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정화 운동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1초

만성요통환자의 복합재활운동이 통증과 정적균형, 재위치감각인지에 미치는 영향 (Lumbar Combined Rehabilitation Exercise for Lumbar Reposition Sense, Static Balance and Pain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김대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96-201
    • /
    • 2019
  •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근력강화운동과 안정화운동을 적용한 복합운동이 정적균형, 요부 재위치감각인지, 요부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만성요통환자 30명을 복합운동그룹과 안정화운동그룹 등 두 그룹으로 나누워 8주간 주 3회씩 운동을 실시하였다. t-test를 이용하여 그룹전, 후와 그룹간을 비교한 결과 정적균형, 요부 재위치감각인지, 요부통증 모두 두 그룹 운동전, 후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지만(p<.05), 그릅간에 있어서는 근력강화운동과 안정화운동을 적용한 복합운동그릅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적으로 근력강화운동과 안정화운동을 실시한 복합운동이 요통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부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척추안정화 운동이 민간 경호.경비원들의 허리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inal stabilization training on Chronic Low Back Pain in Private Guard and Security)

  • 김성호;이완희
    • 시큐리티연구
    • /
    • 제20호
    • /
    • pp.71-93
    • /
    • 2009
  • 이 연구는 만성요통을 가진 민간 경호 경비원들을 대상으로 척추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여, 허리통증, 일상생활제한, 척추심부근육의 근단면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지역 경호 경비업체에 종사하는 직원 중 만성요통(3개월 이상)을 호소하는 4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척추강화운동그룹, 척추안정화 운동 그룹으로 21명씩 무선 할당하여, 주 3회, 10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허리통증과 요통장애지수를 조사하였으며, 컴퓨터 단층촬영(CT)을 실시하여 다열근과 대요근의 근단면적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전 후 변화된 값을 비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통증강도와 요통장애지수는 두 그룹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룹 간 비교에서는 척추안정화 운동그룹이 일반적인 척추강화 운동그룹에 비하여 통증 및 일상생활제한의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두 그룹 간 다열근과 대요근의 근단면적 변화는 척추안정화 운동그룹이 일반적인 척추강화 운동그룹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 연구 결과를 볼 때, 만성요통을 호소하는 민간 경호 경비원들을 대상으로 다열근과 대요근과 같은 심부근육 강화에 초점을 둔 척추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일반적인 척추강화 운동프로그램 보다 통증 및 요통장애지수 감소와 심부근육의 근력 증가(근단면적)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척추안정화 운동이 만성요통 민간 경호 경비원들의 요통감소와 기능 회복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 PDF

수상 및 수중운동체의 로버스트 안정성 해석 및 안정화에 관한 연구

  • 김영복;지상원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수상 및 수중운동체의 안정성 및 안정화기법에 관해 고찰한다. 선박이 운동을 하게 되면 부가질량이 변하게 되고 대칭인 시스템행렬이 비대칭이 된다. 비대칭성에 따라 시스템의 안정성해석방법도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가속도 피드백을 통해 비대칭요소를 제거하여 대칭으로 변환시키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해석 및 안정화 기법이다. 시스템 모델자체는 어디까지나 모델이기 때문에 대상시스템을 명확하게 수식으로 표현할 수 없으므로 피드백에 의한 비대칭요소를 소거시키는 방법은 타당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칭행렬이 비대칭행렬로 변하는 제약에 구애받지 않는, 보다 일반성을 갖는 안정성해석법을 제안한다.

