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모비대칭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3초

파노라마 및 정모방사선사진을 이용한 저작형태에 따른 안면비대칭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cial Asymmetry and Masticatory Pattern Using Panorama and PA Cephalograph.)

  • 이유미;김재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2호
    • /
    • pp.167-176
    • /
    • 2006
  • 최근에 안모에 관심이 증가하면서 안모비대칭에의 불편을 호소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안모 비대칭 평가에는 고가의 3차원적인 영상이 많이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치과영역에서 쉽게 접할 수 있으며 비교적 저렴한 파노라마방사선 사진과 정모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였다. 안모 비대칭에 대한 골격적인 평가를 하고자 본 연구에 지원한 대상자 중에 특이할만한 전신 질환자나 특이한 교합을 지닌 대상을 제외한 35명을 택하여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정모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저작 형태와 안모 비대칭을 인지하는 정도를 설문지 형식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상의 좌우측 비교에서 하악의 수직적 측정 항목인 Co-Go(p<0.05), Co-Ag(p<0.05)에서 하악각 측정 항목에서는 Co-Go-Ag(p<0.05), Go-Me-Ag(p<0.01)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파노라마방사선 사진에서 저작측에 따른 평가에서는 하악의 수직적 길이측정치에서 우측 저작자는 Co-Ag(p<0.01) 좌측 저작측에서는 Co-Go(p<0.05)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3. 정모 방사선사진 상의 좌우측 안모비대칭 비교에서는 Cg-Go(p<0.01), 우측 저작자에서는 Co-Ag(p<0.01) 좌측 저작자에서는 Cg-Go(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안모비대칭이 있다고 인지하는 군에서 하악의 수직적 측정 항목인 Co-Go(p<0.05)에서 유의성을, 하악각의 측정항목인 Co-Si-Cr(p<0.05), Go-Me-Ag(p<0.05)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안모가 좌측이 더 길다고 인지하는 군에서는 Go-Ag(p<0.05)의 수평적 계측 항목이 우측이 더 길었으며, 우측안모가 길다고 인지하는 군에서는 Co-Go(p<0.05)와 Co-Ag(p<0.01)의 하악의 수직적 측정치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비대칭 안모의 외과적 치험례 (CASES OF THE SURGICAL CORRECTION OF FACIAL ASYMMERY)

  • 허홍열;민승기;조상기;정인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2호
    • /
    • pp.191-198
    • /
    • 1991
  • 안모비대칭은 심미적 정서적으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안모비대칭은 안면골 중에서 특히 하악골과 관련된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하악골이 안면하부의 연조직을 지지하므로 작은 위치, 형태 변화에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비대칭안모를 초래하는 하악과두의 거대증은 Hyperplasia, Hypertrophy, 골증, 외골증, 골연골증, 연골육종 등을 들 수 있다. 비대칭안모 분류는 여러 학자에 의해 다양하게 분류되지만 Bruce와 Hayward는 Deviation prognathism, Unilateral macroganthia, Unilateral condylar hyperpiasia로 분류한 바 있다. 과증식된 하악과두의 절제술은 1856년 Humphry에 의해 최초로 시행된 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Unilateral condylar hyperlpasia와 골연골종으로 인한 안모비대칭 환자로써 Condylectomy, Le Fort I osteotomy, Vertical ramus osteotomy, Mandibular inferior border ostectomy, Genioplasty 등을 시행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견인골 신장술을 이용한 안모 비대칭 환자 치험례 (Distraction osteogenesis in facial asymmetry patient)

  • 태기출;강경화;이수행;유석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1-398
    • /
    • 2003
  • 견인골 신장술은 막내골화를 유도하는 조직공학으로, 두개안면기형 영역에서 치료는 지난 10년간 지속되었다. 본 연구는 하악지를 절단한 후 구강내 견인장치를 사용하여 안모 비대칭을 치료한 증례이다. 안모 비대칭 환자를 치료하는데 섬세하게 견인골 신장술을 이용하면 성장기와 성장이 끝난 환자에게서 효율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안면비대칭 환자의 전악임플란트 수복 (Full Mouth Implant Rehabilitation in Facial Asymmetric Patient)

  • 김진환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6-35
    • /
    • 2022
  • 전악 임플란트 수복시 기능적인 부분 뿐 아니라, 심미적인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들이 많다. 무치악 혹은 부분 무치악 상태에서 전악 수복이 이루어지게 되면, 하안모의 큰 변화를 불러 일으킨다. 하안모의 변화뿐 아니라 안모 전체의 변화로 인하여 인상이 많이 달라 지게 된다. 이러한 안모의 변화들은 교합 고경의 회복과 치아들의 3차원적 위치, 전후방과 좌, 우 위치에 의해 안모들 싸고 있는 근육들의 변화로 인하여 일어 나는 것이다. 악골의 비대칭과 함께 안모 비대칭이 있는 환자에 있어서, 전악 임플란트 수복을 통하여, 안모 비대칭을 개선한 치료 증례를 살표 보도록 하겠다. 하악 과두의 흡수로 인하여 짧아지고 과 긴장된 근육들을 임시치아 과정에서 교합을 높여 가면서, 근육을 훈련시켜서, 좌, 우균형을 맞추어 준 증례가 되겠다. 골격적 부조화를 좌,우 근육의 균형을 통화여 보상하여, 하안모 뿐 아니라, 안모전체, 두경부 쪽의 균형을 이루는 것을 살펴 보도록 하겠다.

안모비대칭(I)

  • 김재승;장현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1권9호통권292호
    • /
    • pp.634-638
    • /
    • 1993
  • PDF

안면 비대칭 환자의 수직 안모 유형과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계측치 및 표면 근전도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facial biotype, submentovertex cephalometric measurements and surface EMG activity in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 김성수;이남기;차봉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8-227
    • /
    • 2006
  • 안면 비대칭 환자의 진단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과 표면 근전도 검사 자료는 통용화된 진단분석법 부재 등의 이유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여타 진단분석법과 비교할 때, 수직 안모 유형의 평가 등 차별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면 비대칭을 보이는 60명을 대상으로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및 저작근의 표면 근전도를 측정하여 수직 안모 유형과의 연관성 및 안면 비대칭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함이다.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계측치 중 radiographic corpus length는 비편위측이 큰 값을 보였고 (p<0.001), 유의성은 없었으나 gonion to interspinosum axis는 편위측이 크고, gonion과 하악과두의 위치는 비편위측이 편위측에 비해 전방에 위치하였다 (p=0.07). 안정시 편위측 전측 두근의 근활성은 비편위측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또한 최대 폐구 시 교근의 활성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비편위측에 비해 편위측이 큰 값을 보였다 (p<0.09). Facial index와 intercondylar axes angle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1). 최대 폐구 시 편위측 및 비편위측의 교근의 활성은 facial index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골격성 안면 비대칭을 보이는 환자에서 이하두정 두부방사선 규격사진과 표면 근전도 검사를 통해 비대칭 양상의 평가와 더불어 수직 안모 유형의 평가 또한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