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면 온도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The Validation Study of Shaping Comfortable Environments Based on the PMV Index Using Facial Skin Temperature (안면 피부온도를 활용한 PMV 지표 기반 쾌적환경 조성의 타당성 연구)

  • Kim, Boseong;Min, Yoon-Ki;Shin, Esther;Kim, Jin-H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3
    • /
    • pp.311-318
    • /
    • 2013
  • This research examined the validity of whether the PMV index-based comfort- or uncomfort-indoor environments could be classified by the facial skin temperature, one of the physiological indicator for human. To do this, we distinguished between a comfort thermal environment and an uncomfort thermal environment using the PMV value, and then facial skin temperatures were measured in both environments. As a result, the facial skin temperature of occupants were different between the comfort- and uncomfort-indoor environments. It suggested that the facial skin temperature could be used in shaping th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ased on the PMV index. While this result suggested the PMV index-based on comfort and uncomfort indoor environments could not be valid, because the facial skin temperature was lower in the uncomfort thermal environment than in the comfort thermal environment.

  • PDF

Variation of facial temperature to 3D visual fatigue evoked (3D 시각피로 유발에 따른 안면 온도 변화)

  • Hwang, Sung Teac;Park, SangIn;Won, Myoung Ju;Whang, MinCheol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6 no.4
    • /
    • pp.509-516
    • /
    • 2013
  • As the visual fatigue induced by 3D visual stimulation has raised some safety concerns in the industry, this study aims to quantify the visual fatigue through the means of measuring the facial temperature changes. Facial temperature was measured for one minute before and after watching a visual stimulus. Whether the visual fatigue has occurred was measured through subjective evaluations and high cognitive tasks. The difference in the changes that occurred after watching a 2D stimulus and a 3D stimulus was computed in order to associate the facial temperature changes and the visual fatigue induced by watching 3D conten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evaluations and in the high cognitive tasks. Also, the ERP latency increased after watching 3D stimul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ximum value of the temperature at the forehead and at the tip of the nose. A previous study showed that 3D visual fatigue activates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ation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is known to increase the heart rate as well as the blood flow into the face through the carotid arteries system. When watching 2D or 3D stimuli,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ation dictates the blood flow, which then influences the facial tempera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one of the first investigations that looks into the possibility to measure 3D visual fatigue with thermal images.

Study on the Skin Temperatures of the Orofacial Trigger Points for the Patients with TMJ disorders (턱관절장애환자의 안면 발통점의 피부온도에 대한 연구)

  • Jung, Deuk-Jin;Kim, Ki-Su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4
    • /
    • pp.345-353
    • /
    • 2001
  • Thermography는 신체 체표면에서 발생되는 온도를 정량화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표현이다. Electrothermography는 의학분야에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술식이다. 인체를 포함한 모든 물체는 적외선을 방출한다. 그래서, Wien의 법칙에 따르면, 방출되는 최대에너지에서의 주파수는 체온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피부 표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온도가 측정될 수 있다. 최근에는, electrothermography가 만성 구강안면동통 환자의 진단에 있어서 새로운 진단 기기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측두하악관절장애의 증상이 있는 교근, 측두근, 그리고 측두하악관절의 발통점의 피부 온도와 증상이 없는 대측의 피부 온도를 디지틀 적외선 체열 촬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측두하악관절장애를 주소로 하고 편측성의 구강안면동통을 호소하는 21명의 내원환자를 선택하였다. 디지틀적외선 체열촬영은 DTI-16-DOREX21(Dorex Inc., U.S.A) 기기를 사용하였다. 발통점 피부에 marker를 부착하고, 좌측과 우측의 color thermogram을 $0.1^{\circ}C$ 해상도로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측정한 발통점은 masseter inferior, masseter anterior, temporalis anterior 그리고 TMJ이었다. 증상이 있는 부위와 증상이 없는 대측의 피부온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paired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급성 근육장애 환자에 있어서는 증상이 있는 부위와 증상이 없는 대측과의 피부온도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75). 2. 만성 근육장애 환자에 있어서는 증상이 있는 부위와 증상이 없는 대측과의 피부온도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3. 측두하악관절 내장증 환자에 있어서는 증상이 있는 부위와 증상이 없는 대측과의 피부온도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적외선 체열촬영은 급성저작근장애의 진단에 있어서 유용한 진단방법의 한가지로 사료되며, 앞으로 임상적으로 더욱더 심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ifference of Facial Skin Temperature Responses between Fear and Joy (공포와 기쁨 정서 간 안면온도 반응의 차이)

