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흥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조명탄 탄체 착발거리 전투 실험

  • 손광식
    • 국방과기술
    • /
    • 4호통권254호
    • /
    • pp.74-81
    • /
    • 2000
  • 조명탄 탄체 착발거리 전투실험은 탄체 착발거리에 대한 전문가 및 학계의 의견이 상이하고, 또한 교리적인 면에서도 조명제 파열후 탄체에 대한 거리 규명과 탄저마개 낙탄지대에 대한 교리가 미정립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교리적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안흥종합시험장에서 국방과학연구소, 국방품질 관리소 및 탄약 제조업체가 참여하여 탄체 착발거리를 규명하기 위한 전투실험을 실시하여 탄체 착발거리 뿐만 아니라 탄저마개의 낙탄지대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투실험결과는 창군이래 처음 실시해서 새롭게 발견한 귀중한 산물로 평시 및 국지도발 작전시 조명탄 사격간 대민 피해예방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본다.

  • PDF

한국 남해 및 서해 연안 해산 해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n the Marine Sponges from the South Sea and the Yellow Sea of Korea)

  • 심정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권1_2호
    • /
    • pp.21-30
    • /
    • 1985
  • 본인은 1984년 6월부터1985년 5월까지 서해연안(작약도, 대천, 안면도, 안흥)과 남해연안의 삼천포를 중심으로 한 부근섬(신수도, 늑도, 비진도, 충무) 및 거제도, 제주도 등지에서 채집된 재료 90여점과 그간 미해결로 보류되어있던 기존 표본들을 동정분류한 결과 26 종의 기록종과 3 종의 한국 미기록종(Spongia officienalis , S. zimmocca, Tedania Tublifera)이 밝혀졌다. 기록종 가운데 Esperiopsis uncigera 와 Hymeniacidon sinapium은 재검토되었다.

  • PDF

직접탐색법을 이용한 사출성형품의 강건설계 (Direct Search-Based Robust Design of Warpage in Injection Molded Parts)

  • 김경모;박종천;안흥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86-96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robust design methodology for plastic injection molded parts wherein warpage will be minimized by a complex method which is a kind of a simple direct search method. The design space considered for optimization is divided Into two sub-design space : mold and process conditions. Warpage is quantified using the Moldflow injection molding simulation software. The design methodology was applied to an actual part of a fax machine, the Guide-ASF model, through two different design polic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e synthesis of a computer simulation of injection molding process and optimization technique to determine the optimal robust design solution.

  • PDF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사출성형품의 휨의 강건설계 (Robust Design of Warpage in Injection-Molded Parts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박종천;김경모;안흥일
    • 소성∙가공
    • /
    • 제10권6호
    • /
    • pp.493-499
    • /
    • 2001
  • An optimal robust design methodology has been developed to minimize warpage in injection-molded pats.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applied to obtain a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esign variables and warpage value, and the modified complex method was used as an optimization tool to search for an optimal design solution over prescribed design region. To attain robustness against process variations, Taguchi's SN ratio was introduced as the design metric. The proposed optimal design procedure was applied to an actual part, the Guide-ASF model of a fax machine, and the usefulness of the methodology was shown through the CAE simulation using a commercial injection molding software package.

  • PDF

화옹 (남양만) 방조제에 따른 아산만의 조석변화 (Tidal Characteristics Change in the Asan Bay due to the Hwaong (Namyang Bay) Tidal Barrier)

