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암 전이

검색결과 1,816건 처리시간 0.029초

갑상선에 생긴 전이성 유방암의 초음파 소견 및 중심부 바늘 생검의 진단적 가치: 증례 보고 (Ultrasonographic Features and the Diagnostic Role of Core Needle Biopsy at Metastatic Breast Cancer in the Thyroid gland: A Case Report)

  • 이동현;윤라경;안진경;우정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719-725
    • /
    • 2020
  • 갑상선으로의 전이는 매우 드물며, 유방암의 갑상선으로의 전이 또한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64세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갑상선으로의 전이성 암 병변에 대한 초음파 소견과 중심부 바늘 생검의 진단적 역할에 중점을 두어 증례 보고를 하고자 한다. 초음파에서는 뚜렷한 종괴 형성은 보이지 않으면서 갑상선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저에코의 선 형태와 미세석회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미세석회화 부분을 조직검사의 표적으로 하여 중심부 바늘 생검을 시행하였고, 생검 결과 전이성 유방암으로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행하여 림프선을 따라 전이한 침윤성 유관암으로 진단되었다. 저자들은 이러한 초음파 소견을 보일 경우 미세침흡인생검으로는 표적을 정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중심부 바늘 생검을 이용하면 조직 자체를 얻어 수술 전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충남 사문암 지역 토양 식물체 및 계류의 중금속 오염 (Heavy Metal Pollutions of the Top Soil Plants and Stream Water from the Serpentinite Area Chungnam)

  • 김명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9-126
    • /
    • 2000
  • 충남 사문암 지역인 광천, 홍성, 백동, 대흥 및 유구지역의 토양, 식물체(참억새, 쑥, 리기다소나무) 및 지표수, 갱내수의 중금속 함량을 분석한 결과 사문암 토양의 Ni, Cr 및 Co 원소가 변성암 토양에 비하여 10~13배높았으며 이 원소들이 serpentine factor로 생각된다 사문암 지역간에는 이들원소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변성암 토양식물에서보다 사문암 토양 식물에서 Ni, Cr, Co등이 높았다 리기다소나무의 원소 흡수량은 비교적 낮았고 3종 식물에서 대체로 뿌리의 원소 함량이 지상부 함량보다 높았으며 사문암 토양에서는 Ni, Cr, Co, Mo, Sc, As 및 Fe 원소들이 쑥보다 참억새에서 높았다 사문암 토양에서 생육하는 식물체 지상부의 생물학적 흡수계수는 Ni, Cr, Co, Zn, Sc, As 및 Fe 원소는 참억새에 높고Zn은 쑥에서 높았다,. 사문암 토양에서 뿌리로부터 지상부로의 원소 전이는 Ni, Cr, Co, Zn As 및 Fe 원소에 대해 쑥에서 높았고 Mo와 Sc 원소는 리기다소나무에서 높았다. 따라서 사문암 토양에서 참억새가 중금속의 흡수율은 높고 중금속에 대한 내성은 강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흥지역에서 광산의 오염이 지표수 및 갱내수의 Ni. Cr, Co, Zn 및 Fe 등의 원소 농도를 높게 하였으며 비오염 계류는 오염계류의 원소 농도를 희석시켰다.

  • PDF

두경부암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 예측인자 및 영상 소견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from Head and Neck Cancer: Predictive Factors and Imaging Features)

  • 고일권;윤대영;백소라;홍지현;윤은주;이인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246-1257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두경부암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의 예측인자와 영상 소견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대상과 방법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두경부암 환자 중에서 종격동 림프절 전이그룹과 비전이 그룹 사이의 임상 소견 및 질병의 특성(성별, 연령, 원발성 종양 부위, 조직학적 유형, 악성종양에 대한 이전 치료이력, T-, N- 및 M- 단계, 경부 림프절 전이) 들을 비교하였다. 또한 저자들은 전이그룹에서 종격동 림프절 분류에 따라 림프절 전이의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전이분포와 림프절 최대직경) 및 양전자방출단층촬영/전산화단층촬영(최대 표준섭취계수)의 소견을 평가하였다. 결과 두경부암 환자 470명 중 55명(11.7%)에서 150개의 종격동 station을 포함하는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발견되었다. 하인두암, 재발한 종양, T4, N2/N3, 및 M1 단계는 종격동 림프절 전이의 의미 있는 예측인자로 평가되었다. 종격동 림프절 전이의 가장 흔한 위치는 일측 station 2 (상부기관주위 림프절, 36.4%), 일측 station 11 (엽간 림프절, 27.3%), 일측 station 10(폐문 림프절, 25.5%) 순이었다. 결론 하인두암, 재발성 종양 및 높은 TNM 단계인 경우, 두경부암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복장뼈로 전이된 저분화 갑상선암: 증례 보고 (Metastasis of Poorly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to the Sternum: A Case Report)

  • 김혜정;윤인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4호
    • /
    • pp.939-944
    • /
    • 2020
  • 저분화 갑상선암의 복장뼈로의 전이는 드물어 산발적인 증례 보고가 대부분이다. 저자들은 저분화 갑상선암으로 우측 갑상선편측절제술을 시행 받은 83세 여자 환자에서 수술 2년 후 복장뼈로의 전이가 발생하여 복장뼈 제거술 및 재건술을 시행 받은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침윤성 유방암의 이시성 반대쪽 액와 림프절 전이: 영상 소견을 포함한 증례 보고 (Metachronous Contralateral Axillary Lymph Node Metastasis from Invasive Breast Carcinoma: A Case Report with Imaging Findings)

  • 김지은;정현경;김우경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239-245
    • /
    • 2022
  • 이시성 반대쪽 액와 림프절 전이는 유방암에서 드물게 발생하며, 현재 원격 전이로 분류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이것이 국소 질환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완치를 위한 치료를 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저자들은 유방암을 진단받은 지 22개월 후에 반대쪽 액와 림프절 전이가 확인된 67세 여성의 증례를 영상 소견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액와 림프절 절제 수술 후 보조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수술 6개월 후 추적검사에서 종양 재발이나 전이의 증거는 없었다.

