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알긴산 비드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알긴산칼슘 비드 상 흡착에 의한 흔적량 구리(II)와 납(II)의 동시 농축 및 정량 (Preconcentration and Determination of Trace Copper(II) and Lead(II) in Aqueous Solutions by Adsorption on Ca-Alginate Bead)

  • 최종문;최선도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90-598
    • /
    • 2004
  • 수용액 중 흔적량 Cu(II)과 Pb(II)을 알긴산칼슘 비드에 흡착 농축시켜 정량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알긴산칼슘 비드는 시료용액에 일정량의 Ca(II)과 알긴산을 첨가하여 용액 내에서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인 흡착농축을 위해서 검토해야 할 수용액의 흡착 pH, Ca(II)의 농도, 알긴산의 양, 겔화 방지를 위한 에탄올의 농도, 흡착 평형시간과 탈착을 위해 사용하는 산의 종류 및 농도 등의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흔적량 Cu(II)과 Pb(II)이 포함된 시료 용액에 Ca(II)과 에탄올을 가한 후 용액의 pH를 5.0으로 고정하고, 알긴산을 첨가하여 알긴산칼슘 비드가 용액 내에서 형성되도록 하였다. 흡착 평형이 이루어지면 막 필터로 용액을 거르고, 걸러진 알긴산칼슘 비드를 소량의 완충용액으로 세척한 후 질산용액을 가하여 초음파 세정기에 넣고 역 분산시켰다. 역 분산을 위해 사용하는 탈착제로는 질산이 가장 좋았고, 이때 질산의 농도가 1.0 mol/L 이면 정량적으로 탈착되었다. 공존이온에 대한 방해효과를 Na(I), K(I) 및 Mg(II)에 대해 검토한 결과 Pb(II)에 대해서는 방해효과가 없었으나 과량 존재할 때 Cu(II)에 대해서는 흡광도를 감소시키는 방해를 야기하였다. 2가지 물 시료에 본 방법을 적용한 결과 $90.4{\sim}104.3%$의 회수율을 얻었으므로 수용액 중 흔적량 존재하는 Cu(II)과 Pb(II)을 분리 흡착 농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버네사이트를 고정화한 알긴산 비드(Bir-AB)를 이용한 수용액 중 1-Naphthol의 제거 (Removals of 1-Naphthol in Aqueous Solution Using Alginate Gel Beads with Entrapped Birnessites)

  • 엄원숙;이두희;신현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47-25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페놀계 화합물의 산화-변환 반응매개체로 알려진 버네사이트를 고정화한 알긴산 겔 비드(birnessite entrapped alginate beads, Bir-AB)를 제조하고, 1-naphthol (1-NP)의 제거반응 특성을 회분식 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분석 결과, 버네사이트 입자는 알긴산 겔을 가교로 하여 비드에 고정화됨을 확인하였다. Bir-AB에 의한 1-NP의 제거는 유사일차 속도반응(pseudo-first order kinetic)을 따랐으며, 반응속도상수(k)는 알긴산(AG)에 대한 버네사이트(Bir) 입자의 혼합비(Bir : AG=0.25 : 1~1 : 1 w/w)가 2배 증가할 때마다 약 1.5배씩 증가하였다. Bir-AB에 의한 1-NP 제거는 pH의 영향을 받았으며 pH가 10에서 4로 감소하면서 반응속도 상수(k, $hr^{-1}$)는 0.361에서 0.661로 약 1.8배 증가하였다. 반응상등액에 대한 총유기탄소(TOC) 분석결과 Bir-AB는 버네사이트 분말입자를 사용한 경우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은 용존 유기탄소 제거 효과(74% vs 92%)를 보였으며, 반응 후 분리한 비드에 대한 탈착실험(CH3OH)과 HPLC 크로마토그램 분석 결과로부터 1-NP의 중합체 생성물은 Bir-AB에의 고정화를 통해 수용액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반응상등액에 대한 원자흡광분석(AAS) 분석결과 반응과정에서 용출되는 Mn이온은 Bir-AB에의 재흡착을 통해 제거되었다. Bir-AB는 간단한 여과를 통해 모두 회수가능하며, 2회 재사용에 따른 1-NP의 제거효율을 평가한 결과, 초기에 비교한 큰 반응성의 감소(제거율<20%) 없이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긴산 비드에 혼합된 해파리 면역 반응물질 함량에 따른 중금속 흡착효율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Heavy Metals by the Content of Jellyfish Extract at Immunity Reaction in Alginate bead)

