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암세포 분화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8초

Monoclonal anticytokeratin antibodies 에 의한 후두편평세포암의 발현양상 (Staining patterns of squamous cell carcinomas of the larynx by monoclonal anti-cytokeratin antibodies)

  • 도남용;전세영;이성재;최봉남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88-88
    • /
    • 1993
  • 현재 악성종양의 조직학적 진단에 면역조직화학반응의 검토가 많이 사용되는데 정상상피가 암으로의 진행시 점막상피세포의 주구성 단백성분에 있는 cytokeratin의 발현성에 변화가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이 cytokeratin은 현재 19종의 subclass가 알려져 있는데 각 subclass에 대응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후두암세포의 기원을 알고 암조직의 분화도를 판정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정상성대조직 5예, 성대에 국한된 편평세포암 22예를 monoclonal anti-ck Ab와 polyclonal anti-ck Ab를 사용, Avidin-Biotin Peroxidase Complex method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그결과 정상후두상피에서 저분자량의 keratin은 표층을 제외한 심층부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후두의 편평세포암은 상피성종양이며, 저분자량의 항ck 항체는 저분화암에서 양성반응을 보이고 고분자량의 항ck항체는 고분화암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 PDF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세포주간의 삼산화비소에 대한 반응 (Different Responses to Arsenic Trioxide between NB4 and UF-1,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Cell Lines)

  • 김혜란;최윤정;유성열;이영석;이상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59-766
    • /
    • 2006
  •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은 염색체 전위의 결과로 생긴 PML/RAR$({\alpha})$ 융합 단백의 과발현으로 영향을 받은 전골 수세포의 분화 정지로 발생하는 골수성 백혈병의 일종이다. 삼산화 비소는 세포고사를 유발하여 급성전골수성 백혈병의 관해를 유도한다는 것이 밝혀졌으나 이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다양하여 고형암에 적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All-trans-retinoic acid (ATRA)에 감수성인 NB4 세포주와 내성인 UF-1 세포주 모두에 삼산화 비소가 세포고사를 유도하였다. 백혈병 세포주를 삼산화 비소로 처리하여, 세포내 GSH 농도가 낮아지고 세포고사의 감수성이 높아지는 상관관계를 찾았으며 전골수성 암세포를 수지상 세포 표면 표식자를 가진 세포로 분화시켰다. ATRA에 대한 감수성인 세포주와 내성인 세포주의 삼산화 비소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이해하고, 전골수 세포가 수지상 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을 규명한다면, 삼산화 비소에 의한 전골수성 백혈병의 완전관해의 기전을 밝힐 수 있고 또한 임상적용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조기위암으로 위 절제술 후 갑자기 발생한 췌담도암으로 오인되었던 재발성 위암 1례 (Recurrent Early Gastric Cancer with Liver Metastasis Mimicking Pancreaticobiliary Cancer)

