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면부 통증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1초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와 전치부 개교합 발생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nd Development of Anterior Open Bite)

  • 허윤경;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3호
    • /
    • pp.293-303
    • /
    • 2007
  • 목적 :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와 연관되어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하는 원인과 교합장치 치료가 개교합 발생과 연관이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2년간 경북대학병원 구강내과에 턱관절 질환으로 내원한 환자 중에 임상적으로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파노라마, 측방 횡두개상 그리고 측방 두부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다. 환자는 3군으로 나누었으며 1군은 처음 병원에 내원할 때 개교합이 있거나 교합장치 치료를 제외한 치료도중에 갑자기 개교합이 유발된 군(22명), 2군은 교합장치 치료 도중에 개교합이 발생한 군과 이 기간동안 예전에 이미 교합장치 치료도중 개교합이 발생한 후 정기적 관찰 환자를 포함한 군(16명). 그리고 3군은 교합장치 치료 후에도 개교합이 발생하지 않은 군(20명)으로 구성되었다. 측방 두부방사선 계측으로 개교합 발생과 안면부 골격 형태의 연관성을 한국인 정상 교합자들의 평균치와 각 3군 간의 t-test 비교와 ANOVA를 이용해 3군 간의 골격 형태를 비교 조사하였다. 결과 : 1. 1군과 2군은 정상 교합자들의 평균치와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경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1, 2, 3군 모두에서 하악의 크기와 형태를 나타내는 변수들과 더 작은 ANB, 더 큰 FMA 값을 보였다. 2. 세군 간의 비교에서 1군과 2군은 3군에 비해 더 큰 하악하연각 (a larger FMA, a larger SN to mandibular plane angle), 짧은 하악지, 더 큰 하악각을 가졌으며, 1군과 2군 간은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어 비슷한 수직적 부조화가 큰 골격형태를 가졌으며, 3군은 1, 2군과는 달랐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1군과 2군은 수직적 부조화가 큰 안모 형태를 보여 저작근의 작용 방향과 저작근 부착 위치에 따른 하악의 후하방 회전의 결과로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수직적 부조화가 큰 경우일 때는 수직 고경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좀 더 주의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구속 스트레스가 백서 타액선 조직 내의 clusterin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peated Restraint Stress on Clusterin Change of the Rat Salivary Glands)

  • 이고운;강수경;전양현;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2호
    • /
    • pp.81-91
    • /
    • 2012
  • 타액이 대부분의 구강 내 질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대로, 여러 전신적 조건이 타액의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구강 건조증을 야기할 수 있는데, 특히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타액의 부족과 구강 건조증의 병인으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많은 연구에서 자율신경계 반응에 의한 스트레스의 타액선에의 거시적 효과에 중점을 두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구속 스트레스 조건 하에서 백서(Rat) 이하선에서 clusterin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를 위해, 10마리의 백서를 이용, 3그룹으로 구분하였다. 1) 그룹 1: 대조군으로 rat 2마리 2) 그룹 2 : 실험대조군으로 2마리를 두어 2시간 동안 restraint cone을 사용하여 구속스트레스를 부여 3)그룹 3 : 실험군으로 6마리를 두어 매일 2시간씩 restraint cone을 사용하여 구속 스트레스를 부여 백서는 스트레스 부여 후 즉시(그룹 2) 희생하거나 24, 48, 72 시간 후 희생하여 이하선을 절취하였다. Western blotting과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백서의 이하선에서 clusterin이 약간 증가하였고 구속 스트레스 부여 직후 타액선관에서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2. 백서의 이하선에서 clusterin은 구속 24시간, 48시간 후에 매우 감소되었으며, 타액선관에서도 소량 관찰되었다. 3. 백서의 이하선에서 clusterin은 구속 72시간 후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역시 타액선관에 밀집하여 증가되었다.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위와 연관되어 발생된 전치부 개교합 환자의 측방 두부방사선 계측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Developed Anterior Open Bite Following Anterior Disc Dislocation without Reductions)

