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전의복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1초

어린이의 스마트 포토닉 안전의복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hildren's Smart Photonic Safety Clothing)

  • 박순자;고대진;장성은
    • 감성과학
    • /
    • 제26권2호
    • /
    • pp.129-14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국제표준에서 규정한 형광직물과 재귀반사 소재에, 아동들이 선호하는 동물의 문양을 재귀반사 필름과 검정색 직물로 디자인하여 부착한, 2벌의 안전의복과 안전조끼를 제작하였다. 둘째, 야간에 주변광원이 없어도 원거리에서 생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안전의복에 스마트 포토닉 디바이스를 장착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어두운 때 버튼 원터치만으로 상황에 따라 3가지 발광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제작한 스마트 안전의복을 마네킹에 착용시켜 주야간의 시인성을 비교한 결과, 시인성의 차이가 야간에 확연히 나타났는데, 기존의 안전의복 착용 시에는 주변광원 없이는 착용자가 표출되지 않은 반면, 스마트 안전의복 착용 시는 약 70m의 원거리에서도 표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야간이나 기상악화 시에 주행하는 운전자가 원거리에서 생체를 인지할 수 있어 교통사고나 도로상의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광섬유의 발광기능 안정성 유지와 발광시간의 연장을 위하여 에너지 소진 시 태양전지로 수확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장시간 안정되게 광섬유 발광이 가능하여 시인성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스마트 포토닉 안전의복은 야간 작업자용으로도 활용 가능함이 증명되었다. 그러므로 광섬유 안전의복은 태양전지에 의한 에너지 하베스팅 적용으로 안정적인 충전에 의해 실생활뿐만 아니라 어두운 산업현장에서도 착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카탈로그 구매자들의 구매자 성향, 애고 동기, 애고 행동에 관한 성별 차이 연구 (Gender Differences of Mail-Catalog Shoppers in Shopper Tendencies, Patronage Motive Strength, and Patronage Behaviors)

  • Yoh, Eunah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551-156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카탈로그 구매자들이 의복쇼핑과 관련한 변인에 대하여 성별 차이를 보이는지를 연구하였다. 총 207명의 의류카탈로그 소비자들을 남성그룹 (N=97)과 여성그룹 (N=110)으로 나누어 카탈로그 의복쇼핑과 관련하여 구매자 성향, 애고 동기, 애고 행동을 비교하였다. 여성은 남성보다 유희적, 가격 중시, 편리성 중시 구매자 성 향을 높게 보였다. 여성 소비자들은 남성 에 비해 카탈로그 쇼핑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더 높게 나타내었고, 특히 편리성, 용이성, 유희성, 안전성, 경제성 면에서 더 높게 평가하였다.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 유일한 항목은 카탈로그의 브랜드 구색이었다. 이처럼 카탈로그 의복쇼핑의 만족도에 관한 성별 차이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카탈로그를 통한 의복쇼핑 행동에서는 성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을 바탕으로 의류 카탈로그 업체를 위한 마케팅 전략들이 제안되었다.

  • PDF

중.고등학교 학생의 의복추구혜택과 교복착용 태도의 관계 및 교복착용 태도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Correlation and Effects between Benefits of Pursuing Clothes and Attitude & Satisfaction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김하영;박명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61
    • /
    • 2013
  •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의복추구혜택의 분석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개성 및 심미성과 경제성을 더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유명상표를 더 추구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따른 의복추구혜택에서는 개성 및 심미성과 경제성 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의복추구혜택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학생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학생 모두 개성 및 심미성, 실용성을 추구했지만, 상대적으로 유명상표와 경제성 추구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교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복 변형의 경험과 태도에 대한 물음에도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았으며, 교복 변형에 대한 태도는 남녀 모두 전체적으로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중 고등학교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의 분석 결과, 교복착용 태도의 심미성에서 고등학생의 점수가 중학생의 점수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교복 변형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다는 비슷한 결과를 통해 해석이 가능하다. 교복의 변형률이 높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외모를 타인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함이며, 교복을 통해 자신을 개성있고 현대적인 이미지로 보여주고자 하는 심리가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지역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 분석 결과, 경기지역 학생들이 서울 지역 학생들보다 교복에 대한 찬성도와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복 착용방법에는 지역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서울에 비해 경기도에서 교복을 변형한 경험이나 변형하려고 하는 의견이 높았고, 그 이유는 개성을 살리기 위해서이며 그 방법으로 치수나 폭을 줄이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추구혜택과 교복착용 태도와의 관계 분석 결과, 개성 및 심미성을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서도 심미성과 안전성을 추구하지만 경제성은 추구하지 않았으며, 실용성을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서 심미성과 안전성보다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상표를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심미성과 안전성을 추구하였지만 경제성은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을 추구하는 학생들은 심미성, 안전성, 경제성 모두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복착용 태도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평상시 교복착용 태도에서 심미성과 안전성, 경제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 심미적인 부분과 실용 및 편리 부분에서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의복에 대한 추구혜택과 교복 착용실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복 착용실태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의복에 대한 의식과 태도가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교복업체와 학교를 통해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PDF

