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알칼리토금속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6초

고온용마그네슘 합금의 개발 동향 - Mg-Al-CaO 중심으로 - (Development trend of high temperature Mg alloys)

  • 서정호;김세광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243-251
    • /
    • 2008
  • 자동차 및 항공기 부품용 고온 다이캐스팅 마그네슘 합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알루미늄을 주된 합금원소로 하여 희토류원소나 알칼리토금속 등을 첨가하는 3원계 합금 및 각 원소들을 조합하는 4원계 합금이 개발되었다. 이들 합금의 크립 저항성은 금속간 상에 의한 결정 입계 강화에 기인한다. 그 동안의 합금조성 개발의 핵심은 결정 입계의 이동을 유발하여 고온 변형을 유발하는 고온 불안정 석출상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었다. Mg-Al계 합금에 희토류원소를 첨가하면 고온 안정상의 생성으로 고온 특성이 향상되지만 희토류원소의 경제성이 단점이다. 고비용의 희토류원소를 대신하기 위해 알칼리토금속을 첨가하는 합금 및 이들 원소를 조합하는 합금이 개발되었다. 본고에서는 알칼리토금속을 첨가할 경우에 발생하는 생산성의 저하 등의 단점을 보완하는 알칼리토금속산화물이 첨가된 합금을 소개하였는데 이는 1) 비고용성 2) 융점유지 3) 주조성유지 4) 재활용성 5) 경제성 등의 특징이 있다.

새로운 HDBPDA 이온교환체를 사용한 알칼리 및 알칼리토금속 이온들의 분리와 그의 이온교환특성 (Separation of Alkali and Alkaline Earth Metal Ions using Novel HDBPDA Ion Exchanger and Its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 김동원;김창석;최기영;전영신;윤여학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820-825
    • /
    • 1993
  • 새로운 HDBPDA 이온교환체, {(4,5) : (13,14)-dibenzo-6,9,12-trioxa-3,15,21-triazabicyclo[15.3.l]heneicosa-(1,17,19)(18,20,21) triene ion exchanger: HDBPDA ion exchanger}의 이온교환용량은 3.8 meq/g이었다. 그리고 이 이온교환체에 대한 알칼리 및 알칼리토금속 이온들의 분포계수를 물과, 여러 농도의 염산용액중에서 측정하였다. 금속이온들의 분포계수는 염산농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으나, 대체적으로 염산의 농도가 감소할수록 점진적으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물속에서의 분포계수가 가장 컸다. HDBPDA 이온교환체를 사용하여 알칼리 및 알칼리토금속 이온들을 컬럼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으며, 이때 용리액으로 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알칼리 및 알칼리토금속 이온들의 분포계수는 그들 이온들의 이온반경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 PDF

Mono-Crown Ether와 Bis-(Crown Ether)s를 이용한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 양이온들의 용매추출 (Solvent Extraction of Alkali Metal and Alkaline Earth Metal Cations Using a Mono-Crown Ether and Bis-(Crown Ether)s)

  • 신영국;김해중
    • 분석과학
    • /
    • 제10권1호
    • /
    • pp.60-65
    • /
    • 1997
  • mono-crown ether(benzo-15-crown-5)와 benzo-15-crown-5를 포함한 bis-(crown ether)s(ethylenediamine bis(4'-formylbenzo-15-crown-5))에 의한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 양이온들의 용매추출을 $25^{\circ}C$, 물-클로로포름계에서 조사하였다. mono-crown ether와 bis-(crown ether)s를 사용한 경우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 양이온들에 대한 추출평형상수($K_e$)와 착물형성상수($K_c$)의 크기 순위는 각각 Ca(II)>Na(I)>Sr(II)>K(I)>Mg(II)>Rb(I)와 Sr(II)>Ca(II)>K(I)>Rb(I)>Mg(II)>Na(I) 순으로 증가하였다. 이들 크기 순위는 금속 양이온의 크기 및 전자밀도효과로서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mono-crown ether에 비해서 bis-(crown ether)s를 사용한 경우 금속양이온들에 대한 추출효율이 좋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새로운 HDBPDA 이온교환체를 사용한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의 분리특성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Alkali and Alkaline Earth Metal Ions Using Novel HDBPDA Ion Exchanger)

