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알쯔하이머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알쯔하이머 질환의 신경생물학 (Neurobiology of Alzheimer's Disease)

  • 정영조;서승우;이승환
    • 생물정신의학
    • /
    • 제8권1호
    • /
    • pp.62-70
    • /
    • 2001
  • Alzheimer's disease(AD) is associated with a characteristic neuropathology. The major hallmarks of AD are senile plaques (SPs) and neurofibrillary tangles(NFTs). ${\beta}$-amyloid protein($A{\beta}$) is derived from the proteolysis of amyloid precursor protein(APP) and then converted to SPs. Mature SPs produce cytotoxicity through direct toxic effects and activation of microglia and complement. NFTs are composed of paired helical filaments(PHFs) including abnormally phosphorylated form of the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MAP) tau and increased tau level in cerebrospinal fluid may be observed in most AD. The aggregation of $A{\beta}$ and tau formation are thought to be a final common pathway of AD. Acetylcholine, dopamine, serotonin, GABA and their receptors are associated with AD. Especially, decreased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nAChRs) in AD are reported. Genetic lesions associated with AD are mutations in the structural genes for the APP located on chromosome 21, presenilin(PSN)1 located on chromosome 14 and PSN2 located on chromosome 1. Also, trisomy 21, Apo-E gene located on chromosome 19, PMF locus,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related protein and ${\alpha}$-macroglobulin increase risk of AD. In this article, we will review about the neurobiology of AD and some newly developed research areas.

  • PDF

알쯔하이머 치매 환자의 뇌자기공명영상(腦磁氣共鳴影像)에 나타난 뇌위축(腦萎縮)과 뇌백질병변(腦白質病變)에 대한 연구 (Brain Atrophy and White Matter Lesion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Alzheimer's Disease)

  • 우종인;김주한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2호
    • /
    • pp.203-210
    • /
    • 1996
  • 알쯔즈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뇌자기공명영상(腦磁氣共鳴影像)에 나타난 뇌위축(腦萎縮) 및 백질병변(白質病變)과 치매 발병연령(發病年齡)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밝히기 위해, NINCDS-ADRDA 진단기준(診斷基準)에 의한 조발성(早發性)(n=9) 및 만발성(慢發性)(n=18) 알쯔하이머형 치매군과 각각의 정상대조군(n=10 : n=11)에서 뇌위축(腦萎縮)은 대뇌피질위축(大腦皮質萎縮)과 뇌실확장(腦室擴張)의 체적(體積)을 계측(計測)하고 백질병변(白質病變)은 뇌실주변, 심부백질, 기저핵 및 천막하영역의 백질(白質) 신호(信號) 고강도(高剛度)의 반정량적(半定量的) 평가척도(評價尺度)로 측정하였다. 조발성(早發性) 환자군의 뇌위축(腦萎縮)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컸고(p<0.05) 백질병변(白質病變)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만발성(慢發性) 환자군은 뇌위축(腦萎縮) 정도에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백질병변(白質病變)은 심부백질 및 시상에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고 나머지 모든 영역에서도 대조군보다 심한 경향을 보였다. 알쯔하이머형 치매가 (1) 뇌위축(腦萎縮)을 주로 보이고 백질병변(白質病變)은 심하지 않은 조기발병군(早期發病郡)과, (2) 백질병변(白質病變)이 두드러지고 뇌위축(腦萎縮)은 심하지 않은 만기발병군(晩期發病郡)으로 나누어질 가능성과 양군의 병태생리(病態生理)가 상이(相異)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지역사회 경증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산화 인지재활 치료(COMCOG) 효과 (Effects of a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 정원미;황윤정;윤종철
    • 한국노년학
    • /
    • 제30권1호
    • /
    • pp.127-140
    • /
    • 2010
  • 본 연구는 시-지각 이론에 근거한 전산화 인지재활치료가 경증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작업수행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치매환자를 위한 독립적인 지역사회에서의 적응을 위한 인지재활치료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2009년 2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용인시 치매예방관리센터에 내원한 경증 치매환자 14명을 대상으로 5주 동안 주 2회, 총 10회 가정 방문하여 전산화인지재활치료를 실시하였다. 전산화인지재활치료는 시-지각이론의 틀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알쯔하이머치매군과 비알쯔하이머치매군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작업수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써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산화인재활치료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에 경증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수준판별검사 등의 인지기능과 작업수행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둘째, 비알쯔하이머치매군에 비하여 알쯔하이머치매에서 인지기능의 변화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p<.05). 따라서 시-지각 이론의 틀에 근거한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치매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보인다. 또한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독립성의 증가로 인하여 작업수행에 대한 만족감도 증가에도 효과적이었다. 앞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치매환자의 기능향상을 위한 보다 다양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알쯔하이머 치매의 동물모형 (Animal Models of Alzheimer's Dementia)

  • 우성일
    • 생물정신의학
    • /
    • 제6권2호
    • /
    • pp.149-152
    • /
    • 1999
  • Transgenic mice models of Alzheimer's disease were produced by overexpressing APP(amyloid precursor protein) mutant and presenilin mutant genes using the promotors that induced neuronal expression. The neuropathologies, electrophysiological changes and behavioral changes that were demonstrated in these transgenic mice models were amyloid changes, gliotic changes, A-beta increases, deficit in LTP(long-term potentiation) and behavioral changes. Some or all of the above changes were found in each transgenic mice model. These models generally showed amyloid neuropathology but they usually lacked the neurofibrillary tangles. So, they can be regarded as partial models of Alzheimer's disease. The development of them is undoubtedly the great progress toward future research.