야외 운동복용 직물에서의 수분전달 (Water Vapour Transfer through Fabrics for Outdoor Activities)

  • 오애경;박정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6-66
    • /
    • 2003
  • 야외 운동(outdoor activities)복에 사용되는 소재들은 외부로부터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어야 될 뿐 아니라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의복착용시 쾌적감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몸의 열적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인 수분전달 특성이다.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야외 운동복용 직물에서의 수분전달 현상을 조사하여 규명하므로써 이 직물들이 실제 의복생활에 응용될 의복계 (clothing system)를 형성하였을 때의 수분전달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기초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base layer용, mid layer용 직물들이 shell layer로 쓰이는 waterproof breathable 직물보다 수분 전달률이 높았으며, waterproof breathable 직물의 수분 전달률은 microfibre 직물, PTFE-laminated 직물 그리고 polyurethane coated 직물 순 이었다. 또한 polyurethane 직물에서는 back coated 직물이 face-coated 직물보다 수분 전달률이 높았다.

야외 운동복용 직물에서의 수분전달 (Water Vapour Transfer through Fabrics for Outdoor Activities)

  • Oh, Ae-gyeong;Park, Jung-whan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2-196
    • /
    • 2003
  • 야외 운동(outdoor activities)복에 사용되는 소재들은 외부로부터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해 주어야 될 뿐 아니라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의복착용시 쾌적감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몸의 열적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인 수분전달 특성이다.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야외 운동복용 직물에서의 수분전달 현상을 조사하여 규명하므로써 이 직물들이 실제 의복생활에 응용될 의복계(clothing system)를 형성하였을 때의 수분전달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기초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base layer용, mid layer용 직물들이 shell layer로 쓰이는 waterproof breathable 직물보다 수분 전달률이 높았으며, waterproof breathable 직물의 수분 전달률은 microfibre 직물, PTFE-laminated 직물 그리고 polyurethane coated 직물 순 이었다. 또한 polyurethane 직물에서는 back coated 직물이 face-coated 직물보다 수분 전달률이 높았다.

거동 불편 노인을 위한 휠체어 안전복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heelchair Safety Clothing for the Disabled Elderly)

  • 윤미영;최혜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42-652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inconveniences and problems of established safety-equipment by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s for elderly people who use welfare services such as wheel chairs provided by care institutions. Suggestions will be made on how to improve the function and convenience of use to suit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how to create beautiful wheel chair safety-wear. Medical treatment helpers for the elderly were surveyed about the wearing conditions of wheel chair safety equipment. The present wheel chair safety equipment was shown to be aesthetically unpleasant; in addition, feelings of restriction and unpleasantness were noted (concerning the wearing of the equipment). In addition, there was no feeling of fixed stability. The wheel chair safety-wear that has been designed reflects the inconveniences and problems of current wheel chair safety equipment in material, design, and patterns along with the results of those surveys.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tests compared the manufactured safety-wear with current equip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ew safety-wear is superior than existing ones.

국내 고시인성 안전의복의 착용 현황 분석 및 시인성 평가를 통한 착용 의무화 제안 (A Proposal for Workers to Mandatorily Wear High-visibility Safety Clothing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Evaluation of Its Visibility)

  • 강인형;최병호;오철;육지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71-478
    • /
    • 2022
  • In roadside workplace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afety of workers. The roadside workers underestimate the effect of the brightness of their clothes and judge that drivers will recognize them easily, and the drivers misjudge that the roadside workers are far away and that the vehicle can be stopped in sufficient time. Therefore, customized safety education reflecting this and wearing work clothes with certified visibility functions are required. In Korea, it is not compulsory for roadside workers and vehicle guide attendants to wear work clothes with a visibility function. In this study, the distance ahead perceived by drivers was measured using manikins wearing certified and non-certified reflective safety vests. The perception distance of the non-certified reflective safety vest was 1.4 times longer than that of the certified reflective safety vest, thus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wearing a certified reflective safety vest. To prevent roadside workers from suffering traffic accidents, we propose the enactment of a law that makes it mandatory for them to wear high-visibility safety clothing. Specifically, Article 32 of the Enforcement Regulation of the Road Traffic Act should include high-visibility safety clothing in life protection equipment, and additionally, to prevent secondary accidents, we propose the enactment of a law requiring the installation and wearing of certified reflective safety vests in vehicles.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의복관리와 재활용' 관련 내용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연관성 및 탐구적 성향 분석 (Analysis of ESD-Related Content in Clothing Management Unit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of 2015 Revised Curriculum)