  • 김동원;김창석;최기영;전영신;홍춘표
    • 분석과학
    • /
    • 제6권5호
    • /
    • pp.471-477
    • /
    • 1993
  • 새로운 거대고리 리간드인 {(4, 5):(13, 14)-dibenzo-6, 9, 12-trioxa-3, 15, 21, -triazabicyclo [15. 3. 1]heneicosa-(1, 17, 19)(18, 20, 21) triene: HDBPDA}를 합성하여 양성자화 상수를 구하고,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에 대한 안정도상수(pK)를 구하였다. 안정도상수로부터 유도되는 식을 이용하여 분리인자(${\Delta}$)를 구했다. HDBPDA 리간드를 chloromethylated styrene-divinylbenzene(Merrifield resin)에 결합시켜 새로운 이온교환체인 HDBPDA 이온교환체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것을 사용하여 칼람크로마토그래피로 물 속에서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들을 분리하여 보았으며, 여기서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의 선택성(selectivity), ${\alpha}$와 분리도(resolution), Rs를 구하고, HDBPDA 리간드와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과의 안정도상수(pK)를 구한 값으로부터 ${\Delta}$값을 얻어 이들의 관련성을 비교하였다. 이 두 방법으로 구한 분리능(${\Delta}$와 Rs)값이 잘 일치함을 보였다.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의 이온교환용량을 측정하고, pH의 의존도를 알아보았다.

  • PDF

새로운 DBPDA 이온교환체를 사용한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의 분리와 그의 이온교환 성질 (Separation of Alkali and Alkaline Earth Metal Ions Using Novel DBPDA Ion Exchanger and Its Ion Exchange Properties)

  • 김동원;김창석;최기영;전영신
    • 분석과학
    • /
    • 제6권3호
    • /
    • pp.261-265
    • /
    • 1993
  • 새로운 DBPDA이온교체, {(4,5):(13,14)-dibenzo-6, 9, 12-trioxa-3, 15, 21-triazabicyclo [15.3.1] heneicosa-1(21), 17, 19-triene-2, 16-dione : DBPDA 이온교환체}의 이온교환용량은 4.2meq/g이었다. 그리고 이 이온교환체에 대한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의 분배계수를 여러 농도의 염산용액 중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DBPDA 이온교환체를 사용하여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을 이온교환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의 분배계수에 미치는 용액의 pH와 금속 이온들의 이온반경 효과를 고찰하였다.

  • PDF

용융 알칼리토금속 염화물에 대한 천이상태 이론의 적용 (Transient State Theory of Significant Liquid Structure Applied to Alkali Earth Chlorides)

  • 안운선;장세헌
    • 대한화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9-112
    • /
    • 1970
  • 액체구조의 천이상태 이론을 알칼리토금속 염화물에 적용시켜서 상태합을 유도하였다. 이 상태합으로부터 $SrCl_2$$BaCl_2$의 증기압, 몰부피, 엔트로피등의 열역학적 성질을 계산하여 실험치와 비교하였으며, 천이상태 이론이 용융염에도 잘 적용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금속 이온이 다중기포 Sonoluminescence 스펙트럼에 미치는 영향 연구 (Color Changes of Multi-Bubble Sonoluminescence Due to Metallic Ions in Water)

  • 한문수;이제욱;백승찬;백정환;김영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1-11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액체 내에서 초음파에 의해 빛이 발생하는 현상인 Sono-Luminescence (이하 SL)에 대해 연구하였다.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을 녹인 용액에서의 SL을 관찰 하였으며, 금속 이온 농도, 금속이온의 종류를 바꾸어 가며 SL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때 각각의 SL에서 나오는 빛을 사진으로 찍어 RGB 성분 분석을 통해 금속 이온을 녹인 용액의 SL이 증류수에서 SL과 금속 불꽃 반응 색 또는 선스펙트럼에서 강한 세기로 방출되는 색의 합성으로 표현될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알칼리 금속의 경우 두 색의 합성으로 잘 표현되었으나 알칼리 토금속의 경우는 그렇지 않았다. 그 이유로 SL 방출시 온도가 그리 높지 않아서 알칼리 토금속의 선스펙트럼에서 에너지가 큰 단파장의 빛이 SL에서 잘 방출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하였다.