  • 이병후;조주영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48-51
    • /
    • 2013
  • 73세 남자 환자로 약 1개월 전부터 상복부 불편감 주소로 본원 내원 후 시행한 상부 내시경 검사상 하체부 전벽측의 조기위암으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 결과 저분화도(poorly differentiated type)의 선암이 발견되었고, 절제면의 암세포 침범 소견은 없었으나, 점막하 2층(900 um)까지 침윤된 소견과 일부 림프선 전이 소견이 보여 위 절제 수술(subtotal gastrectomy)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 결과 점막층에 국한된 저분화도의 선암이 발견되었고, 그 외 림프절 전이 등의 소견은 보이지 않아 수술 후 병기 1기의 조기위암(T1N0M0, stage IA) 으로 진단 후 추가적인 항암치료 없이 추적관찰을 하였다. 이후 6개월 마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술과 상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2년째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결과 간의 다발성의 전이성암으로 의심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간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고, 조직검사 결과 저분화도의 선암으로 발견되었으며, 원발 병소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화학 검사를 시행한 결과 췌담도 계통의 암에서 특징적으로 보일 수 있는 CK7과 CK19이 강양성 소견을 보여 담도암의 간전이로 의심하였다. 이후 췌담도 MRI 및 PET 검사 등을 시행 하였으나, 담도암 등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위암은 특징적으로 발생 기전에서 다양한 내적 및 외적 원인들(nitrosamine, H. pylori, E-cadherin mutation 등)로 인해 면역 화학 조직검사 결과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heterogeneous cytokeratin expression pattern) 면역화학 검사 결과만으로 위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위암의 간전이로 진단 후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면역화학 검사에서 췌담도 계통의 암으로 오인되었던 재발성 전이성 위암의 증례 1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인체 폐암세포주에서 NF-$\kappa$B p50/p65 Complex의 활성화 (Activation of the NF-$\kappa$B p50/p65 Complex i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 최형석;유철규;이춘택;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185-194
    • /
    • 1999
  • 연구배경: NF-$\kappa$B는 단백질이 생성된 후의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과 세포내에서의 위치 변화(subcellular localization)에 따라 그 작용이 결정되는 특성을 가진 전사 인자로서 최초에는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실이 알려졌으나 그후 이러한 작용이외에도 급성기 염증 반응, 바이러스의 증식, 세포의 발생과 분화에 있어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 최근의 연구들에서 NF-$\kappa$B 전사 인자가 정상 세포로부터 암세포로의 형질전환에 있어서도 어떤 기능을 할 것이라는 사실들이 알려지게 되었다. NF-$\kappa$B가 암세포로의 형질 전환, 나아가 암세포의 생성에 어떤 역할을 제공한다면 이러한 사실은 나아가 향후의 암치료에 있어서도 유용한 지식이 될 수 있다. NF-$\kappa$B 전사 인자가 인체 암세포에 있어서 세포의 형질 변환에 연관될 수 있다는 사실은 몇몇 암종에서 알려져 있으나 폐암에서의 NF-$\kappa$B 전사 인자의 종양 생성기능에 있어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방 법: 본 연구에서는 배양된 인체 폐암세포주에 있어서 NF-$\kappa$B family 전사 인자들의 발현정도를 western blot를 이용하여 관찰하고 과발현된 NF-$\kappa$B 전사 인자의 세포내 위치가 세포핵인지 세포질내에 존재하는 것인지를 각각의 단백질 분획에서 western blot를 시행하여 관찰하였고 또한 immunocy-tochemistry를 시행하여 그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존재하는 NF-$\kappa$B 전사 인자가 어떠한 복합체의 형태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주의 단백 추출물에서 NF-$\kappa$B family 전사 인자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immunoprecipitation을 시행하였다. 세포주 단백추출물의 $\kappa$B consensus oligonucleotide에의 결합여부를 보기위하여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를 시행하였다. 결 과: 배양된 인체 폐암세포주에서는 NF-$\kappa$B family의 p50 subunit, p65 subunit가 발현되어 있었고 p50 subunit의 발현은 세포핵내에 국한하여 위치하고 있음을 western blot와 immunocytochemistry를 통하여 관찰할 수 있었다 immunoprecipitation assay는 세포내에서 p50 subunit가 p65 subunit와 복합체를 이루는 상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폐암세포주의 세포핵 추출물은 NF-$\kappa$B consensus oligonucleotide와 결합할 수 있음을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인체 폐암세포주에서 NF-$\kappa$B family 전사 인자의 발현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NF-$\kappa$B family 전사 영자가 인체 폐암 형성에 있어 어떤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CTD 탈 인산화 효소의 기능과 역할 (Emerging Roles of CTD Phosphatases)

  • 김영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70-381
    • /
    • 2017
  • 단백질 탈 인산화는 단백질 탈 인산화 효소에 의해 매개되는 과정으로 세포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단백질 탈 인산화 효소 중에서 최근 CTD (carboxy-terminal domain) 탈 인산화 효소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새로운 생물학적 역할이 밝혀지고 있다. 이 효소의 그룹에는CTD 탈 인산화 효소 1(CTDP1), CTD 소형 탈 인산화 효소 1(CTDSP1), CTD 소형 탈 인산화 효소 2(CTDSP2), CTD 소형 탈 인산화 효소 유사(CTDSPL), CTD 소형 탈 인산화 효소 유사 2(CTDSPL2), CTD 핵 탈 인산화 효소(CTDNEP1) 및 유비퀴틴 유사 도메인 함유CTD 탈 인산화 효소 1(UBLCP1)들이 존재한다. CTDP1은 RNA 중합 효소 II (RNAPII)의 CTD의 두 번째 인산화 된 세린을 탈 인산화 시키고, CTDSP1, STDSP2 및 CTDSPL은 RNAPII의 CTD의 다섯 번째 인산화 된 세린을 탈 인산화 시킨다. 그리고 CTDSP1은 SMAD들, CDCA3, Twist1, 종양억제 단백질인 PML, c-Myc과 같은 새로운 기질을 탈 인산화 시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CTDP1은 유사 분열 조절 및 암세포 성장과 관련이 있다. CTDSP1, CTDSP2 및 CTDSPL은 종양 억제 기능 및 줄기 세포 분화와 관련이 있다. CTDNEP1은 LIPIN1을 탈 인산화 시키고 핵막 형성과 관련이 있다. CTDSPL2는 조혈 줄기 세포 분화와 관련이 있다. UBLCP1은 26S 프로테아좀을 탈 인산화 시키고 핵 프로테아좀 활성 조절과 관련이 있다. 결론적으로, CTD 탈 인산화 효소의 새로운 기능과 역할은 최근의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으며, 이 리뷰는 CTD 탈 인산화 효소의 새롭게 밝혀진 역할들을 요약하고자 정리한 것이다.