  • Eum, Yeong-Ji;Eom, Jin-Sup;Sohn, Jin-H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5 no.1
    • /
    • pp.1-8
    • /
    • 2012
  • There have been many emotion researches to investigate physiological responses on specific emotions with physiological parameters such as heart rate, blood volume flow, and skin conductance. Very few researches, however, exists by detecting them with facial skin temperature.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observe the differences of facial skin temperature by using thermal camera, when participants stimulated by monitor scenes which could evoke fear or joy. There were totally 98 of participants;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in their adult age and middl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eir adolescence. We measured their facial temperature, before and after presenting emotional stimulus to see changes between both times. Temperature values were extracted in these regions; forehead, inner corners of the eyes, bridge of the nose, end of the nose, and cheeks. Temperature values in bridge and end of the nos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fear emotion stimulated. There was also significant temperature increase in the area of forehead and the inner corners of the eyes, while the temperature value in end of the nose decreased. It showed decrease in both stimulated fear and joy. These results might be described as follows: When arousal level going up, sympathetic nervous activity increases, and in turn it makes blood flow in peripheral vessels under the nose decrease. Facial temperature changes by fear or joy in this study were the same as the previous studies which measured temperature of finger tip, when participants experiencing emotions. Our results may help to develop emotion-measuring techniques and establish computer system bases which are to detect human emotions.

  • PDF

Reliability of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in the Orofacial Region (구강안면부에서 적외선 체열검사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

  • Han, Dong-Joon;Kim, Ki-Su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4
    • /
    • pp.355-367
    • /
    • 2001
  • 치의학 분야에서 디지탈 근적외선 체열측정 장치(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DITI)의 응용이 미미한 것은 과거 열측정장치의 기술력이 부족한 것이 주된 요인이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실시간 열영상을 재현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치의학 및 의학계에 많은 관심을 일으키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보면 두개하악장애시 구강영역의 온도변화의 임상적 효용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안면 및 두경부에 대한 실제 기기 및 측정방법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DITI에 대한 신뢰도를 조사하였다. DITI의 모니터 상에서 비활동성 발통점의 부위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모니터상에서 안면발통점(joint, temporalis anterior, masseter anterior, masseter inferior)의 부위를 찾아 온도를 찾아내는 방법과 미리 발통점 피부상에 링모양의 마크를 부착하여 모니터상에서 쉽게 찾아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신뢰도를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조사한 발통점 중에서 temporalis anterior, joint, masseter anterior과 masseter inferior의 순서로 피부온도가 유의하게 온도가 높았으나(p<0.05) masseter 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2. 4개의 발통점 모두에서 높은 열적 대칭성을 보였으며, 좌우 온도차이는 $0.1^{\circ}C$미만이었다. 3. 다른 시기에 조사한 조사자내 신뢰도는 두 조사자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않았으며 대조군과 마크를 사용한 군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4. 동일한 시기에 조사한 조사자간 신뢰도는 두 시기 모두 joint 부위의 일부를 제외하고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마크를 사용한 경우 사용하지 않은 경우 보다 훨씬 신뢰도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DITI는 두개하악장애환자에 대한 두경부 발통점의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데 있어 시간에 따른 신뢰도는 결여되었으나 동일 시기의 측정에는 매우 유익할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발통점에 대한 표시를 사용하는 경우 매우 정확한 온도를 조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absolute and relative thermal QST thresholds In the orofacial region of the young Korean women (젊은 한국 여성의 구강안면영역에서 절대적 온도역치와 상대적 온도역치간의 비교)

  • Kim, Ki-Su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8 no.4
    • /
    • pp.367-372
    • /
    • 2013
  • To diagnose sensory nerve damage, patient values for thermal stimuli as quantitative sensory test (QST) can be compared with the values of the general population (absolute reference data) or to values measured at contralateral unaffected side (relative reference data). It is well know that relative reference data are more sensitive for detecting sensory abnormality than absolute reference data. However it is still lack of the studies for comparisons between relative and absolute data.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relative reference data and compare the sensitivities of the two approaches in the orofacial region. In 19 young Korean women as normal subjects, quantitative somatosensory thermotest were done in the forehead, cheek, mentum, lower lip and tongue tip bilaterally. After we get the standard deviations (SD) of average reference data and relative reference data, the ratios SD absolute data/SD relative data were calculated. Our study showed that relative reference data for side to side comparisons in the same patient have the high ratios than the absolute reference data, i.e. the side to side comparisons with relative reference data exhibit gain in sensitivity in assessment of sensory abnormality.

유머와 슬픔을 유발하는 시청각동영상 자극에 의한 아동의 자율신경계(ANS) 및 안면근육반응(facialEMG)

  • Lee Yeong-Chang;Kim Myeong-Hwan;Jang Eun-Hye;Eom Jin-Seop;Jeong Sun-Cheol;Son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55-35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유머와 슬픔을 느낄 때 나타나는 자율신경계 및 안면근육반응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11-13세의 아동 47명(남: 23명, 여: 24명)에게 각 정서를 유발하는 동영상 자극을 2분 동안 제시하고, 이때의 심리반응과 생리반응(SKT, EDA, ECG, EMG)을 측정하였다. 각 정서는 적합하고 효과적으로 유발되었고, 자율신경계반응에서는 유머가 슬픔보다 피부 전도수준, 피부전도반응, 피부전도반응의 수, 심박률분산에서 유의하게 큰 반응을 보였다. 반면 피부온도는 유머에 비하여 슬픔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안면근육반응 결과, 유머가 Orbicularis oris muscle에서 슬픔보다 더 큰 근육활동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아동은 유머와 슬픔에서 서로 다른 자율신경계와 안면근육의 반응을 보였다.

