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구조

Search Result 6,99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mparison Analysis on Status of Domestic & Overseas Vessel Fire Accident and Relevant Standards for the Fire Retardant Structure (국내외 화재발생현황 및 관련 방화구조 기준 비교 분석)

  • Um, Han-Cha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8
    • /
    • pp.12-21
    • /
    • 2015
  • 유리강화섬유(FRP,Fiber Reinforced Plastic)은 가볍고 내구성등이 우수하여 가공하기 쉬워 선박건조, 특히 어선의 건조재료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FRP의 재료인 매트와 로빙이 인화성을 가진 수지와 접합되어 화재에는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가지는 특성을 가진다. 최근 10년간의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의 어선화재 재결서 분석결과 전체의 약80%에 해당하는 화재사고가 기관실에서 발생하였다. 이에 새로 출범한 해양수산부는 FRP선박의 구조기준을 개정하여 총톤수10톤 이상 선박의 기관실에 대한 방화조치를 그 이하선박까지로 적용 확대하였으며, 어선구조기준 역시 행정규칙 행정예고를 통해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본 지에서는 국내외 화재사고 발생현황 및 관련 규제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일반선박의 방화조치에 대한 규제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어선관련 규제의 경우, 영국의 규제가 가장 강화되어 있었으며 관련 화재사고 발생현황도 국내 및 일본과 비교해 보았을때 같은 기간 발생한 일반선의 화재발생척수 대비 어선의 화재발생척수가 적은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Password-based Group Key Agreement Protocol for Mobile Ad-Hoc Networks (이동 애드혹 망을 위한 패스워드 기반의 그룹키 동의 프로토콜)

  • 최연이;조인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310-312
    • /
    • 2004
  • 이동 애드혹 망은 기반구조가 없는, 즉, 고정된 라우터나 백본망 같은 기반구조가 없는 무선 이동 노드들로 구성된 망이다. 현재 이동 애드혹 망은 기반구조가 없어 보안이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구조 기반의 이동 애드혹 환경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그룹의 세션키를 공유하는 패스워드 기반의 그룹키 동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그룹키 동의 프로토콜은 일련의 그룹을 형성하는 다수의 통신 참여자들이 공개된 통신망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그룹의 세션키를 설정한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모두 상당한 양의 통신부하를 유발한다. 따라서 제안 프로토콜은 이동 애드혹 망에 적합한 대칭키 기반으로, 최적의 전송 메시지 복잡도와 2번의 통신 라운드를 요구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그룹 구성원의 변경이 가능한 동적 특성과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한다.

  • PDF

Column Shortening Analysis and Field Measurement of Haeundae I'Park (초고층 건축물의 기둥축소량 해석 및 현장계측 - 해운대 아이파크)

  • Chung, Kwang-Ryang;Lee, Dae-Yong;Song, Ho-Beom;Park, Kwa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1.05b
    • /
    • pp.67-70
    • /
    • 2011
  • The effect of column shortening is a major consideration in design and construction of tall buildings, especially in concrete and composite structural systems. To avoid unexpected demage in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elements, differential shortening between vertical members resulting from differing stress levels, loading histories, volume-to-surface ratios and other factors in a high-rise building must be properly considered in the design process. This paper represents analyzed and measured shortening results of RC cores and columns at the 72 story Haeundae I'Park. It shows that WACS program based on ACI and PCA material model is effective for the prediction of column shortening.