분자 촉진제를 넘어, CD82: 전이억제자, 줄기세포 니쉬, 근육 재생 및 혈관신생에서의 역할 (Beyond the Molecular Facilitator, CD82: Roles in Metastasis Suppressor, Stem Cell Niche, Muscle Regeneration, and Angiogenesis)

  • 이현채;한정화;허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856-861
    • /
    • 2021
  • CD82/KAI1은 분자촉진제로서 암 전이억제자로 역할이 잘 알려져 있으나, 최근 줄기 전구 세포와 혈관 신생, 근육에서 다양한 역할들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진은 최근에 보고된 CD82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에 관하여 총설 하고자 한다. CD82는 4개의 막 통과 도메인을 가진 테트라스파닌의 한 종류로 암의 전이 과정에 관여하는 세포접착분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암세포의 이동 능력을 저해한다. 암 전이 억제자로의 기능 외에도 줄기세포 니쉬에서도 그 역할이 밝혀졌다. 골수에서 분화재생능력이 뛰어난 최상위 조혈모세포(LT-HSC)에서 CD82가 발현되며, DARC와의 상호결합으로 줄기세포의 휴면을 유도한다. 줄기세포의 휴면 조절 외에도, CD82는 Rac1 활성 조절을 통해 조혈모세포의 골수로의 귀환 및 생착에도 역할을 한다. 또한, CD82는 근육 줄기 세포의 분화능을 유지시키며, 혈관 내피세포에서 세포 접착 분자와 IL-6, VEGF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저해하여 혈관 신생을 억제한다. CD82는 다양한 조직 및 줄기-전구 세포에서 계급을 구별할 수 있는 핵심 세포막 표면 단백질이며, 세포 자원의 증폭 및 검증에 있어 중요하다. 다양한 기관과 세포에서 CD82의 역할과 추가적인 연구들이 줄기세포치료의 임상적 적용에 있어 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해조류 유래의 항종양성 물질의 탐색과 개발 (The search and development for antitumor compounds from the marine algae)

  • 손병화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11-211
    • /
    • 1994
  • 항종양성 화합물의 개발을 지향한 해양생물 유래의 생물활성 물질의 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생물활성 (즉, 항균작용, 혈중콜레스테롤 저하작용)등을 나타내며, 구입수가 용이한 홍조 꼬시래기 (Gracilaria verrucosa) 및 갈조 지충이 (Sargassum thunbergii)의 아세톤 및 메탄올 엑스를 EtOAc 및 n-BuOH로 분획한후 각 분획을 SiO$_2$ column, TSK gel(Toyo pearl HW-40F), $\mu$-Bondapak column 및 HPLC등으로 분리 정제하여, 새로운 glyceroglycolipid(GV-5, -6, ST-6) 및 glycerylglycoside(GV-12)를 얻었다. 이렇게 분리된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성질, 화학반응 및 분광학적 data를 종합 검토한 결과 GV-5, -6, -12, 및 ST-6은 각각 1,2-diacyl-3-0-($\alpha$-D-galactopyranosyl) glycerol (acyl : palmitate-oleate-arachidonate 4: 1 : 9) (1), 1,2-diacyl -3-0-〔$\alpha$-D-galactopyranosyl -(1 "$\longrightarrow$6')-0-$\beta$-D-galactopyranosyl〕 glycerol (acyl : palmitate-oleate-arachidonate(5:1:4)(3), 2-0-($\alpha$-D-galactopyranosyl) glycerol (5), 및 sodium salt of 1-acyl-3-0-(6'-sulfo-$\alpha$-D-quinovopyranosyl) glycerol(acyl:palmitate-oleate 96:4)(8) 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리고 GV-5 및 -6은 마우스 백혈병세포 (L1210)에 대한 세포독성 ($IC_{50}$/ of GV-5, and -6:8.0$\mu\textrm{g}$/ml and 10.8$\mu\textrm{g}$/ml )외에, 사람의 상피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효과 [growth inhibitor(%) in 20$\mu\textrm{g}$/m1 :GV-5(39.9%), GV-6(16.7%)를 나타내었으며, 한편, GV-5, GV-6, -12 및 ST-6은 각각 쥐의 F9 기형암종 세포의 분화유도 활성을 나타내어 항종양제로의 개발에 많은 흥미가 기대된다.기대된다.