암환자에서 방사선치료에의한 염색체이상 (Effect of Radiotherapy on Chromosomal Aberration in Cancer Patients)

  • 전하정;이명자;유명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43-50
    • /
    • 1993
  • 방사선에의 노출은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나 in vivo상태에서 방사선 조사 후 발생되는 염색체 이상의 종류와 빈도 규명은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전 및 후에 말초혈액 임파구의 염색체 변이를 비교 관찰하고 방사선 조사에 의해 암 환자세포에서 나타나는 염색체 이상에서 절단점의 분포가 암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된 유전자 및 염색체의 재조합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와 연관관계 가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5예의 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가 시작되기 전과 $4000\~7000cGy$의 근치적 방사선치료가 끝난 직후 말초 혈액을 채취하여 임파구를 배양후 G-분염법을 이용하여 염색한 후 환자마다 방사선치료 전후로 각각 30개씩의 증기상을 관찰하였다. 치료전에 염색체 이상을 나타낸 세포 분열 중기상의 빈도는 $4.93\%$로 정상 대조군 집단의 빈도 $2\%$보다 높았다(p<0.05). 방사선 치료후 염색체 이상 세포의 빈도는 $22.13\%$로 치료전에 비해 매우 중가되었다(p<0.01). 또한 세포 중기상당 이상 염색체의 수도 치료전과 후가 각각 1.49및 2.14로 치료후 증가 되었다(p<0.05). 염색체 이상의 종류는 major chromosomal aberration 특히 구조적 이상의 빈도가 치료전보다 후에 $65.45\%$에서 $88.45\%$로 증가되었고 minor structural abnormality와 수적 변이의 빈도는 감소되었다. 방사선 치료후 염색체 절단점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가 단일 절단점을 가진 이상에 비해 증가되었다. 절단점의 분포에 있어서는 암세포에서 가장 흔한 이상을 나타내는 1번 및 3번 염색체와 절단점의 증가가 암 발생관 연관된다고 보고된 8번 및 11번 염색체에서 본 연구결과 기대치 이상의 절단점의 분포를 보이고, 암 세포에서 드물게 이상을 나타내는 13, 15및 21번 염색체에서는 기대치 보다 감소된 절단점의 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 후 염색체 이상의 빈도는 증가되었으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나타나는 염색체의 절단점의 분포는 암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된 유전자 및 염색체의 재조합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와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생강나무 추출물의 암전이 억제효과 (Effect of Lindera obtusiloba extract on cancer metastasis)

  • 윤혁;이용재;서현원;박경재;고하늘;차동석;권진;전훈;김강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5-417
    • /
    • 2012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생강나무 메탄올 추출물이 암전이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생강나무 추출물의 암전이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B16F10 흑색종 세포를 이용하여 금속단백분해효소의 활성 및 발현을 측정하였으며, 암세포의 이동능이나 침윤능도 조사하였다. 폐전이 동물모델에서 생강나무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활성을 최종적으로 확인하였다. 결 과 : 1. 생강나무 추출물은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뚜렷한 금속단백분해효소의 효소활성 및 발현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NF-${\kappa}B$의 활성 억제에서 기인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2. 흑색종 세포의 이동이나 침윤 역시 생강나무 추출물 투여에 의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3. 폐전이 동물 모델에서도 생강나무 추출물에 의해 폐로 전이되 집락의 수가 감소하였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생강나무 추출물은 뛰어난 암전이 억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이성 암치료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Clinical Observation of Oriental Medicine-Based Long Care for Terminal Rectal Cancer Patient with Multiple Metastasis

  • 방선휘;손창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67-573
    • /
    • 2008
  • 암은 현대의 모든 선진국에서 가장 주요한 사망의 원인이다. 통상적인 암 치료의 낮은 효율과 삶의 질의 중요성의 측면에서, 보완대체의학은 말기의 암 환자들에게 전 세계적으로 널리 수용되어지고 있다. 한의학은 전통적으로 종양 자체뿐만 아니라 암을 지닌 몸 전체를 함께 강조해 왔으며, 그로 인하여 종양면역을 개선시키고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며 생존기간을 연장하는데 일조한다고 여겨진다. 저자는 여기에서 전신에 전이가 이루어진 말기의 직장암 환자가 한방치료를 4년 정도 받으면서 양호한 임상경과를 보여 온 환자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가 암성 질환에 있어 한의학의 임상적 효용성의 예를 통하여 한의학 기반의 암 치료법의 개발과 발전에 일조하길 희망한다.

  • PDF

뇌 전이를 보인 갑상선 유두암 1예 (A Case of Thyroid Papillary Carcinoma Metastasizing to the Brain)

  • 윤정한;제갈영종;김재휴;김세종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35-240
    • /
    • 1996
  • 갑상선 유두암에 의한 뇌전이는 극히 드물게 발견되어며 그 진단 및 치료방법의 설정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못한 상태이다. 저자들은 갑상선 유두암으로 5년전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술받고 갑상선 호르몬 복용을 하고 있던 24세의 남자에서 간헐적인 발작을 일으킨 전두골내 병소가 갑상선 유두암의 전이에 의한 것임을 조직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병소는 전신 요오드 주사상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Brain CT 및 MRI 소견으로만 병변의 진단이 가능하였으며 stereotactic cranitomy에 의한 종양제거로 비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현재 밀착추적중에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