  • 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3호
    • /
    • pp.255-263
    • /
    • 2006
  • 임상적으로 비정복성 관절원판전위로 진단된 3명의 환자에서 이들은 모두 물리치료, 약물치료만이 행해진 환자로 내원 중에 갑작스런 교합변화 및 전치부 개교합을 나타내었다. 종래에 알려진 개교합의 발생은 류마티즘 관절염이나 양측과두의 심한 퇴행성 변화가 있는 경우에 상당한 과두지지의 상실로 후방지지를 잃게 되어 구치들이 과도하게 접촉하고 전치 개교합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나, 과두지지의 상실이 없는 비정복성 관절원판전위만으로 특정 환자에서는 개교합의 발생이 가능하며 이는 구치부 치아의 증출에 의한 전치부 개교합이라 볼 수 없으며, 하악의 후하방 회전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들 3환자들의 전체적인 골격적 특징은(1)구치부 앵글씨 1급 교합관계와 천피개 교합,(2)높은 하악하연각,(3)높은 하악각 등으로 봐서 상하악의 골격적 형태가 II급과 III급에 관계없이 수직적 성장이 강한 안모형태에서 갑작스런 개교합이 발생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앞으로 개교합이 발생되는 관절원판전위 환자에서 하악의 후하방 회전의 원인을 밝히고, 이러한 골격적인 특징이 측두하악장애의 원인 인자가 될 수 있는 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전치부 개방교합을 동반한 측두하악장애가 연하에 미치는 영향 (The Swallowing Pattern in TMD Patients with Anterior Open Bite)

  • 임종준;이경호;정성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5권1호
    • /
    • pp.117-128
    • /
    • 2000
  •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with anterior open bite on swallowing. Fifteen subjects with anterior open bite(group A), 9 subjects with anterior open bite and TMD(group B), and 24 subjects without malocclusion or TMD symptoms (group C) were included. BioPAK system(Bioresearch Inc., Milwaukee, WI, USA) was used to record the muscle activities of anterior temporal, masseter, sternocleidomastoid(SCM) and anterior digastric muscles during maximum clenching and swallowing. Positional change of the mandible during swallowing was also recorded using the same system.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Group A, B, and C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each other in the muscle activity of resting position in most of head and neck muscles. 2. Group B showed significantly lower muscle activity in maximum clenching than group C in anterior temporal(p<0.01), masseter(p<0.05), SCM(p<0.05) and digastric muscles(p<0.05). 3. Group A showed significantly lower muscle activity during swallowing than group C in anterior temporal and masseter muscles(p<0.01). Group B showed significantly lower muscle activity during swallowing than group C in anterior temporal(p<0.01), masseter(p<0.01), and SCM muscles(p<0.05). 4. Group A and B showed increased positional change of the mandible during swallowing measured from vertical, anteroposterior and lateral aspects, and prolonged swallowing(p<0.05). 5. After given instructions for normal swallowing pattern, group A and B showed increased muscle activity during swallowing in anterior temporal, masseter and SCM muscles(p<0.01). Positional change of the mandible and time elapsed for swallowing also decreased after the instruction(p<0.01). 6. Occlusal splint did not change the muscle activity during swallowing. However, vertical change(p<0.01) and swallowing time(p<0.05) were decreased with splint.

  • PDF

저출력레이져조사가 Staphylococcus aureus 에 감염된 창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Reactive Level Laser Irradiation (LLLI) on the Wound Infected with Staphylococcus Aureus)