  • PDF

경부안정화 운동이 민간 경비원의 목통증, 경부장애지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ervical Spinal Stabilization Training in Private Security on Chronic Neck Pain and Cervical Function, Neck Pain, ROM)

  • 김성호;권봉안;이완희
    • 시큐리티연구
    • /
    • 제25호
    • /
    • pp.89-107
    • /
    • 2010
  • 이 연구는 만성 경부통을 가진 민간 경비원들을 대상으로 경부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여, 목통증, 경부장애지수, 관절가동범위, 근육통증, 재위치감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 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 지역 민간경비업체에 종사하는 직원 중 만성 경부통을 호소하는 21명을 대상으로 경부 안정화 운동그룹, 자세교정 운동그룹으로 무선 할당하여, 주3회, 8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목통증과 경부장애지수를 조사하였으며, 관절가동범위, 근육통증, 재위치감각 검사를 실시하여 실험 전 후 변화된 값을 비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통증강도와 경부장애지수는 경부 안정화 운동그룹이 실험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관절가동범위, 근육통증, 재위치감각은 경부 안정화 운동그룹에서 실험 후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자세교정 운동그룹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그룹 간 비교에서도 경부 안정화 운동그룹이 통증, 경부장애지수, 관절가동범위, 근육통증, 재위치감각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05).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만성 경부통을 호소하는 민간 경비원들을 대상으로 경장근과 다열근과 같은 심부근육 강화에 초점을 둔 경부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일반적인 자세교정 운동프로그램보다 통증 및 목 기능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부 안정화 운동이 만성 경부통을 가진 민간 경비원들의 목 통증 감소와 기능 회복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 PDF

8주간의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천장관절 증후군 남성의 근체형 및 주관적 통증정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l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to Muscle Body Type and Subjective Pain Degree of Men Who Have Sacroiliac Joint Syndrome)

  • 백순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651-658
    • /
    • 2014
  • 본 연구는 천장관절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중년남성 17명을 대상으로 슬링을 이용한 요부 안정화 운동이 근체형 및 주관적 통증에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여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의 효과성을 증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시에 소재한 S정형외과에서 X-Ray 등의 검사를 통하여 천장관절 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6개월 이상의 병력이 있는 만성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을 8주간 주 3회씩 1회 30분 통 24회 실시한 후 3차원 Moire 근체형검사기를 사용하여 근체형의 변화와 변형된 VAS통증 자각도를 이용하여 주관적 통증정도의 전 후 변화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근체형의 변화는 운동전과 운동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됐고 주관적 통증정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은 천장관절 증후군 환자의 근체형 및 통증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체간의 안정화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on Dynamic Balance in the Persons with Chronic Stroke.)

  • 신원섭;김창영;이동엽;이석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509-2515
    • /
    • 2009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체간 안정화운동을 실시하여 동적 균형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만성 뇌졸중 환자 38명으로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체간 안정화운동(n=20)과 기존의 일반적 균형운동(n=18)을 주 3회씩 7주간 시행하였다. 운동의 시작 전과 후에 동적 균형능력을 측정하여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았고 전과 후의 변화량을 가지고 운동방법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체간 안정화운동으로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능력(BBS, TUG)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두 그룹간의 치료 전 후차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BBS 측정에서 체간 안정화운동이 일반적 균형운동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재활 훈련 방법으로 체간의 안정화운동이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임상적 적용에서도 누운 자세에서 시행하는 체간 안정화운동이 뇌졸중 급성기 이후의 조기 적용에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3차원 척추 안정화 운동이 고령자의 체간 근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3-D Spine Stabilization Training on Trunk Muscle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in Elderly)

