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전간호관리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3초

상급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ertiary Hospitals)

  • 공현희;손연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53-462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adopted. The sample included 307 nurses working in three tertiary university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during November and December, 2012, with a response rate of 93%. A 40-item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cale was used to measure patient safety activiti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lso measured with established instruments and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Data were analyzed with PASW 18.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3.98 out of 5.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a}$=.20, p<.001) and job satisfaction (${\beta}$=.18, p=.013) respectively predicte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Especially, the addi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creased the associated explained variance ($R^2$ change=.11, p<.001). Conclusion: It is important for managers to create an organizational climate that promote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Future studies are encouraged to replicate the findings and also to better underst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personal emotional stability.

오류보고 촉진전략이 간호사의 오류보고에 대한 태도, 환자안전문화, 오류보고의도 및 보고율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Error Reporting Promoting Strategy on Nurse's Attitude, Patient Safety Culture, Intention to Report and Reporting Rate)

  • 김명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2-181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trategies to promote reporting of errors on nurses' attitude to reporting errors, organizational culture related to patient safety, intention to report and reporting rate in hospital nurse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n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2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hi^2$-test, t-test, and ANCOVA with the SPSS 12.0 program.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nurses' attitude to reporting errors (experimental: 20.73 vs control: 20.52, F=5.483, p=.021) and reporting rate (experimental: 3.40 vs control: 1.33, F=1998.083,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categories for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tention to report.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strategies that promote reporting of err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ducing positive attitudes to reporting errors and improving behavior of reporting. Further advanced strategies for reporting errors that can lead to improved patient safety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a broad range of hospitals.

간호사가 인지한 투약오류관리풍토와 오류보고의도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 (Role of Transformational-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Error Reporting Intention of Nurse)

  • 김명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33-643
    • /
    • 2013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transformational-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error reporting intention.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18 nurses from 11 hospitals in Korea. The scales of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limate, transformational-leadership and error reporting intention of nurses were used in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artial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High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group members had higher error management climate (t=3.88~4.64, p<.001) and higher intention to error reporting (t=2.49, p=.014).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ubcategories of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37~.51, p<.001). But error reporting intention was related to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28 p=.002), two subcategories such as 'learn from error' (r=.26, p=.004) and 'medication error competence' (r=.25, p=.008) of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limate. Transformational-leadership was a moderator and a mediator between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error reporting inten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ransformational-leadership promotion training program to construct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to improve error reporting intention should be needed.

산업안전보건 규제완화에 대한 보건관리자의 인지도 및 보건관리자의 평가 (Awareness and Opinion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r on the Deregul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 박수만;정혜선;이복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3-9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awareness and opinion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rs on the deregul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constructed questionnaires from December 1 to December 20, 2000.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7 respon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highest awareness score was voluntary employment for occupational health doctor. High awareness score was exemption from obligatory education for occupational health manager, and expansion cover range of group occupational health agencies. 2. Most of the occupational health managers had a negative opinion on the deregul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 particular, one of the most negative opinions was no restrictions on occupational health managers holding other jobs. 3.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opinion on the deregul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was negative, showing that the negative opinion on the deregul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ended to increases as awareness increases.

  • PDF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 이인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공공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Safe Nursing Activities of Public Hospital Nurses)

  • 이옥길;정수용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3-292
    • /
    • 2021
  • Purpose: In this descriptive study, we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afe nursing activities of nurses working at public hospitals. Methods: We collected data in March 2021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subjects were 199 nurses who had worked for at least six months at public hospitals.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pertaining to safe nursing activiti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safe nursing activities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by general characteristics, we employed a t-test and ANOVA. We conducte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safe nursing activities. Results: The mean score for safe nursing activity was 4.59±0.39.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age group were found to be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safe nursing activities of nurses working at public hospitals (F=17.24, p<.001, Adj. R2=.40). When the score for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creased by 1 point, the score for safe nursing activities increased by 0.58 points. In addition, the score for safe nursing activity in the 40s age group was 0.16 points higher than for those in the 20s age group. Conclusion: Effective management and leadership in public hospitals is needed to improve the culture of patient safety at various levels so as to ensure safe nursing activities.

중환자실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지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경로 분석 ; 계획된 행위이론과 환자안전문화를 중심으로 (Path Analysis of Performance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Management Guidelines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 With Focus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Patient Safety Culture)

  • 구지은;하이경;황수호;공경희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9-100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 adherence to guidelines for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to control infections due to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MDRO). Method : Participants were 194 ICU nurses at 3 university hospitals. Questions for the survey inquired about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to carry out MDRO management guidelines, perceived behavior control (PBC), and intentio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Path analysis were utilized. Results : The path analysis presented that PBC,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intent had a direct effect on MDRO management guidelines. Attitude towards following the manual did not have any correlation. The hypothetical model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as revealed as applicable; the degree of the variance in explaining adherence to the manual was 23 %, and the variance in explaining intention to fulfill the manual was 33 %.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 should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PBC to increase adherence to MDRO management guidelines. ICU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should also be surveyed.

간호대학생을 위한 가상현실(VR) 360도 정맥수액주입 교육용 콘텐츠의 적용 (Adaptation of VR 360-degree Intravenous Infusion Educational Content for Nursing Students)

  • 박정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165-17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정맥수액주입 교육을 위해 VR 360도 영상콘텐츠를 졸업학년의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후 감정이입과 몰입을 파악함으로서 향후 VR 360도 교육용 콘텐츠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VR 360도 정맥수액주입 교육용 콘텐츠는 기획, 제작, 수정 및 완료의 4단계 과정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기간은 2019년 11월 9일에서부터 11월 22일까지였다.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의 4학년 간호대학생으로 총 64명이었다. 간호대학생은 연구자의 안전관리 하에 HMD(head mounted display)를 이횽한 VR 360도 정맥주입 교육용 콘텐츠를 감상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감정이입은 7점 만점 기준에 5.32±0.88점이었고, 몰입은 6.02±0.84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VR 360도 정맥수액주입 교육용 콘텐츠는 교과 및 비교과에서 교육매체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연구에서 교수학습방법을 구체적으로 개발하고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보건계열 학생의 환자안전 지식 및 수행 자신감 : 융복합적 접근 (The Knowledge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on Patient Safety among Health-Related Majors : Convergent Approach)

  • 이미향;박정희;배석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219-227
    • /
    • 2019
  • 본 연구는 보건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 지식과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보건계열학생 349명이 참여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환자안전지식 정답률은 평균 65.7%였다.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은 평균 $7.11{\pm}1.74$점이었으며 문항별로 살펴보면 환자확인이 높았으며 효과적 의사소통이 낮게 나타났다. 환자안전지식과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의 하부영역인 환자확인, 의사소통, 수술시술, 낙상, 환자안전사고보고는 양의 상관관계였고, 환자안전지식과 감염관리, 시설환경은 음의 상관관계였다. 보건계열학생들에게 임상실습 전 환자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높이고 안전한 임상실습이 수행될 수 있도록 환자안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유아 안전관리 부모교육의 효과 (Effect of Safety Education for Mothers with Infants)

  • 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221-228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promoting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actice for mothers with infants. Method: This education was provided at two public health centers in Kyunggi Province.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was used, and the participants were 95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4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After the group education sessions on safety management at the public health centers, the mean scores for knowledge and practice of safe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mothers. Also, after the safety education,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ceived a higher priority in safety in child care than they had before the education program. Conclusion: The education for mothers with infants regarding the child safety was effective in promoting knowledge and practice of safety for inf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