  • Phil-Yeon Lee;Ki-Suk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1권1호
    • /
    • pp.153-171
    • /
    • 1996
  • 저수준레이저를 이용하여 창상이나 병소의 치유과정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에 의하면 갈륨비소 레이저광이 생체자극효과를 가진다고 하며, 저수준레이저를 조사하면 단백질과 핵산 (DNA) 합성을 자극하여 치은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한다고 보고하였다. 외상병소나 근육병소의 치료에 사용된 레이저치료법에 관한 관심이 점증함에 따라 저수준레이저요법 (LLLI)의 치유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분자생물학적 수준의 연구를 시행하기에 이르렀다. 보고에 의하면 Mutans Streptococcide 는 LLLI를 사용시 증식이 촉진되며, 다른 세균에서도 유사한 증식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LLLI가 피부감염을 야기하는 가장 흔한 원인인 Staphylococcus aureus 도 마찬가지로 증식이 촉진되는 지를 조사해볼 필요가 있으며, 또한 감염과 같이 특정 병적 상태에서의 저수준레이저광의 효과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Staphyloc occus aureus 의 증식에 대한 저수준레이저광의 효과를 조사하는 실험이며, 둘째 Staphylococcus aureus 로 가염된 피부창상에 대한 저수준레이저광의 효과를 판정하는데 있다. 34개의 Staphylococcus aureus 배양표본을 사용하여 48시간의 세포주기동안 조사기간과 조사시간, 그리고 레이저 펄스(laser pulse)형에 따라 3가지 실험을 시행하여 증식에 가장 효과적인 상태와 가장 비효과적인 상태의 갈륨비소 반도체 레이저펄스를 결정하였다. 이후 지름 약 6 mm의 개방창상을 44마리 백서의 양측 대퇴부에 형성하여 모든 창상에 S. aureus를 감염시켰다. 모든 표본은 펄스형과 조사방법 (중앙조사법과 주변조사법)에 따르는 실험을 하기 위하여 4가지로 분류하였다. 각 백서의 양측 창상중 하나는 1,3,5,7일 마다 각 실험의 방법에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고 실험동물의 다른 창상은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모든 창상의 면적은 실험 1,3,5,7 일째에 일정한 거리에서 사진촬영하여 면적계를 이용, 측정한 후 통계적인 의의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저수준레이저는 특정 조건하에서 S. aureus의 증식을 촉진하였다. 그러나 S. aureus에 감염된 창상을 저수준레이저로 조사시 치유가 촉진되었다. 중앙 조사법고 주변조사법에 의한 창상치유효과는 통계적인 의의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S. aureus 에 감염된 창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이든 pulse의 종류에 관계없이 조사하는 경우 치유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정사주위 조직의 LLLI 자극효과가 염증의 확산을 억제한다고 말할수 있다.

  • PDF

두개하악장애환자에서 악관절강폭과 측모두부형태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Joint Space and Craniofacial Morphology in Patients with Craniomandibular Disorders)

  • Myung-Seok Seo;Kyung-Soo Han;Min Shi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7권2호
    • /
    • pp.63-73
    • /
    • 1992
  •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width of temporomandibular joint space and craniofacial morphology in patients with CMDs. The subjects utilized here were aged from 16 to 63 years old and 19 male and 46 female. For the study, each patient was taken radiographs by Transcranial and Lateral Cephalographic projection and the films were traced with routine method. The measured items were anterior, superior, posterior joint space and relative condylar position to the deepest part of glenoid fossa in Transcranial film and items related vertical and/or horizontal growth in Cephalogram. The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PC+ package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Anterior joint space in affected side were wider than that of unaffected side, but for superior and posterior joint space, the value of unaffected side were more than those of affected side. 2. Superior or posterior joint space of affected sid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tems related vertical growth, such as ramus height, Jarabak ratio, FMA. From this, the following cold be proposed, the wider the joint space of superior or posterior aspect of affected side was, the more the patient showed growth pattern of counter clockwise. 3. Superior or posterior joint space of affected sid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tems related horizontal growth, such as SNPo, NAPo, APDI and ANB. From this the following could be proposed, the wider the joint space of superior or posterior aspect of affected side was, the more the patient showed anterior displacement of mandible. 4. It would be proposed that the diagnositic value of superior and posterior joint space of affected side in transcranial radiograph was excellent.

  • PDF

악관절 잡음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ound Analy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 Soo-Yong Kim;Sung-Chang Chung;Hyung-Suk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7권2호
    • /
    • pp.51-61
    • /
    • 1992
  • 저자는 서울대학병원 치과진료부 구강진단과를내원한 두 개하악장애 환자 중, 악관절음이 있음을 호소하는 환자 106명을 대상으로 SonoPAK을 이용하여 악관절음을 분석하고 Transcranial TMJ Series와 파노라마상 판독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onoPAK에 기록된 210회의 발생 악관절음 중 왕복성 관절음은 44건, 88회 발생하였고, 개구시 관절음은 74회, 그리고 폐구시 관절음은 48회 발생하였으며, 개구시에 관절음이 더 빈번히 나타났다. 2. 왕복성 악관절음이 있다고 인정되는 혼자군에서, 개구시 평균 최대 단위는 18.6(%)$\pm$15.6(%), 폐구시 평균 최대 진폭은 16.6(%)$\pm$17.4(%) 이었으며, 개폐구간 진폭의 차이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p>0.05). 3. 악관절음을 미약한 소리, 중간소리, 큰소리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각각 110, 79,21회의 발생을 기록하였다. 4. (>300Hz)/(<300Hz)의 비율이 0인 경우는 34회 였고, 300Hz 이상의 주파수가 관찰된 경우는 176회였다. 5. Transcranial TMJ projection series 와 파노라마상의 판독 결과 하악과두의 골 변화가 인정된 환자군에서 SonoPAK 기록의 평균 주파수 비율((>300Hz)/(<300Hz))은 0.387$\pm$0.284이었고 골 변화가 인지되지는 않았으나 주파수 비율이 0.01 이상인 환자군의 평균은 0.286$\pm$0.227이었다.