  • PDF

저 농도의 전자선을 조사한 전골수구성 백혈병 세포 죽음에서의 TNF-α 작용 효과 (Cell Death of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 after Low Dose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with TNF-α)

  • 김동현;고성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41-246
    • /
    • 2014
  • 급성전골수구성 백혈병(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은 혈액암으로 치료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항암치료에 가장 효과가 좋다는 방사선 치료를 해도 오히려 정상세포에도 작용하여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선(EB)을 TNF-${\alpha}$와 같이 처리하였을 경우 정상세포와 암세포의 세포 죽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HL-60세포는 APL세포주로서 사용하였고 DMSO를 처리하여 분화시킨 HL-60세포는 정상과립구의 성질을 나타내어 정상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TNF-${\alpha}$를 전자선을 처리한 HL-60세포에서만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었고 이 과정에서 TNF-${\alpha}$는 caspase3를 활성화 시켜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세포가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TNF-${\alpha}$는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저농도의 전자선 치료 시 함께 사용하여 암 세포의 제거를 증가시켜 암의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효물질로 사료된다.

Sodium butyrate에 의한 E-cadherin의 발현증가와 세포간 상호작용의 변화 (Sodium Butyrate Alters Cell-Cell Interactions through Up-Regulation of E-Cadherin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 권현진;장경립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05-710
    • /
    • 2009
  • Sodium butyrate (NaBt)는 장에서 탄수화물대사로부터 생겨나는 짧은 천연지방산 사슬로 다양한 인간 암세포들 에게서 강력한 항암효능을 나타냄이 보고된 바 있지만 자세한 기전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NaBt가 주요 세포부착분자이면서 종양억제인자의 일종인 E-cadherin의 발현을 세포-특이적으로 촉진하는 기전을 연구하였다. 또한 NaBt는 E-eadherin의 발현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p21의 발현도 증가시켰지만, NaBt에 의하여 증가한 p21은 E-cadherin의 활성화와 관련이 없음이 밝혀졌다. 그 대신에 NaBt는 CCAAT-box를 통한 E-cadherin 유전자의 프로모터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E-cadherin의 발현을 전사수준에서 촉진하는 것 같다. 이렇게 NaBt에 의하여 증가된 E-cadherin은 주로 세포간 접촉면에 위치하면서 Hep3B 세포를 더 분화된 형태로 유도하여 NaBt의 항암활성이 나타나는 것 같다.

종양괴사인자와 방사선이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The Apoptosis according to the Processing Irradiation and The Tumor Necrosis Factor)

  • 이재섭;장성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95-200
    • /
    • 2016
  • 급성전골수구성 백혈병(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은 혈액암의 일종으로 치료의 성적이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항암요법과 병행 하였을 경우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방사선 치료를 병행함에도 불구하고 정상세포에도 작용하여 부작용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감마선을 $TNF-{\alpha}$와 같이 처리하였을 경우 정상세포와 암세포의 세포 죽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HL-60 세포는 APL 세포주로서 사용하였고 DMSO를 처리하여 분화시킨 HL-60 세포는 정상과립구의 성질을 나타내어 정상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TNF-{\alpha}$와 함께 감마선을 처리한 HL-60 세포에서만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었고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세포가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TNF-{\alpha}$는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저농도 감마선 치료 시 함께 사용하여 암 세포의 제거를 증가시켜 암의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효물질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