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액체 입자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9초

교반기 내부의 고체/액체 다상 유동의 비정상상태 해석 (Transient Simulation of Solid/Liquid Two-Phase Flow in a Stirred Tank)

  • 김치겸;용석진;원찬식;허남건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36-239
    • /
    • 2008
  • In the present study, a transient glass particle distribution in a stirred solid/liquid mixer was investigated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The flow patterns and solid concentaration distriburion in a solid/liquid mixer formed by pitched paddle and baffles were predicted. The numerical results were compared to experimental data from the available literature. Eulerian multi-phase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density of solid particle on the same impeller speed. A good agreement was obtained between the experimental data and simulation results.

  • PDF

Colloidal Silver Emulsion에서 안정성과 효능, 효과에 관한연구 (STUDY OF STABILITY AND EFFECT OF COLLOIDAL SILVER IN VARIOUS EMULSIONS)

  • 지홍근;윤경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8-73
    • /
    • 1998
  • 콜로이드라함은 직경이 대체로 10-5 ~ 10-7 cm 정도의 고체 혹은 액체의 분산입자를 말하는데 이러한 COLLOIDAL SILVER는 전기분해 방법으로 생성시키는데 전하량과 시간에 따른 다양한 농도의 COLLOIDAL SILVER를 생성시켜 이COLLOIDAL SILVER를 이용해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COLLOIDAL SILVER의 농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최적의 EMULSION의 조건을 측정하였다. 또한, COLLOIDAL SILVER를 크림에 적용시켜 EMULSION의 안정성을 ZETA TOTENTIAL, CHROMA METER로 측정하였다.

  • PDF

모래의 2 또는 3성분계의 유효열전도도 예측 모델 (A Model for Predicting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2- or 3- Component Sand System)

  • 박상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3권7호
    • /
    • pp.811-819
    • /
    • 1999
  • A theoretical model to predict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sands Is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participating heat transfer mechanisms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model geometry. Comparison between the calculations and the measurements indicates that the assumptions to introduce two model constants (${\phi}_{af}$ and ${\delta}$) for model development were justified. As a results, the model was proved to predict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ies of 2- and 3-component systems of two silica sands saturated with fluids or bonded with liquid binders in a reasonable accuracy.

고점성 유체 내부에서의 다상유동장 가시화 및 PIV 측정 (Flow Visualization and PIV Measurement of Multiphase Flow in Highty Viscous Liquid)

  • 김현동;류승규;김경천
    • 한국가시화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54
    • /
    • 2006
  • A visualization study of flow characteristics in a mixer using multi-nozzle bubbling was performed. The mixer is filled with liquid glycerin (dynamic viscosity = $1000mPa{\cdot}$ s at $25^{\circ}C$) and convective mixing is induced by air bubbles generated from 9 orifice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ixer. To visualize the flow field, PIV (Particle Image Velocimetry) system consisting of 532nm Nd:YAG laser, $2k\times2k$ CCD camera and synchronizer is adopted. The bubbles generated with uniform size and frequency form bubble stream, and bubble streams rise vertically without interaction between bubble streams. Mixing efficiency is affected by the height of bubbler and the effective height of bubbler is 20mm from the bottom of the mixer.

  • PDF

실리카 나노입자 표면에 결합된 2차 아미노기와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의 마이클 부가반응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Michael Addition Reaction between Secondary Amino Groups on the Silica Surface with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s)

  • 전하나;하기룡
    • 폴리머
    • /
    • 제36권6호
    • /
    • pp.822-83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 나노입자를 우수한 내가수분해성을 가지는 dipodal 형태의 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BTMA)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개질한 후, 실리카에 도입된 BTMA의 2차 아미노기인 N-H기와 마이클 부가반응이 가능한 acrylate기를 1분자당 2개씩 가지는 poly(ethylene glycol)diacrylate(PEGDA)로 표면 처리하여 acrylate기를 실리카 입자 표면에 도입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PEGDA의 몰수 및 3가지 서로 다른 분자량의 PEGDA(M.W. 258, 575, 700) 처리가 실리카 표면에 도입되는 acrylate기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 elemental analysis(EA, 원소분석) 및 고체 상태 $^{13}C$ cross-polarization magic angle spinning(CP/MAS)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NMR)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액체상태의 순수 PEGDA와 순수 BTMA를 같은 몰 비로 반응시키면 PEGDA 1분자당 2개씩 존재하는 acrylate기 중 1개 acrylate기는 순수 BTMA의 N-H기와 1:1의 비율로 마이클 부가반응이 일어나 ${\beta}$-amino acid ester를 형성하고, 나머지 1개의 acrylate기는 남아서 중합반응이 가능한 단량체 합성이 가능하다. 하지만, BTMA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를 PEGDA와 반응시키면, PEGDA 1분자당 2개씩 결합있는 acrylate기 대부분이 실리카 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BTMA의 N-H기와 마이클 부가반응으로 ${\beta}$-amino acid ester를 형성하여, acrylate기의 C=C기 대부분이 C-C로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의 ZnS:Mn/ZnS 코어-쉘 양자점의 합성 및 광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es and Properties of ZnS:Mn/ZnS Core-Shell Quantum Dots Prepared via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s of Organometallic Precursors at Various Reaction Temperatures)