  • PDF

뇌의 수직단면에 대한 MR 영상에서 영역 분할에 대한 연구 (A Study of Region Segmentation on the Brain MR Image of Coronal Section)

  • 성윤창;김신홍;한기선;송창준;노승무;박종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517-519
    • /
    • 2000
  • 본 논문은 뇌의 수직단면에 대하여 촬영된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영역을 분리한 후 백질과 회백질 및 뇌척수액을 분리하고 각각의 체적을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뇌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영상의 배경 및 뇌 내부를 둘러싸고 있는 외피 및 지방층으로부터 뇌 영역 전체를 분리하였으며, 부분체적의 문제(partial volume artifact)에 의해 명암값의 번짐 현상을 보이는 뇌의내부 영역에서 각 성분의 부분체적을 산출하여 각 조직을 분리하기 위한 명암 값을 결정한 후 백질과 회백질 및 뇌척수액의 영역을 분리하였다. 본 연구는 뇌의 위축을 보이지 않은 정상인의 자기공명영상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향후,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알쯔하이머 병이나 뇌성마비 등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환자의 뇌 위축정도를 객관적으로 진단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 PDF

트리메틸틴에 의해 유도된 흰쥐의 학습과 기억력 손상에 대한 육미지황탕가미방의 신경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 of Yukmijihwamg-tang(Liuweidihuangtang) Gamibang on the Deficits of Learning and Memory in Trimethyltin-Intoxicated Rats)

  • 정희상;김근우;구병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5-87
    • /
    • 2009
  • 목적 : 이 연구는 알쯔하이머 병에 대한 육미지황가미방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육미지황가미방은 산약, 산수유, 복령, 목단피, 구기자, 택사, 숙지황을 포함한 여러 가지 한약재의 전탕액으로 치매의 한약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방법 : 이 약물의 신경보호 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수중미로를 사용하여 학습과 기억에 대한 육미지황가미방의 효과를 평가 했고, 트리메틸틴은 강력한 유독물질로 선택적으로 중추신경계와 면역계의 세포를 파괴시킨다. 트리메틸틴(6.0 mg/kg, i.p.)주입 후, 쥐에게 육미지황가미방(400mg/kg, p.o.)를 2주 동안 날마다 복용시켰으며, 수중미로를 수행시켰다. 결과 : 육미지황가미방을 트리메틸틴에 노출시킨 쥐에 투약했으며, 그들은 수중미로에서 학습과 기억의 향상을 보였고, 이는 육미지황가미방이 어떠한 환경에서는 트리메틸틴으로 유발된 신경퇴화 후 중추신경계의 결손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 : 이러한 결론은 육미지황가미방이 인지능력을 증가시키고, 트리메틸틴으로 유발된 신경퇴화에서 콜린 아세틸전환효소의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치매환자 돌봄제공자의 부양부담감(Burden)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체계적 문헌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Intervention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to Reduce Their Burden)

  • 김연주
    • 재활치료과학
    • /
    • 제3권1호
    • /
    • pp.19-29
    • /
    • 201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환자 돌봄 제공자를 대상으로 부양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체계적 고찰을 통해 알아보고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2005년부터 2014년 까지 국내 외 학회지에 게재된 문헌을 RISS, Pubmed를 통해 검색하였다. 2차 분류를 통해 총 9개의 실험연구 문헌이 대상문헌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 선정된 9편의 문헌은 국외 논문이 국내 논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내적타당도는 PEDro score 3.5~7점 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사용된 중재는 교육적 중재가 가장 많았으며, 부양 부담감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로는 모두 Zarit Burden Interview(ZBI)를 사용하였다. 결론 : 늘어나는 치매 환자와 돌봄 제공자에 비해 치매 환자 돌봄 제공자의 부양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가 아직까지 국내에서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추후에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환자 돌봄 제공자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중재효과 실험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부분체적에 의해 번진 명암 값으로 표현된 뇌의 자기공명영상에 대한 영역분할 및 체적계산 (Region Segmentation and Volumetry of Brain MR Image represented as Blurred Gray Value by the Partial Volume Artifact)

  • 성윤창;송창준;노승무;박종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7A호
    • /
    • pp.1006-1016
    • /
    • 2000
  • 본 논문은 뇌의 자기공명영상에서 백질과 회백질 및 뇌척수액을 분리하고 각각의 체적을 산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뇌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영상의 배경을 제거한 후 외피 및 지방층으로부터 뇌 영역 전체를 분리하였으며, 부분체적의 문제(partial volume artifact)에 의해 명암 값의 번짐 현상을 보이는 뇌의 내부 영역에서 자기 공명영상의 생성원리를 근거로 명암 값의 산술적인 해석을 통해 원래의 단면 안에 존재하던 각 성분의 부분체적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백질과 회백질 및 뇌척수액의 부분체적은 번짐 현상을 보이는 자기공명영상에서 각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판별값을 경정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최종적으로 백질과 회백질 및 뇌척수액의 체적을 산출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뇌의 위축을 보이지 않는 정상인의 자기공명영상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향후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알쯔하이머 병이나 뇌성마비등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 환자의 뇌 위축정도를 객관적으로 진단하는 방법으로 사용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