  • 박문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4호
    • /
    • pp.320-324
    • /
    • 2008
  • 화옹(남양만) 방조제 건설에 따른 아산만내 조석의 평균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택 및 안흥의 1993년$\sim$2006년 조석자료중 분석가능한 자료를 조화분석을 통하여 각 분조의 진폭및 지각을 구하여 분석한 결과, 아산만 외해에 위치한 안흥의 반일주조의 진폭은 감소 경향을 보이나, 아산만내 평택의 반일주조의 진폭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특히 화옹방조제 완공 전후 2002년$\sim$2003년 평택 반일주조의 급격한 증가현상을 보였다. 이는 아산만내의 조석변화가 외해와 무관하게 존재함을 의미하며, 화옹방조제 건설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아산만의 조석변화는 조석 진행방향을 체절한 금강하구언의 경우 또는 'choking effect'를 없앤 영산강 하구언의 반일주조 진폭증가와 달리 만내 방조제 건설로 조석진폭 증가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완공전에 비하여 완공 후 조석변형 척도 $M_4/M_2$ 비율은 증가하고, $M_2$, $M_4$분조의 지각차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아산만 조석은 화옹방조제 건설이후 조차의 증가와 창조시간 감소로 인한 창조류 강화로 더 많은 퇴적물의 만내 유입을 유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소수력발전소의 수문학적 성능특성 분석 (Hydrologic Analysis Methods fo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mall Hydro Power Plant)

  • 박완순;이철형;심명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159-1166
    • /
    • 1994
  • 본 연구는 소수력발전소의 성능분석 및 예측기법에 관한 것으로 소수력발전소에서의 유량지속곡선을 작성하기 위해서 Weibull 분포의 누가밀도함수를 사용하여 강수자료를 특성화하였고, 특성화된 유량지속함수를 이용한 성능분석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한강수계에 위치한 안흥소수력발전소를 대상으로 개발된 성능분석모형을 이용하여 발전소의 성능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문자료가 부족한 소수력발전소의 경우, 개발된 성능분석모형을 이용하여 기존 소수력발전소에 대한 성능분석 뿐만 아니라 발전소의 초기 설계시 설계유량, 설비용량, 연 평균가동율 및 연간 발전량 등의 성능 예측에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서해안 안흥에서 관측된 에어로솔의 농도 변화 및 크기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Aerosol Mass Concentrations and Size Distribution Measured at Anheung, Korea)

  • 이권호;이규태;김정호;문관호;안준모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77-686
    • /
    • 2018
  • An intensive measure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mass and number concentrations of atmospheric aerosols in Anheung ($36.679^{\circ}N$, $126.186^{\circ}E$), the west coastal measurement site of Korea during December 2017~April 2018. To evaluate relationships between the aerosols and meteorological parameters, comparisons of Optical Particle Counter (OPC) measured data and Auto Weather System (AWS) data were performed. Measured PM mass concentrations are $PM_{10}=42.814{\pm}30.103{\mu}g/m^3$, $PM_{2.5}=29.674{\pm}25.063{\mu}g/m^3$, $PM_1=28.958{\pm}24.658{\mu}g/m^3$, respectively. The PM ratios showed that the $PM_{10}$ concentrations contained about 67.8% of $PM_{2.5}$, while most part of $PM_{2.5}$ was $PM_1$ (about 97.1%). Timely collocation with AWS data were performed, exploring relations with the PM concentrations. PM concentrations can be explained by wind direction and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The significant reductions of fine particles in mass and number concentrations may attribute to actions on particle growth and wet removal. In these results, we suppose that the aerosol concentrations and size distributions are affected by inflow direction and air mass sources from the origin.

과학 1, 2호 로켓 실험을 통한 성층권 오존량 측정 (OZONE MEASUREMENTS IN THE STRATOSPHERE FROM KSR420S-1 AND -2)

  • 이기영;이동훈;김준;박창준;조희구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1권1호
    • /
    • pp.53-70
    • /
    • 1994
  • 오존 측정기를 장착한 과학 1, 2호 로켓이 충청남도 안흥에서 1994년 6월 4일과 9월 1일에 각각 발사되었다. 오존 측정기로 성충권에서의 태양 자외선의 세기를 여러 파장대역에서 측정하여 성층권 고도의 오존 수밀도의 수직 분포를 구하였다. 오존 밀도의 최대값은 약 25km 근처에서 나타났으며, 오존 밀도의 분포는 중위도 지역에서의 기존 측정값들과 잘 일치하였다. 또한 위 로켓 실험 관측 자료를 동시 관측된 연세대의 돕슨 분광기, 경희대의 LIDAR, Nimbus 위성의 SBUV와 NOAA 위성의 TOVS 측정 자료들과 각각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