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암환자 간호

검색결과 598건 처리시간 0.026초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영적건강과 불확실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Health and Uncertainty in Cancer Patients Having Chemotherapy)

  • 안화진;태영숙;한영인
    • 종양간호연구
    • /
    • 제7권2호
    • /
    • pp.107-118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the uncertainty in cancer patients having chemotherapy through promoting their spiritual health an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health and uncertainty. Method: 174 cancer patients who were admitted for chemotherapy at hospital were recruited from the 7th March to the 10th April, 2006. Two instruments have been used for this study. One was Highfield's Spiritual Health Inventory and the other was Mishel's MUIS(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value, aver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Scheffe's 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SPSS PC 12.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mean value of the spiritual health $3.50{\pm}\;.48$ and the uncertainty was $1.91{\pm}\;.46$. It meant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 health and uncertainty were shown to have a moderately negative correlation(r=-.489, p= .000). This means that the greater is the spiritual health, the less is the patient's uncertainty. Conclusions: It was identified that cancer patients having chemotherapy had moderate spiritual health and uncertainty,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health and uncertainty.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relieve the uncertainty among cancer patients having chemotherapy.

  • PDF

말기 암 환자 간호사의 직무소진 관련 요인 분석 (Factors Associated with Burnout of Nurses Working for Cancer Patients)

  • 류정순;김광기;김정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8권1호
    • /
    • pp.45-51
    • /
    • 2005
  • 목적: 말기 암 환자 간호사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말기 암 환자들에 대한 최적의 간호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소진예방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편의표집방법에 의해 말기 암 환자 간호경험이 있는 30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 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 등이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실시되었다. 결과: 전체 응답자의 소진평균은 2.71로 높지 않은 편이었으며 소진유형별로는 신체적 소진이 가장 높았다. 연령과 근무연한이 신체적 소진과, 연령, 근무연한 및 호스피스교육 유무가 정서적 소진에서, 연령 및 종교가 정신적 소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종교, 병동만족도 호스피스교육이 전체 소진을 설명하는 변수였으며 소진유형을 설명하는 변수에는 약간 차이가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는 연구방법 및 한국적 현실에 적합한 변수 및 세부 소진 영역을 보완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 PDF

유방암 수술 환자에 대한 가정간호서비스의 경제성 평가 (Economic Evaluation of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s for the Breast Cancer Surgery Patients)

  • 고정연;윤주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6-367
    • /
    • 2021
  •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n economic evaluation of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s for the patients who had undergone breast cancer surgery. Methods: A total of 12,483 patients over 18 years of age who had received breast cancer surgery in 26 tertiary hospitals in 2018 were analyzed with the claim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using cost-minimization analysis and societal perspectives. Results: There were 156 patients who utilized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s within 30 days after breast cancer surgery, and they received 2.17 (SD=1.17)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 on average. The average total cost was 5,250,028 KRW (SD=1,905,428) for the group receiving continuous hospital-based home care and 6,113,402 KRW (SD=2,033,739) for the group not receiving continuous hospital-based home care (p<.001). The results of the economic evaluation of continuous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s in patients who had undergone breast cancer surgery indicated a total benefit of 953,691,000 KRW, a total cost of 819,004,000 KRW, and a benefit-cost ratio of 1.16 in 2018. Conclusion: Continuous hospital-based home care was considered economically feasible as the total costs for the group receiving continuous hospital-based home care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group not receiving continuous hospital-based home care. Therefore, policy modification and financial incentives are recommend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s for patients who had undergone breast cancer surgery.

진단 직후 유방암환자의 디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심리교육프로그램의 효과 (Psychoeducational Approach to Distress Management of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Breast Cancer)

  • 박진희;전미선;정용식;배선형;정영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69-67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grated psychoeducational program for distress management of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ethods: A quasi-experimental trial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47 femal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ssigned to an intervention group (n=25) and control group (n=22).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in integrated psychoeducational program, consisting of individual face-to-face education and telephone-delivered health-coaching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at three time points: pre-intervention (T1), post-intervention (T2), and 6-month follow-up (T3). Study instruments were Distress thermometer, Supportive Care Needs Survey Short Form 34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reast cancer pati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reported lower distress and supportive care needs than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reported higher quality of life (QOL) overall and higher emotional well-being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tegrated psychoeducational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reducing distress and supportive care needs and increasing QOL of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ncology nurses need to provide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to support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 managing their distress and helping them adjust to their life.