  • 이재욱;황청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677-68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ZnS:Mn/ZnS 코어-쉘 양자점을 유기금속전구체의 열분해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쉘의 형성온도를 135$^{\circ}C$로 고정한 반면 코어 나노입자의 합성 온도 조건을 다양화 하여 각 조건하에서 형성된 양자점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을 통해 얻은 양자점들은 UV-Vis, 액체 photoluminescence (PL) spectroscopy 방법으로 광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XRD, HR-TEM, 및 EDXS 분석으로 입자크기와 조성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가장 좋은 광 특성을 보인 나노입자의 합성조건은 코어와 쉘 모두 135$^{\circ}C$인 것으로 밝혀 졌으며, 이 조건에서 얻은 양자점은 583 nm 의 PL 발광 피이크와 42.15%의 높은 양자효율을 나타내었다. HR-TEM 으로 측정한 ZnS:Mn/ZnS 양자점의 평균 입자크기는 지름이 약 4.0 - 5.4 nm 정도였으며, 특히 150$^{\circ}C$의 온도 조건에서는 타원형의 입자가 형성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국내원전의 방사성유출물 배출현황과 특성에 대한 고찰 (A Review and Characteristics for Radioactive Effluents from the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 손중권;공태영;최종락;김희근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138-145
    • /
    • 2012
  • 국내에서는 2010년 말 기준으로 21기의 원전이 운전 중에 있다. 이에 따라 원전에서 배출되는 방사성유출물은 지속적으로 늘어나 2010년에는 547.12 TBq이 배출되었다. 국내원전의 기체와 액체 방사성유출물 배출량은 2001년에서 2010년까지 10년 동안 경수로원전의 경우에는 연평균 11.61 TBq/호기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중수로원전의 경우 118.12 TBq/호기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들 기체나 액체 방사성유출물의 배출 핵종의 대부분은 삼중수소로 나타났다. 이러한 배출경향과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원전의 방사성유출물 관리에 대한 특성을 제시하였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종액체 정상 상태 혼합의 혼합과정 해석 (Analyses of Steady State Mixing Process of Two-Liqui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공대경;염주호;조경래;도덕희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9권5호
    • /
    • pp.523-529
    • /
    • 2018
  • Two liquids which are generally used as fuels of rockets are mixed and their mixing process is quantitatively investigated by the use of 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As working fluids for the liquid mixing, Dimethylfuran (DMF) and JetA1 oils have been used. Since the specific gravity of DMF is larger than that of JetA1 oil, the DMF oil has been set at the lower part of the JetA1 oil. For better visualization of the mixing process, Rhodamin B powder has been blended into the DMF oil. An agitator having 3 blades has been used for mixing the two liquids. For quantitative visualization, a LCD monitor has been used as a light source. A color camera, camcoder, has been used for recording the mixing process. The images captured by the camcoder have been digitized into three color components, R, G, and B. The color intensities of R, G, and B have been used as the inputs of the neural network of which hidden layer has 20 neurons. Color-to-concentration calibration has been performed before commencing the main experiments. Once this calibration is completed, the temporal changes of the concentration of the DMF has been quantitatively analyzed by using the constructed measurement system.

유수분리를 위한 3D 프린팅 기술 기반의 마이크로하이드로사이클론 (3D-Printed Microhydrocyclone for Oil/Water Separation)

  • 김주완;김원진;박승;박채리;유정흠;지인서;강전웅;김태영;홍지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2호
    • /
    • pp.289-294
    • /
    • 2022
  • 생활 폐수나 산업 폐수에 포함된 오일이나 해양 유출유 등은 수질오염 및 생태계 파괴 등의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대표적인 유수분리기술인 필터(또는 멤브레인)를 사용하는 경우에 분리막의 파울링, 낮은 처리용량 등의 기술적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유체내의 입자상 물질이나 밀도가 다른 액체-액체 혼합물을 분리하는 장치인 하이드로사이클론의 장점을 활용하며, 동시에 분리 효율을 증대시키 위하여 고해상도의 3D 프린팅 기술을 도입하여 스케일 다운된 마이크로하이드로사이클론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마이크로하이드로사이클론을 통해 탈이온수와 올리브유로 이루어져 있는 수중유상 에멀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탱크 내 격벽에 의한 간극 변화가 선박 운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Sloshing Tank on Vessel Motions with Various Baffle Clearance)

  • 김경성;유선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96-802
    • /
    • 2018
  • 선박의 유체 저장 탱크 내부의 적재용량에 의한 선박 운동 고유 특성의 변화는 많은 실험 과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현상에 의한 선박 운동 특성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는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횡동요 운동에 대한 저감효과에 대한 부분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치 중 하나인 저장탱크 내부의 격벽에 의한 횡동요 저감장치의 길이 변화에 따른 간극의 변화에 의한 선박 운동의 변화를 수치 시뮬레이션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경계요소법 기반의 부유체 운동 프로그램과 입자법 기반의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이 동적 연성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동적 연성된 프로그램은 동일 실험과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검증된 프로그램은 격벽의 길이를 달리하여 간극에 변화를 준 다양한 경우에 대해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액체 저장률의 변화 및 액체 탱크 내부의 격벽에 의한 간극의 차이에 의해 선박 운동 특성이 변화함을 응답 진폭 함수의 비교를 통해 확인하였다. 주목할 만한 결과로써 적재용량에 따라 변화하는 선박의 운동 특성이 간극을 조정함으로써 동일한 선박 특성을 가지게 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격벽에 의한 간극의 조종을 통한 선박 운동 제어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추후 격벽의 수 및 각기 다른 길이를 가진 격벽에 의한 연구를 수행하여 격벽 길이 조정을 통한 선박 운동 특성 제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