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암기식 교육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교육심리학자가 보는 과학기술 - 기술시대의 생활지혜

  • Kim, Jae-Eu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10 s.329
    • /
    • pp.88-89
    • /
    • 1996
  • 우리나라 과학교육실태를 들여다 보면 기초공사를 허술하게 한 고층빌딩이 연상된다. 기초과학자의 푸대접이라든가 초중고의 암기식 과학교육 등 당면한 문제들, 또 시민들의 결핍된 과학기술정신도 바로 잡아 과학기술의 생활화를 위한 캠페인도 함께 벌여야 하겠다.

  • PDF

초등수학교육에서 사고학습에 대한 소고

  • Kim, Gyu-Sa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83-91
    • /
    • 2001
  •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러한 변화는 새로운 적응을 요구하고 있다. 그래서 오늘날의 사회는 “사고력의 사회”라고 생각하는 지도 모르겠다. 이에 발맞추듯, 교육과정에서도 사고력 개발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지만,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어떠한가? 어떻든 이런 저런 이유로 ‘주입식’수업, ‘암기식’수업은 안 된다고 오랜 세월 많은 연구자들이 합창을 해왔다. 그러나 ‘예전대로’, ‘하던대로’의 전통은 별로 바뀌지 않고 계속되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 따라서, 본고는 아동들이 수학수업에서 사고학습을 어떻게 함으로써, 아동의 능력을 강화하고, 아동의 인지발달을 촉진하며, 개인의 지식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을 찾고자 한다.

  • PDF

문제 중심 수학학습에 대한 연구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 Sin, In-Seon;Gwon, Jeom-Ry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33-56
    • /
    • 2001
  • Wheatley(1991)에 의해 알려진 문제 중심 학습은 기계적 암기식 수학 학습을 대신해서 의미형성을 강조하기 위해 채택된 학습 방법 중의 하나로, 개인의 의미 구성을 도울 뿐만 아니라 의미있는 의사소동을 조장한다. 문제 중심 수업은 일반적으로 과제, 협력학습, 공유의 세 가지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초등학교 5학년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 중심 수학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적용함으로써 나타나는 수학 학습 상의 변화 및 아동의 수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 PDF

Derive(TI-92)를 이용한 탐구 지향 수학 수업

  • Sin, Eun-Ju;Song, Jeong-Hwa;Gwon, O-N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169-188
    • /
    • 2000
  • 급변하고 있는 정보화시대애서 수학교육은 예전의 암기식, 주입식에서 벗어나 새롭게 변화될 필요가 있다. 컴퓨터 매체가 수학교육에 도입된 결과 수학 내용과 수학을 이해하는 방법, 교수 ${\cdot}$ 학습 방법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교수 ${\cdot}$ 학습이 일어나는 사회 ${\cdot}$ 문화적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학생들이 컴퓨터 테크놀러지를 이용해 수학적 이해를 얻고 수학적 힘을 길러 의사소통자, 문제해결자가 되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실생활적인 맥락에서 상황화되는 중요한 아이디어를 동시에 가르침으로써 효율성을 성취하고 내용적 과잉을 극복하고 새 수학의 혁신, 다양성, 연속적 성장을 체계적으로 지지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와 문제해결을 돕기 위해 테크놀러지의 역할을 조명해보고 DERIVE(TI-92)를 이용한 수학 학습 예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Scratch learning Program Based on PBL. (PBL기반 스크래치 학습 프로그램 개발)

  • Yang, Hwan-Geun;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01-203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창의적 인재 양성의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SW관련 프로그래밍 교육과 문제중심학습을 결합하여 기존의 강의식학습에서 효과적인 학습전이를 위한 역량중심의 스스로 학습을 강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PBL은 암기를 통한 주입식 교육에서 자기주도적 성장학습을 통해 필요한 기술을 개발한다는 이점과 블록기반 공개용 프로그램인 스크래치는 학습자들의 흥미 유발, 몰입도 향상을 하며 습득 교육에 중점을 둔다. 또한 풍부한 미디어 활용 및 뛰어난 공유성을 기반하고 있으며 단순 반복과 암기가 아닌 창의적 수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고찰능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키고자 PBL과 스크래치를 결합한 교수-학습법을 개발하였으며, 그에 상응하는 유의점 및 학습단계를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논리적사고 함양에 이바지 한다.