갑상선암환자의 방사성요오드 치료 경험 분석 (The Experiences of Thyroid Cancer Patients Receiving Radioactive Iodine Therapy)

  • 김주성;손현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935-494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는 갑상선암환자가 전처치기 및 입원치료기간 중 경험한 방사성 요오드 치료와 관련한 지각된 어려움, 의료진으로부터 제공받은 방사성요오드 치료정보 수준 및 치료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갑상선전절제술과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은 총 165명의 갑상선암환자이었다. 구조화된 설문지와 개방형 질문을 이용해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내용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처치기 및 입원치료기에 환자들이 가장 빈번히 지각한 어려움은 갑상선 특이적 증상이었으며(38.2% vs 43.0%) 방사성요오드 치료와 관련한 의료진의 정보제공 수준은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평균$3.63{\pm}0.80$점). 방사성 요오드 치료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중등도 수준(평균$6.43{\pm}2.21$점)으로 의학적 관심과 환자요구에 대한 의료진 대처절차에서 만족도($7.64{\pm}2.37$점)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정보 적절성($5.67{\pm}2.78$점)에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받는 갑상선암환자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갑상선 특이적 증상과 관련한 환자의 요구를 지지할 수 있고 방사성요오드 치료절차에 대한 환자의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환자들은 치료 행위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말기 암환자의 총체적 고통 (Total Pain of Patient with Terminal Cancer)

  • 이원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3권1호
    • /
    • pp.60-73
    • /
    • 2000
  • 목적 : 연구의 목적은 말기 암환자의 총체적 고통의 내용과 총체적 고통의 관련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 본 연구는 후향적 서술적 연구로 연구의 표본은 1단계에서는 1997년에 일개 대학에서 운영하는 호스피스 사업소에 등록된 환자전수를 대상으로 하였고 2단계에서는 4명의 호스피스 간호사에 의해 선정된 가장 고통이 심한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Twycross model의 분류 틀을 사용하여 호스피스 환자의 의무기록지를 분석하고 5명의 환자들을 담당하였던 호스피스 간호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의무기록지의 내용을 보충하였다. 또한 호스피스 정규 Team meeting시 사례연구를 통하여 고통의 내용과 관련요인을 확인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를 사용하였고 간호사와의 심층 면담은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 말기 암환자들이 주로 경험하는 주요문제들은 통증과 변비, 가족대응, 영적 고뇌(우울, 불안 등) 등으로 통증조절뿐만 아니라 가족의 대응 및 지지, 심리적 영적 지지와 함께 다른 증상조절에 필요한 적절한 간호중재가 요구됨을 나타내고 있다. Twycross model이 문화적인 차이가 있는 한국에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죽음이라는 사실을 당면한 환자에게 유용한 총체적 고통 model로 사료된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Twycross model이 한국적 상황에서의 총체적 고통을 설명하는데 유용하였으나 새로운 요인들이 첨가되었으므로 한국의 말기 암환자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 PDF

재가암 환자 통합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Cancer Survivors Living at Home)

  • 윤희상;황은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1-6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cancer survivors residing in the community based on the shared care model,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trial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35 cancer survivors with completed intensive cancer therapy at the cancer hospital. The intervention group (n=20) and the control group (n=15) were recruited from among a district home cancer patient registrations.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in an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the MAPP (Mobilizing for Action through Planning and Partnership) development process. The program consisted of physical, psycho-social and body image units.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before the program, and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ly 1 and September 2, 2018 using FACT-G quality of life (QOL), distress thermometer (DT), and resilie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a χ2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and ranked ANCOVA using SPSS. Results: The intervention group reported a higher QOL overall and significantly higher social/family well-being than the control group. Distr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interven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Resilienc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 on the shared care model and MAPP development process could be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social/family well-being and the QOL, and reducing distress of cancer survivors at home. Community health center nurses need to provide intervention to support self-care competency for cancer survivors' comprehensive care with physical, psycho-social, and body image to help them adjust their life to a moderate risk group in the community.