  • 장다원;이윤정;이선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9-105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의 '의복관리와 재활용' 단원을 ESD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의복관리와 재활용' 단원과 ESD와의 연관성을 찾고자 하였으며, 지속가능한 의생활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고 실천적 행동을 이끌어내는데 중요한 요소인 교과서의 탐구성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유네스코 통영 지역전문센터(Regional Centers of Expertise on ESD, RCE) 출판물의 ESD 핵심내용을 준거로 '의복관리와 재활용' 단원의 학습내용을 사회·정치·문화적 관점, 환경적 관점, 경제적 관점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Romey의 탐구적 교과서 분석방법을 변형하여 '의복관리와 재활용' 단원의 본문문장, 그림 및 도표, 학습활동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정치·문화적 관점에서는 안전과 건강 및 식품, 환경적 관점에서는 자연자원과 에너지, 환경문제, 경제적 관점에서는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에 대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의복관리와 재활용' 단원의 ESD 내용은 환경적 관점에 치우쳐져 있어 세 관점이 균형을 이루는 교과서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또한 모든 교과서가 사실이나 정의적인 내용이 많아 탐구능력의 개발 기회를 얻기 어려운 성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관리와 재활용' 단원의 탐구성향 분석값과 ESD 관련 내용을 비교한 결과, 학습자의 수업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글의 결론 부분에 ESD 관련 내용을 반영하고, 학습활동의 내용으로 ESD 관련 주제를 다루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작업부하에대한 심리/환경적 영향 평가기법 개발: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 박창순;조영진;김정룡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0-4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현장 작업자 개인이 느끼는 심리/환경적 부하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척도는 현장의 중간관리자들이 간단한 기구와 직접 관찰을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심리적 작업부하 측정은 기존 연구와 현장 작업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타당도가 높다고 인정되는 심리부하 측정 요소를 결정하였고, 문헌과 모의 검사를 통하여 부 담감이나 편의(bias)를 줄일 수 있도록 문항수 및 어휘를 선택하였으며, 각각의 설문은 다양한 문체 중 가장 신뢰도가 높은 형태를 선정하였다. 환경적 작업부하 측정은 문헌 조사를 통하여 측정을 위한 요소를 결덩하였고, KS 규격을 기존으로 새로운 환경부하 측정 지침서를 개발하였고, 현장 예비조사가 실시되었다. 또한, 환경부하 측정결과를 지수화하기 위한 수리적 모델과, 심리적척도와의 통합을 위 한 수리적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설문 문항과 환경조사방법은 작업장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실 제로 그 효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이제까지 소홀히 여겨왔던 작업자의 심리적/환경적 부 하를 정량적으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고, 정량화한 심리/환경 부하 척도는 이제 까지 주로 조사되었던 생체역학적/생리적 부담도와 더불어 종합적인 작업부하 평가에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척도에 의한 결과는 현장 근로자들의 근로여건 개선을 위하여 노/사/ 정부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방차원의 안전관리에도 응용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한다.구로 신체의 종합적인 만족도, 선호를 취급하고 있을 뿐 신체각 부위의 만족 도나 선호에 관한 자세한 고찰을 하고 있지 않으며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체형과의 비교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신체 각 부위에 대한 인식도 및 실제 신체 측정치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적입지로 분석되었다.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 PDF

야간 작업자를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 안전의복 개발 (Development of energy-harvesting based safety apparel for night workers)

  • 윤정아;오유진;오화원;이연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4호
    • /
    • pp.503-51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design of safety suits based on energy-harvesting technology, particularly targeting street cleaners who must work at night with high mobility. The design focuses on applying lightweight energy-harvesting tools and illuminant into the wear. The design development reflects feedback from testers collected via survey constituting a key methodology. The development process has two main stages. Each stage uses a process of design prototyping, internal examination, test sampling, test wearing, and wearers' feedback via survey that consists of questions on visibility, wearing convenience, and washability. The first stage results show the design of safety suits with energy-harvested LED illuminant inserted and the survey results collected from street cleaners dressed in 4 sample and 80 actual suits in total. Improved based on the first-stage survey results, the second stage designs the suits with detachable energy-harvested EL tape. From these 5 sample and 30 actual second-stage suits, the additional survey indicates that this second-stage design facilitates more visibility and convenience in washing and wearing than the first-stage design. Accordingly, one can expect that this new design can apply not only to safety suits for night workers but also to handicapped or outdoor sportswear application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