  • PDF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Mobile Broadband Market in Public Safety (모바일 광대역 공공안전 통신시장 현황 및 전망)

  • Lee, M.H.;Kim, H.S.;Song, Y.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2
    • /
    • pp.60-68
    • /
    • 2014
  • 전 세계의 인구와 도시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매년 각종 범죄를 비롯한 사건사고와 가상이변, 홍수,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의 안전과 재난상황에서 구조를 위한 새로운 통신의 필요성이 급증하게 되었다. 모바일 광대역 공공안전(Public Safety) 통신은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사고와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응급현장에서의 지시나 관리의 책임을 지는 기관에서 사용하는 전파통신을 의미한다. 이를 활용하면 더욱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공공의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에 대한 대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관련 시장 역시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모바일 광대역 공공안전 통신시장의 규모와 흐름을 살펴보고 공공안전과 재난구조 활동의 발전을 위한 무선통신망 구축의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안전현장스케치 - 화학사고 대응의 최전선 '구미119 화학구조센터'

  • Yeon, Seul-Gi;Chae, Jeong-Min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98
    • /
    • pp.26-28
    • /
    • 2014
  • 2년 전인 지난 2012년 9월 27일 경북 구미4공단에 소재한 휴브글로벌에서 불화수소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근로자 5명이 사망하고 23명이 부상을 당했다. 사고 후 불화수소가 공기를 통해 대량 퍼지면서 인근 지역도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사고는 안전관리측면에서 많은 허점을 드러냈다. 사업장은 물론 관할 소방서, 구미시 모두에서 화학사고에 대한 대응 매뉴얼과 협조체계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아 피해의 확산을 막지 못했다. 너무나 허술한 화학사고 대응체계의 현실에 구미시민은 물론 전 국민이 분노했다. 이에 정부는 화학물질관리 및 사고대응 시스템 전면에 대한 대대적인 개선에 돌입했다. 그리고 그 결과물이 지난해 12월 초 모습을 드러냈다. 관계부처, 지자체, 소방당국, 안전보건공단까지 한데 모여 효과적인 화학사고 예방과 대응을 전담하는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구미에 문을 연 것이다. 그로부터 반년이 흐른 지금 구미에는 어떤 변화가 생겼을까. 달라진 화학재난 안전관리체계를 확인해보고자 구미119화학구조센터를 찾아가봤다.

  • PDF

Effect Analysis of Duration and Costs According to Construction Method Selected by Design for Safety - Focused on Structural Frame for Exterior Wall Cladding - (설계 안전성 검토에 의해 선정된 공법의 공기와 공사비 영향 분석 - 외벽 바탕 구조물 공법 사례를 중심으로 -)

  • Kim, Min-Kyu;Kim, Jin-Dong;Lee, Young-Do;Kim, Gwang-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0 no.3
    • /
    • pp.297-304
    • /
    • 2020
  • Design for Safety(DfS) at the design stage is introduced and executed in order to fundamentally reduce the occurrence of construction safety accidents in Korea.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struction method selected by Design for Safety can reduce safety accidents, but the effects on construction duration and costs were examin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aspects.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ructural frame for the exterior wall cladding of the building, which have the factors for the fall accident, was selected for construction safety and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construction duration and costs. As a result,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not only in terms of safety, but also in terms of construction duration and cos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struction method selected by the Design for Safety at the design stag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ntire construction project.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al Welfare Facility Type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에 따른 안전관리의 차이에 관한 연구)

  • Shin, Hyo-Jin;Kong, Ha-S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8 no.5
    • /
    • pp.89-97
    • /
    • 2014
  • At a time of growing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in the social welfare facility by the increas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is study analysed safety perceptions about facility management, facility conditions, and facility structure and arrangement. This study sample consisted of 204 service providers and service users in 12 social welfare facilities.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find the group differences among facility typ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safety perceptions of the service provid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ervice users in terms of facility management, and facility structure and arrangement. Secondly, in terms of facility types, the respondents in the family service center had lower safety perceptions than the respondents in other service in all three areas. Thirdly, facilities that are of 10 years or older had higher safety perceptions than the respondents of facilities that are 6 to 10 years old in the area of facility management, and facility structure and arrangement. Fourthly, in regard to building heights, the respondents in 3 to 4 story facilities had statistically higher safety perceptions than respondents in 1 story facilities. Finall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floor area and safety perceptions, safety perceptions of the respondents of less than 400m2 facilities or 600m2 and more facil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400m2 less than 600m2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