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알레르기 지각증상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집먼지진드기 항원량과 알레르기 자각증상의 계절적 변화 - 알레르기 천식환자가구와 정상가구의 비교 - (Seasons Variation of House Dust Mites Allergen and Perceived Allergic Symptoms)

  • 김용순;박지원;송영신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0-4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seasons variation of house dust mites allergen and perceived allergic symptom.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29 family with allergy patients and 34 family without allergy patients. Perceived allergic symptoms were accessed and house dust was sampled from beds, floor of bedroom, kitchen and livingroom in spring(August), summer (July), fall(October) and winter(January) and tested using two-site ELIS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ll family, amount of house dust mites allergen(Der fI) of livingroom floor was the highest in summer$(4.73{\mu}g/1g\;of\;dust)$, and then fall$4.67{\mu}g/1g\;of\;dust)$, winter$(3.94{\mu}g/1g\;of\;dust)$, spring$(1.73{\mu}g/1g\;of\;dust)$. 2) In family with allergy patients, amount of house dust mites allergen(Der fI) of bedroom floor was highest in fall $(9.75{\mu}g/1g\;of\;dust)$. 3) In family with allergy patients, amount of house dust mites allergen(Der fI) of mattress was highest in fall$(8.23{\mu}g/1g\;of\;dust)$. 4) Perceived allergic symptom scores of family with allergy patients were higher than family without allergy patients in all seasons. In family without allergy patients, perceived allergic symptom scores was the highest in spring(4.29) and perceived allergic symptom scores of family with patients was the highest in winter(2.49). 5) The relationship of house dust mites allergen and perceived allergic symptom scores were positively related (r=.941, p=.000). Perceived allergic symptoms were correlated with amount of house dust mites allergen, That is, perceived allergic symptoms were became worse by house dust mites allergen. So House dust mites allergen reducing strategies and intervention should be recommended in further study.

  • PDF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원 및 질병관리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allergy and asthma patients: With specific focus 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health management)

  • 김의철;홍천수 ;이정권 ;박영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2호
    • /
    • pp.143-181
    • /
    • 2005
  • 이 연구의 주된 관심은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는데 있다. 신체적인 증상과 생리적인 기능 외에, 심리적인 기능과 인간관계가 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해, 알레르기 비염과 천식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하였다. 연구자들이 제작한 반구조화된 질문지에서는 여섯 개 영역을 측정하였다 : 질병 발생의 원인, 심리적 특성, 질병의 관리, 신뢰, 사회적 지원, 신체증상과 삶의 질 지각. 상호작용모형 (Bandura, 1997; Kim & Park, 2005)을 기초로 분석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건강회복과 질병악화의 순환과정에 대한 잠정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모형은 발병 단계, 대처 과정, 결과적 증상의 세 단계로 구성되었다. 첫째, 발병 단계에서는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이 포함되었다. 둘째, 대처과정에서는 세 측면이 다루어졌다. 환자의 심리적 기능과 관련된 특성으로는 자기효능감(자기조절 효능감, 주위사람도움 효능감, 환경통제 효능감, 어려움극복 효능감), 긍정적 성격과 목표의식, 스트레스, 대리적 통제가 포함되었다. 인간관계는 의미있는 주위 사람들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원(재정적, 정서적, 정보적)과 신뢰(의사환자관계, 가족관계)가 포함되었다. 질병 관리 행동으로는 적절한 병원 진료, 의사처방 이행정도, 환경관리, 일상생활 관리가 포함되었다. 셋째, 결과적 증상으로 신체증상 및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 지각이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와 제안된 모형에 토대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논의가 있었다 : 생리적, 심리적, 관계적, 환경적 요인들이 상호작용하고 나아가서 건강과 삶의 질에 관련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자기효능감 가족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원, 의사에 대한 신뢰, 의료 복지를 위한 사회적 체제가 건강한 삶과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핵심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학문적이고 토착적이며 문화심리적인 시각에서의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