출산력과 연령으로 그룹화한 유방암 환자에서 비만이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besity on Survival Rate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 of Breast Cancer Patients sub-classified according to Reproductive History and Age)

  • 오영경;황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05-114
    • /
    • 2017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를 출산력과 연령으로 그룹화한 후 비만에 따른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을 비교분석하여, 비만 여부가 유방암 환자의 예후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동안 서울 일개 종합병원에 유방암으로 내원한 4181명의 환자였으며 2015년 5월 30일까지 생존여부와 재발여부를 추적 조사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이다. 연구결과 전체 환자에 대해 출산경험이 없는 환자군이 출산경험이 있는 환자군보다 생존율이 낮았고(p=.000), 나이가 40세 미만인 환자군이 40세 이상인 환자군보다 생존율(p=.003)과 무병생존율(p=.000)이 낮았으나, 비만 여부에 따른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출산력이나 연령을 기준으로 대상자를 그룹화한 후 분석한 결과 비만이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집단이 확인되었다. 출산력을 기준으로 분류한 환자군에 대해, 출산력이 있는 환자군 내에서 비만 환자의 생존율(p=.001)이나 무병생존율(p=.005)이 비비만 환자보다 낮았다. 연령을 기준으로 분류한 환자군에 대해서도, 나이가 40세 이상인 환자군 내에서 비만 환자의 생존율(p=.005)이나 무병생존율(p=.014)이 비비만 환자보다 낮았다. 연구대상자를 출산력이 있으면서 동시에 연령이 40세 이상인 환자들로 한정한 환자군 내에서도 비만 환자의 생존율(p=.000)이나 무병생존율(p=.003)이 비비만 환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방암 환자 전체에 대해서는 비만이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출산력과 연령을 기준으로 그룹화한 후 하위집단 내에서 비교했을 때는 비만과 예후와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 연구들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힘들었던 내용이므로 비만이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유방암 환자 하위집단에 대해 적절한 간호중재 방안이 마련되어야겠다.

암성 통증 치료에 대한 인식 비교 - 간호사와 의과대학생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Perception on the Treatment of Cancer Pain - Focus on Nurses and Medical Students -)

  • 이주환;김연동;김자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45-451
    • /
    • 2019
  • 본 연구는 암성 통증에 대한 간호사와 의과대학 4학년을 대상으로 인식을 규명하고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간호사 258명, 의과대학 4학년 211명이며,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두 직군 간 "암환자는 진통제를 자주 쓰면 쓸수록 중독되지 않는다.", "암성 통증은 나이와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다.", "암환자가 통증이 있을 때 주사나 신경치료는 일시적이지 않고 장기간으로 볼 때에 효과적이다", "암환자는 다른 환자에 비해 진통제에 쉽게 중독이 되지 않는다." 등의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두 집단 모두에게 체계적 암성 통증에 대한 이론 및 실무에 대한 교육 방향성을 설정하고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장액성 난소암 환자의 유전성 난소암에 대한 지식 및 불안정도 (Knowledge and Anxiety Related to Hereditary Ovarian Cancer in Serous Ovarian Cancer Patients)

  • 이상희;이향규;임명철;김수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65-378
    • /
    • 2019
  • Purpose: The awareness of hereditary breast and ovarian cancer (HBOC) and BRCA testing is increasing in Korea. Compared to the sizable research on HBOC knowledge among breast cancer women, studies in the ovarian cancer population are limited.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knowledge of hereditary ovarian cancer and anxiety in women diagnosed with serous ovarian cancer in Korea and determine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and anxiety according to whether genetic testing was undertaken and whether BRCA1 or BRCA2 mutations were present. Methods: Using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on 100 women diagnosed with serous ovarian cancer at N hospital in Gyeonggi-do, Korea, from July to November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hereditary ovarian cancer-related knowledge score was mid-level (mean score 8.90±3.29 out of a total of 17), as was the state anxiety level was mid-level (mean score 47.96±3.26 out of possible score range of 20-80). Genetic knowledge of hereditary ovarian cancer was associated with age, education, occupation, genetic counseling, and BRCA mutation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anxiety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knowledge level and anxiety. Conclusion: More comprehensive education on gene-related cancer is needed for ovarian cancer patients, especially for items with low knowledge scores. A genetic counseling protocol should be developed to allow more patients to alleviate their anxiety through genetic couns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