  • 김종환;박혁진;최인호;김은진;최이송;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431-436
    • /
    • 2023
  •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생태계로 유입되는 중금속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중금속은 분해가 어려워 생태계 내에 장기간 잔류하고 독성을 유발한다. 이러한 중금속은 수처리 시 흡착, 여과, 화학적 침전 등 물리 화학적 방법으로 제거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흡착 및 제거용 킬레이트 수지로 알긴산 비드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중금속 흡착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JEI (Jellyfish extract at immunity reaction)를 혼합하였다. JEI를 혼합한 비드는 알지네이트의 특성에 따라 납(79-99%)과 구리(64-70%)에서 높은 흡착효율을 보였으며 카드뮴(25-37%)과 아연(5-6%)에서 낮은 흡착효율을 나타내었다. 중금속 흡착은 JEI의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았으나 50%와 100% JEI 비드가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반응 속도식을 적용한 결과 유사 1차 반응식보다 유사 2차 반응식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드의 생산 단가나 중금속 흡착제거 효율을 비교해보면 50% JEI 비드가 중금속 흡착제거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Colonic Delivery를 위한 펙틴 비드로부터 BSA의 방출 특성 (Release Properties of BSA from Pectin Heads for Colonic Drug Delivery)

  • 최춘순;박상무;송원현;이창문;이기영;김동운;김진철
    • KSBB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61-164
    • /
    • 2003
  • 경구 투여가 비교적 어려운 단백질 약물을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고 생분해성을 가진 펙틴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colon에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온결합을 통해 펙틴, 펙틴-알긴산비드를 제조할 수 있었고, 단백질 약물인 BSA를 포함하여 방출을 행한 결과, 비드의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방출률이 높은 경향을 보인 반면, 동결건조된 비드가 가장 높은 방출을 나타냈다. 또한, 가교제의 농도를 높게 처리한 비드일수록 방출률이 낮았다. 경구 투여 후 colon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5시간 후에 펙틴 분해효소를 처리한 결과, 효소 처리하지 않은 비드에 비해 급격한 방출이 일어났다. 이러한 결과로 colon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펙턴 비드에 포함된 약물이 방출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경구로 투여된 펙틴 비드 안의 약물이 소화기관에서 안정하게 통과하고 colon에서 방출되어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고정화한 유전자 재조합 균주 Pseudomonas putida mt-2 KG1206의 톨루엔 계열 화합물에 대한 생물발광 활성 조사 (Bioluminescence Activity of Toluene Analogs by Alginate-immobilized Pseudomonas putida mt-2 KG1206)

  • 공인철;정홍경;고경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7-15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톨루엔 계열 화합물로 오염된 환경에 대해 고정화한 유전자 재조합 균주 KG1206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재조합 균주 KG1206은 직접 유도제인 m-toluate, benzoate 뿐만 아니라 톨루엔, 자일렌 이성질체가 간접 유도제로서 발광 활성을 나타낸다. 연구에 의해 결정된 고정화 프로토콜의 최적 조건은 다음과 같다: 균주 농도(1 : 1 (v/v)), 오염원 용액(인산염 완충액), 발광 측정에 필요한 비드 수(4개), 5가지 오염원에 대한 최대 발광 활성은 일반적으로 m-toluate > p-xylene > 톨루엔 > o-xylene > m-xylene 순으로 나타났다. 생물발광과 오염원 감소는 HPLC로 확인하였으며, 고정 균주에 의해 초기 5 mM m-toluate는 5시간 배양 후 약 48%의 감소율을 나타내었으며 계속 분해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알긴산 균주 고정화에 대한 본 연구 결과는 톨루엔 계열 화합물을 함유한 석유계 탄화수소에 오염된 특정 환경을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유용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베타카로틴 함유 알긴산 나트륨 비드의 제조 및 안정성 (Preparation and Stability of Sodium Alginate Beads Containing ${\beta}-Carotene$)

  • 고광목;구자성;김영일;양재헌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9권4호
    • /
    • pp.323-327
    • /
    • 1999
  • To protect ${\beta}-carotene$ at the stomach and to release rapidly at the intestine we prepared alginate beads containing ${\beta}-carotene$. ${\beta}-carotene$ and alginate solution was homogenized and prepared o/w emulsion was prepared. It was poured into $Ca^{2+}$ solution through syringe needle. The gel was formed spontaneously and alginate beads containing ${\beta}-carotene$ were prepared. ${\beta}-Carotene$ was incorporated into the beads more than 95%. The release rate of ${\beta}-carotene$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Ca^{2+}$, ${\beta}-carotene$ and surfactants.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alginate did not affect the release rate of ${\beta}-carotene$. The high concentration of $Ca^{2+}$ slowed down the release rate of ${\beta}-carotene$. The addition of surfactants in the ${\beta}-carotene$beads increased the release rate of ${\beta}-carotene$ in the order of Tween 80 > Cremophor > Span 20. The contents of ${\beta}-carotene$ and diameter of ${\beta}-carotene$ bead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t $50^{\circ}C$ for 20 days.

