 108명(52.4%)은 입면에 어려움을, 103명(50.5%)은 새벽 일찍 깨는 것을, 93명 (45.1%)은 수면 유지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3. 불면증이외의 수면장애에 대한조사에서 전체 조사대상 206명 중 악몽 68명(33.0%), 잠꼬대 43명(20.9%), 수면 무호흡증 30명(14.6%), 야경증 16명(7.8%)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면장애의 가능성이 의심되었다. 4. 수면위생이 불량한 경우가 많았고, 전체 조사 대상 206 명중 현재 11명 (5.3%)이 불면증 때문에 수면제를 복용하고 있었고, 12명(5.8%)이 잠을 이루기 위하여 술을 마시고 있었다.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잠자리에서의 걱정 81명(39.3%)과 신체적인 통증 38명(18.4%)이 가장 많았다. 5. 전체 조사대상 206 명중 110 명(55.2%)이 신체적인 불편을, 93명(45.4%)이 불안이나 우울 등의 심인적인 고통을 호소하고 있었고, 이는 불면증군에서 더 유의하게 많이 호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