Y 제올라이트내에서 $^{129}Xe$ 핵자기 공명의 화학적 이동을 근거로 한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의 Xe 흡착 현상 연구 (Study of Xenon Adsorption on Alkaline-Earth Cation in Y Zeolite Based on Chemical Shift in $^{129}Xe$ NMR Spectrum)

  • 박찬호;유룡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51-359
    • /
    • 1992
  •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을 함유하고 있는 Y 제올라이트와 Xe 간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Xe의 흡착과 $^{129}Xe$ 핵자기 공명(NMR) 분광법을 이용하였다. 고순도의 NaY 제올라이트 시료를 합성하여 여기에 $Ca^{2+}$$Ba^{2+}$를 각각 이온 교환시켜서 CaY와 BaY 제올라이트 시료들을 얻었다. 부피 흡착 실험방법에 따라서 260∼320 K 사이에서 이 시료들의 Xe 흡착 등온선을 측정하였으며 296 K에서 $^{129}Xe$ NMR의 화학적 이동을 측정하였다. 이 시료들에 흡착된 Xe 기체가 제올라이트 표면과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로 구성된 흡착자리들 사이를 매우 빠르게 움직인다고 가정하였을 때 Xe의 화학적 이동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이 결과 알칼리 토금속 이온들이 $Na^+$ 이온이나 제올라이트 골격 표면보다도 Xe을 훨씬 더 강하게 흡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흡착 세기의 차이를 이용하여 Xe 흡착 등온선을 분석하면 Y 제올라이트 수퍼케이지 속에 존재하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의 갯수를 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 PDF

N,N,N,N-Tetrabenzylethylenediamine 중성운반체를 이용한 수소 이온 선택성 막전극 (A hydrogen ion-selective membrane electrode based on N,N,N,N-Tetrabenzylethylenediamine as neutral carrier)

  • 정성숙;박면용;정구춘;조동회;이경재;김재우
    • 분석과학
    • /
    • 제8권2호
    • /
    • pp.187-193
    • /
    • 1995
  • N,N,N,N-Tetrabenzylethylenediamine 중성운반체를 이용하여 PVC 수소이온 선택성 막전극을 제조하였다. 가소제 종류(phthalates와 sebacate) 및 친지방성 첨가제(NaTPB)에 따른 막전극의 전기저항과 수소이온 감응범위 및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의 존재하에서 방해효과를 조사하였다. 가소제 종류에 의한 전기저항은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고 NaTPB 0.7%의 경우 수소이온에 대한 Nernstian 기울기는 가장 이론값에 근접하였으며, 또한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에 의한 방해도 적게 받았다. pH-선택성 고분자 막전극은 pH 2~10 범위내에서 선형적이고, 산과 알칼리용액 중에서 안정성 및 재현성 시험 결과 매우 좋게 나타났다.

  • PDF

수용액에서 Poly-dibenzo-18-crown-6를 이용한 금속이온들의 흡착 및 분리 특성 (Adsorption and Separation Behaviors of Metal Ions Using a Poly-Dibenzo-18-Crown-6 in Aqueous Solution)

  • 김해중;장정호;신영국
    • 분석과학
    • /
    • 제11권4호
    • /
    • pp.248-253
    • /
    • 1998
  • 수용액에서 poly-dibenzo-18-crown-6를 이용한 알칼리, 알칼리토금속이온 및 전이금속이온들의 흡착 및 분리특성을 조사하였다. 알칼리금속이온들과 알칼리토금속이온들의 흡착정도와 분포비의 순위는 각각 Li(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