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관리시설물

Search Result 55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System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Effects Factors (기후변화에 따른 기후영향인자를 고려한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park, Jiyeon;Jung, ilwon;Kim, Mina;Kwon,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0-460
    • /
    • 2018
  • 댐 수문학적 안전성평가는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벌(이하 시특법)"에 따른 댐시설물의 정밀안전진단의 안전성평가 중 가장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댐 시설물을 평가 수행 시 주요한 평가 항목이다. 기존의 수문학적 안전성평가는 가능최대강수량 발생 시 댐의 월류 및 여유고 확보여부에 대한 평가 여부만 판단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하는 장기적 관점의 추가 평가항목을 도출하고자 한다. 현재 가능최대강수량으로 event적 평가를 수행하는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에서 기존평가항목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장기적 관점의 추가적인 기후영향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함께 적용할 수 있는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자한다. 장기적 관점의 기후영향인자라 함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결과에서 30년동안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상 댐의 운영에 부담을 야기할 것으로 판단되는 인자를 말하는 것이며, 이때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일자료를 활용하여 기후인자의 장기적 변동성을 추정하고자 하며, 이때 활용한 지표로는 월최대강수량, 연강우강도 및 댐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최소기온을 사용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월최대 강수량값을 산출하였고, 1년 동안 발생한 강우의 일수 및 강수량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연강우강도값을 산출하였다. 또한 댐의 월류 및 여유고 확보여부 평가 시 댐 상태에 대하여 고려하기 때문에 댐의 외부상태에 영향을 주는 최소기온을 활용하여 댐별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때 2011~2040년(S1), 2041년~2070년(S2), 2071년~2100년(S3)기간으로 나누어 장기간 기후에 대한 영향 평가를 수행하여 1종 댐 시설물의 기후영향인자 값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기후영향인자를 기존 수문학적 안전성평가 항목과 함께 평가 될 수 있도록 AHP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각 인자에 대한 가중치를 재산출하였고, 기후영향인자를 고려하는 수문학적 안전성평가 체계를 구축하였다.

  • PDF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on the Level of Service for Proactive Maintenance in Educational Facilities (교육 시설물의 선제적 노후화 관리를 위한 유지관리 서비스 수준의 인지요인 도출)

  • Shin, SeungWoo;Yi, JuneSeong;Son, JeongWo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6 no.3
    • /
    • pp.24-35
    • /
    • 2015
  • Aging educational facility shall be managed and maintained through integrated service perspectives,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of each facility to provide saf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rather than temporarily fixing/repairing problems. For doing this, it is a must to firstly understand the limitation of highly biased performance-based maintenance practice, which is a most common type applied at present, and therefore to establish maintenance system that reflects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maintenance service that a facility was designed with.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items that have an influence on service level recognition in order to fairly evaluate service function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subsequently to use these factors as ingredients of establishing a consistent and efficient maintenanc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explanatory variables to measure influential factors for each major maintenance category. Then appropriate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on questionnaires that collected from a number of industry experts to test its fe asibility.

Development of E-PAD based condition evaluation system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시설물 안전점검을 위한 E-PAD 기반 상태평가 시스템 개발)

  • Jung, Hae-Yong;Lee, Heung-Su;Yi, Jong-Hwa;Kim, Young-Seok;Park, Ch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3 no.4
    • /
    • pp.1-7
    • /
    • 2019
  • As a unify operational processes of the safety inspection for major national facil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efficiency and professionalism of the project will be enhanced. Also it is being emphasized that the importance of visual inspection that initially find physical and functional defects in faciliti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E-PAD-based condition evaluation system to check the safety of the facility to overcom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inspection method. This system consists of introduction, work list, visual inspection, defect table and so on. It is possible to download the inspection drawings at the site and input the damage information to the drawings and check the evaluation grade. In order to verify the E-PAD based condition evaluation system, the inspection data of 10 sample bridges were inputted into the system and the evaluation results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afety grade calculated from the system and the existing safety grade are the same. The feasibility analysis of the AHP method also showed that the function increased by 10%, cost by 36%, and value by 30%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Theref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ystematic data and information analysis system for improvement of facility management.

RC 건물의 구조균열 발생원인 분석

  • 남윤오;이영섭;손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91-196
    • /
    • 2001
  • 국내 경제성장이 증대함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은 다양화, 복잡화, 고층화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업의 무리한 추진으로 부실시공 등으로 국내에서는 1970년 4월 서울마포의 와우아파트 붕괴사고, 1995년 6월 삼풍붕괴 사고 등 크고 작은 사건 및 사고로 인한 막대한 재산과 고귀한 생명의 손실 등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 건축물의 유지관리 및 안전진단 등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렇게 크고 작은 사고들이 많이 발생함에 따라 기술인 들이 피땀 흘려 건설된 공공시설을 불신하게 되면서 건설공사중인 현장과 사용중인 시설물에 대해서 법으로 규제사항을 강화하거나 새로운 내용이 신설되고 있는 실정이며 전국 중요 시설물에 대한 유지 관리 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중략)

  • PDF

Development of Disaster Response Inventory Construction Technology Using Open Data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대응 인벤토리 구축 기술 개발)

  • Choi, Soo Young;Kim, Jin Man;CHoung, Yun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93-39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 대응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재난 재해 정보와 시설물 정보, 공간정보 등이 융합된 통합 인벤토리를 구축하고자 한다.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하여 시설물의 중요도, 위험도, 피해액 산정에 필요한 원천 데이터를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공공데이터포털의 데이터셋은 파일데이터와 오픈 API, 표준데이터와 국가중점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파일데이터는 22,306건, 오픈 API는 2,505건, 표준데이터는 58건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민, 기업 등 수요 중심으로 개방의 효과성과 시급성 등이 높은 41개 분야의 국가중점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발된 국내외 다양한 사례와 가공데이터를 공공데이터 활용사례를 통하여 공유하고 있다. 인벤토리 구축을 위하여 국가중점데이터와 데이터카테고리의 국토관리, 재난안전, 산업고용, 공공행정 등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검토하여, SOC 시설물과 건축물의 정보를 수집하여 시설물의 중요도와 위험도, 피해액 평가 등 필요 목적에 맞게 최적화 하여 구축하였다. 또한 구축된 다양한 정보와 시설물 평가 모듈간의 원활한 데이터 수급을 위한 연계 모듈과 관리 모듈을 개발하여 구축된 데이터 정보를 표준화하여 유지 관리 할 수 있도록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재난대응 의사결정 지원 통합 인벤토리는 재난대응 의사결정을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방재업무 지원 및 대국민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f the Serious Civil Accidents Management Framework (중대시민재해 관리 체계 연구)

  • Lee, ChangeYeol;Chae, Jonggil;Park, GIl Joo;Lim, S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63-64
    • /
    • 2023
  • 중대시민재해의 대상은 공중이용시설, 공중교통수단, 그리고 원료·제조물로 구성되고, 재해를 관리하기 위한 안전보건체계와 이에 대한 이행체계로 구성된다. 중대시민재해의 주요 대상 기관은 지자체와 공공기관, 그리고 다중밀집시설 사업장을 가진 업체가 주요 대상이 된다. 특히 지자체의 경우에 광범위한 시설물을 관리하기 때문에 그 관리체계의 복잡함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관점의 체계를 본 연구에서 초점을 두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