  • PDF

다양한 구조를 가진 알긴산-피브로인 비드 제조 (Preparation of Alginate-fibroin Beads with Diverse Structures)

  • 이진실;이신영;허원
    • KSBB Journal
    • /
    • 제26권5호
    • /
    • pp.422-426
    • /
    • 2011
  • Alginate bead has been supplemented with various polymers to control permeability and to enhance mechanical strength. In this report, fibroin-reinforced alginate hydrogel was prepared, in which spatial localization of fibroin molecules was investigate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revealed that fibroin molecules formed a fibrous network in the alginate-fibroin beads, which was expected to enhance mechanical strength as same as in many composite materials. Uniaxial compression test showed that fibroin-reinforced alginate beads had increased mechanical strength only after methanol treatment that caused ${\beta}$-sheet formation among fibroin molecules. Simultaneous curing and dialysis of alginate beads were carried out to remove excesscalcium but to retain fibroin in the dialysis chamber, which fabricated beads without internal fibrous fluorescent stains. Fibroin molecules were only found beneath the surface of the beads. The fibroin-diffused shell was further processed to form a thick wall after drying or was mobilizedto the centre of the bead by methanol treatment. Accordingly, the structure analyses provide processing methods of fibroin to form a wall or center clumps, which could be applied to design controlled delivery device.

Carboxylated alginic acid bead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에 대한 염료폐수의 영향 연구 (Effect of Dye Wastewater on Heavy Metal Removal using Carboxylated Alginic Acid Bead)

  • 전충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4호
    • /
    • pp.74-80
    • /
    • 2009
  • Carboxylated alginic acid bead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에 관한 염색폐수의 영향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Carboxylated alginic acid bead를 담체로 사용하였을 때 때 납과 구리이온의 흡착에 미치는 염색폐수의 영향은 매우 작았다. 또한, 납 이온이 염색폐수와 같이 섞여 있을 때 흡착공정은 거의 2-3 시간 내에 이루어졌으며 50ppm의 납 이온은 0.3g의 담체만으로 대부분 제거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Carboxylated alginic acid bead가 염색폐수 내에 존재하는 중금속 이온의 제거에 대해서 효과적인 흡착제임을 의미한다.

알긴산 장용 비드에 봉입한 새로운 장 표적성 경구용 장티푸스 Ty21a 백신의 개발 (Development of a New Gut-targeted Oral Typhoid Vaccine Ty21a Encasulated within Alginate Enteric Beads)

  • 장윤정;정성균;박동우;김희준;김기호
    • 약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36-544
    • /
    • 2001
  • increase the viability of oral typhoid vaccine during the passage through the castro-intes-tidal tract, numerous attempts have been made including the vaccine coating. However problems such as high death rate during the coating process and its instability in the gastric juice still remain to be solved. In this study, the oral vaccine was made as the micro-enteric beads by adding Salmomella typhi Ty21a cells to sodium alginate solution and spraying onto calcium chloride solution (ionotropic relation method). The vaccine showed more than 90% of its original viability after treating it for 1 hour in the artificial gastric juice (37$^{\circ}C$, 300 rpm). The clearance rate of the Ty21a in the liver and spleen of the mice orally administrated with coated Ty21a was similar to that of the mice intraperitoneally administrated with uncoated Ty21a. The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PBL) isolated from the mice orally administered with this vaccine produced 15.5 fold higher specific IgA antibody titer than that from the control mice administerd with saline solution. furthermore, the mice treated with the coated Ty21a had higher survival rates (50~87%) than the control mice treated with saline solution (0~10%) in the intraperitoneal challenge test with wild type S. typhi Ty21a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lginate-based coating technique is effective to protect live Ty21a from acidic environments, and produces better intestinal immune responses thereby providing a potentially excellent oral typhoid vacc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