  • PDF

국립구강악안면특수장애 수복진료원 설립을 위한 기초자료 연구

  • Kim Yeong-Su;Hong Sam-Pyo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0 no.9 s.400
    • /
    • pp.667-679
    • /
    • 2002
  • 일반 특수신체 정신장애자나 연소연로자의 병약 문제에 대해서는 일단 복지차원으로 국가가 배려하고 있으나 치과분야에서의 절대 무치악자, 선천성 기형 구강암 수술 후의 다량의 조직결손 등의 특수질환자에 대해서는 조명되지 않고 간과돼 온 것이 사실이다. 기술적인 면에서나 경제적인 면에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치과 특수장애자를 위한 특수진료원을 국가가 정책적으로 설립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을 객관화할 수 있는 근거를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고 있다. 치협의 학술국 연구사업으로서 국립구강악안면특수장애 수복진료원 설립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를 완료하여 지난 4월 보고한 내용을 게재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Platform of Face Recognition CCTV and Home IOT (안면인식 CCTV와 홈 IOT의 통합 플랫폼 구현)

  • Ahn, Eun-Mo;Kim, Dong-Hoi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2
    • /
    • pp.393-399
    • /
    • 2018
  • As the existing face recognition CCTV and home IOT have each individual hardware component, they have a disadvantage that the measured results of their sensors and the CCTV can not be viewed on one screen at a time.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disadvantages of existing CCTV and home IOT, this paper proposes an integrated platform which constitutes the CCTV and home IOT as one hardware component using Raspberry Pi and shows each result on one screen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 The proposed integrated platform CCTV and home IOT system is a system which can run the application as a Smartphone and check the sensor value measured by Raspberry Pi and the picture taken through the Pi camera. The implemented system measures temperature, humidity, gas, and dust, and implements face recognition technology on a screen shot through a Pi camera, allowing it to be seen at a glance with a Smartphone.

Reliabilityof Skin Temperature over the Trigger Points of Temporalis and Masseter Muscles in Normal Individuals (정상인의 측두근 및 교근내 발통점의 피부온도측정에 대한 신뢰도에 관한 연구)

  • 송태영;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2 no.1
    • /
    • pp.137-143
    • /
    • 1997
  • 두개하악장애는 가장 흔히 발병하는 질병중의 하나이다. 이때 저작계에 흔히 호소하는 주소가 근육의 통증이다. 통증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촉진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정량화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통증 측정기 등과 같이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근육이나 관절의 병적 소견은 해당조직의 혈액순환장애나 염증반응과 종종 관련이 있다. 이러한 상태는 신체의 표면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피부온도에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thermography로 측정할 수 있다. 피부온도의 측정은 질병의 활성 상태를 평가하는 데 유익하며, 또한 치료결과를 평가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객관적 피부온도 측정장치가 있다면 턱관절이나 저작근의 이상상태를 평가하는데 매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이면 양측성으로 특정 부위의 피부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를 사용하여 검사자내 및 검사자간 신뢰도를 측정하고 좌우 온도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질환 및 치료 겨오가에 대한 임상적 평가시 객관적 측정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는 지를 알고자 하는 데 있다. 구강내 염증이나 이상이 없으며 두개하악장애가 없는 치과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평균연령은 24.9세, 범위는 24-30세이었다. 사용한 기기는 미국산 YSI Precision 4000이다. 18-2$0^{\circ}C$의 일정한 실내온도에서 두 검사자가 각각의 검사를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별도로 정해진 부위에 검사를 시행하고, 약 1주일후 이전 검사에 대한 기억이 없어진 상태에서 두 검사자중 한 검사자가 다시 동일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측정치들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계산하고 이에 대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1. 검사자내 상관관계(r)는 좌 .798(p=<.0001), 우 .757(p=<.0001)이었다. 2. 두검사자간 상관관계(r)는 좌 .958(p=<.0001), 우 .951(p=<.0001)이었다. 3. 좌우 측정치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근육부위별 측정에서는 inferior masseter muscle의 검사자간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을 뿐 anterior masseter muscle, anterior temporalis 모두 검사자내 및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정상인에 있어 근육내 발통점의 피부온도는 검사자간에는 특정부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높은 재현성을 보여줌으로서 향후 교근 및 측두근의 임상연구 평가에 피부온도조사는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