  • PDF

Natural Language-based Immersive English Tutoring System (자연어 대화 기반 몰입환경 영어 교육 시스템)

  • Lee, Kyusong;Lee, Sungjin;Lee, Jonghoon;Noh, Hyeongjong;Lee, Gary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0.10a
    • /
    • pp.22-27
    • /
    • 2010
  • 최근 국가적 차원에서 영어교육에 대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존의 주입식, 암기식 영어 교육은 회화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컴퓨터를 이용한 영어교육 또한 많은 관심을 얻고 있으나 실제 의사소통을 위한 회화 학습에 대한 고려는 깊지 않으며, 주어진 흐름의 대본을 따라 단순히 읽고 반복하는 수준의 시스템만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형태는 흥미 유발 동기가 약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장기간 꾸준히 학습하게 만들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제2언어 습득 이론에 바탕을 둔 자연어 처리 기반 몰입 환경 영어 교육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는 도메인 확장성이 뛰어난 예제 기반 대화 시스템을 3 차원 가상공간과 결합한 시스템으로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한 외국어 회화 연습을 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발화 오류를 분석하고 교육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또한 현실과 비슷한 몰입 환경에서 체험형 기술을 통해 자발적인 학습을 유도하고 집중력, 기억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영어교육 시스템의 이론적 배경, 예제 기반 대화관리, 시스템 구성요소와 동작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 PDF

Wire/Wireless Web-based Performance-Assessment Management System (유무선 웹 기반 수행평가 관리 시스템)

  • Lee Yun-Hee;Kim Ju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801-804
    • /
    • 2006
  • 입시위주의 암기식 교육풍토 개선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1999년부터 전국 초 중등학교에서 수행평가가 실시되고 있다. 수행평가는 학생에게 학습과제를 제시하여 수행과정과 결과를 관찰하고 판단하는 평가 방식으로, 단편적인 영역에 대해 일회적으로 평가하지 않고 학생 개개인의 변화 발달과정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종합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평가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 교육여건 하에서 과도한 수의 학생을 관찰하여 결과를 처리해야하는 교사와 체계적이지 않은 수행평가 운영방식으로 수시로 평가를 받아야 하는 학생에게 수행평가는 본연의 기능과 의미를 상실해가고 있다. 이에 교사의 수행평가 업무를 관리하여 업무량을 경감시키고, 학생의 수행평가 일정과 성적을 관리하여 성장과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행평가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the Contents of Historical Educ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한 거대사 교육 콘텐츠 개발 방향 제안)

  • Yun, Hye-Jeong;Seo, Hee-Chang;Park, Eun-Soo;Lee, Yoon-Sun;Kim, Jae-Jun;Lee, Hee-Soo;Lim, Seong-Bin;Lee, Tai-Si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6
    • /
    • pp.606-615
    • /
    • 2015
  • This study aim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on historical events that can solve the existing curriculum's problems, such as the disproportionate weight given to Western historical events. The study focuses on content ranging from the start of the Agricultural Revolution (7000 BC.) to the star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D. 1760). The results are as follows. We used the Delphi technique for deriving global historical events. Among them, 56 historical events were selected as the data for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he results of SNA showed that topics related to Civilization has a high priority. In addition, the results of a coagulation analysis showed the events can be divided into seven group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is different from the criteria used for the current period. We expect that the suggested framework developed for historical contents will constitute a new approach to historical interpretation through network visualization and linkage analysis.

A Study of the Promoting Problem Solving Ability using Computer Scientists Story (컴퓨터 과학자를 이용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에 관한 연구)

  • Kim, Hyoung-Eun;Kim, Jong-Ho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191-196
    • /
    • 2006
  • 오늘날 IT산업이 급속도로 진보하고 있다. 단순한 자원이나 노동력보다는 첨단과학 기술을 이용하여 얼마나 의미 있는 정보를 찾아내고 활용하는가에 따라 개인의 경쟁력이 좌우된다. 이러한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7차 교육과정에서는 지식 위주의 암기 교육이 아닌 창의력과 문제해결력 신장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학교의 컴퓨터교육은 지나치게 기능위주의 내용이나, 단순 소프트웨어와 컴퓨터의 활용법에 관한 내용만을 강조하고 있어 이러한 취지를 잘 살리고 있지 못하다. 또한 교육자료 조차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의 수박겉핥기 식의 컴퓨터 활용법 및 소프트웨어 사용법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컴퓨터의 원리에 대한 내용을 연구함에 있어 초등학생들이 좀더 체계적으로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컴퓨터 과학자들을 이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 PDF

Linguistic Turn and the Education of Liberal Arts (언어적 전환과 인문교육)

  • Paik, Tohy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1
    • /
    • pp.279-288
    • /
    • 2020
  • In this paper, we try to criticize a bias that liberal arts are not practical. First, I introduce holistic models of knowledge and constructivism in education. Second, I suggest 'linguistic turn' as another noticeable phenomenon. Language is an element of culture, but a priviledged one because culture, in itself, is linguistic. So culture is a sort of a text. We can see that liberal arts or humanities to deal with texts, contexts and languages can have an important role to read, understand and construct a world. So the rediscovery of the traditional model of the education of liberal arts like processes of graduating studies of liberal arts or humanities, is relevant to a new 'practical' model of reading and leading recent social transformations. An important point is academic contribution. And current situation called 'Knowledge-Based Society' also supports my point in another way. The situation of rapidly changing knowledge requires an education of problem-solving ability by unifying and reconstructing knowledge supporting with constructivism in education rather than the cramming system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