  • 서신배;김동현;정호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5-5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척추 안정화 운동이 고령자의 체간 근력 및 신체 구성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건강한 65세 이상 고령자 40명(훈련군 20명, 대조군 20명)으로 구성하였다. 피험자는 실험 전 후 척추안정화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8가지 방향에 대한 근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체성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신체 구성 변화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훈련군은 척추 안정화 훈련 시스템에서 방향성 훈련(F, FOR, R, BOR, B, BOL, L, FOL)을 제공하였으며, 탄력 밴드 운동, 근력 강화 체조, 걷기 운동으로 구성된 복합운동을 30분간 수행하였다. 대조군은 척추 안정화 운동을 제외한 복합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훈련은 주 3회, 총 8주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훈련군은 체간 근력이 실험 전 79.9점에서 8주 후 85.6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신체구성에서도 체중 감소, 체지방 감소, BMI 지수 감소 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대조군의 경우 체간 근력의 변화는 없었지만 골격근량 증가, 체지방 감소 등의 운동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척추 안정화 운동이 고령자의 체간 근력 및 신체구성 발달을 유도하여 고령자의 비만 및 낙상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척추 안정화 훈련기기와 복합운동을 조합하여 고령자들에게 효과적인 재활 운동 프로그램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척추안정화운동과 도수치료가 급성기 또는 아급성기 허리통증 환자의 통증지수와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 and Manual Therapy on Visual Analogue Scale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in Acute or Subacute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박은영;김원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792-1798
    • /
    • 2013
  • 이 연구는 척추안정화운동과 도수치료가 급성기 또는 아급성기 허리통증 환자의 통증지수와 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23명의 허리통증 환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였고 무작위로 분류되었다. 도수치료(10명)와 척추안정화운동(13명)은 총 4주간 주 3회, 15분/1회 적용되었다. 각각의 치료 전에 전통적인 치료를 30분간 적용하였다. 치료 전과 후에 시각사상척도와 한국어판 오스웨스트리를 측정하였다.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두 치료 모두에서 통중지수와 장애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통증지수의 변화율은 도수치료보다 척추안정화운동 시 유의하게 높았지만(p<.05), 장애지수의 변화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이상으로 볼 때, 척추안정화운동은 아급성기 또는 급성기 허리통증 환자에서도 통증을 안전하게 줄이는데 도움이 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급성기 이하의 허리통증 환자에서도 통증과 장애를 줄이는데 척추안정화운동이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몸통 안정화 운동이 단기 금연자의 허파기능, 최대 산소 섭취량, 심장박동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pulmonary function, maximal oxygen uptake, and heart rate of short-term non-smokers)

  • 유경태;정범철;박순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64-17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대상으로 단기 금연 동안 실시하는 몸통 안정화 운동이 단기 금연자의 허파기능, 최대 산소 섭취량, 심장박동수, 회복 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충남 소재 N대학교의 20대 남성 26명으로 흡연자 13명과 비흡연자 13명을 선정하였다.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파악 후 사전 측정 시 허파기능(FVC, SVC, MVV)과 최대 산소 섭취량를 측정하였으며 3일 간 심장박동수와 회복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 후 3일 금연과 함께 몸통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사후 측정으로 허파기능과 최대 산소 섭취량을 측정하였고, 당일 운동 후 즉시 1일차, 2일차 3일차의 심장박동수, 회복 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 23.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몸통 안정화 운동이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심장허파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흡연자 집단과 비흡연자 집단 모두 운동 전후 허파기능(FVC, SVC, MVV), 최대산소섭취량, 회복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몸통 안정화 운동이 짧은 기간이라도 비흡연자뿐만 아니라 단기 금연자의 심장허파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금연 활동을 더한 몸통 안정화 운동이 심장허파기능 감소 예방 및 향상을 위한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요부 안정화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다열근 단면적, 정적자세조절, 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multifidus muscle cross-sectional area, static posture control and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김대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23-229
    • /
    • 2021
  •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요추의 구조와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요부 안정화운동과 근력강화운동을 병행한 운동 프로그램과 요부 근력강화운동만 적용한 운동 프로그램의 다열근 단면적, 정적자세조절, 요부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만성요통환자 28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운동그룹으로 나누워 주 3회씩 8주간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t-test를 활용하여 그룹 운동프로그램 적용전과 적용후, 그리고 각각의 그룹간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다열근 단면적, 정적자세조절, 요부통증 등 각각의 그룹내 운동프로그램 적용전과 적용후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p<.05), 각각의 그룹간에는 요부 안정화운동과 근력강화운동을 병행한 운동 프로그램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p<.05). 결론적으로 요부 안정화운동을 추가적으로 실시한 운동 프로그램이 다양한 요추의 구조와 기능을 향상시키고, 요부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