  • PDF

두부자세에 따른 근활성과 측모두부방사선계측치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Muscle Activity and Cephalometric Variables Related to Head Posture)

  • 김병욱;한경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2호
    • /
    • pp.189-206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muscle activity and cephalometric variables according to change of head postures. For this study, 150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80 dental students without any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ere selected as the patients group and as the normal group, respectively. Head position to body-midline in frontal plane and upper quarter posture to body plumb line in sagittal plane were observed clinically and electromyographic(EMG) activity of anterior temporalis, masseter, sternocleidomastoideus, and trapezius on clenching were recorded with $BioEMG^{(R)}$ in four head postures, which were natural head posture(NHP), forward head posture(FHP), $20^{\circ}$ upward head posture(UHP), and $20^{\circ}$ downward head posture(DHP). Cephaloradiographs were also taken in the same head postures as in EMG taking, but that was taken only in NHP for the patient group. Cephalometric variables measured were SN angle, CVT angle, atlas inclination angle, occlusal plane angle, Me-C2 angle, pharyngeal width, occiput~axis distance, area of pharyngeal space, and cervical curvature. The data were analyzed by SA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Between the patient and the norm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tance from plumb line to acromion, eye-tragus angl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four muscles, and cephalometric variables of linear measurement. 2. There was no consistent pattern of correlation between upper quarter posture, EMG activity and cephalometric variables in any case without relation to cervical curvature and head position in frontal plane. 3. Sternocleidomastoid muscle only showed variation of electromyographic activty with changes of head postures, but all the muscles did show correlation with head postures. 4. All the cephalometric variables measured in this study showed difference of mean value by head posture, and CVT angle, pharyngeal width, occiput-atlas distance, and area of pharyngeal space showed cor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with change from NHP to FHP, and from NHP to UHP.

  • PDF

구개에 발생한 혈관성 평활근종의 보고 (Vascular leiomyoma of the palate)

  • 강진규;윤정훈;심영주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115-119
    • /
    • 2013
  • 평활근종(leiomyoma)은 평활근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으로, 두경부 영역에서는 흔치 않은 질환이다. 구강내 평활근종의 경우 혈관성 평활근종이 가장 흔하다. 구강내 혈관성 평활근종은 비교적 단단하고, 매끈한 표면을 가지며, 경계가 명확하고, 둥글고 돌출되어 있다. 대부분 무통성으로 느리게 성장하기 때문에 환자가 병원을 찾게 될 때까지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리며, 병력 및 임상검사, 방사선학적으로 특징적인 소견을 나타내지 않아 수술 후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만 진단이 가능하다. 본 증례는 구개부에 연성종양을 주소로 내원한 53세의 여자 환자에서 종양 적출술을 시행, 병리조직학적으로 혈관성 평활근종으로 확진된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하악 전치부에 발생한 치근낭종의 치험례 (RADICULAR CYST ENUCLEATION ON MANDIBULAR ANTERIOR REGION)

  • 김선하;최성철;박재홍;김광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4-89
    • /
    • 2012
  • 치근낭은 가장 흔한 치성기원 낭으로 치수감염, 치수실활, 외상으로 인한 이차감염 또는 치아 우식에 의해 발생한다. 보통치근낭은 무증상이나 이차 감염이 발생할 경우 통증, 부종, 발적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크기가 커질수록 치근낭은 인접한 신경을 압박하여 안면비대칭 또는 마비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 치료는 보존적 신경치료 또는 외과적 처치를 요하며, 낭의 크기가 크거나 인접 조직의 침범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낭적출술을 시행해야 한다. 대부분의 증례에서 완벽한 치료가 가능하고 재발율이 낮다. 본 증례의 환아들은 하악전치부 낭을 주소로 내원하여 임상검사에서 일부 하악전치가 괴사되었음을 발견하였으므로 근관치료를 시행한 후 전신마취하에 치근단절제술 및 치근낭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하여 이환부의 골생성 및 재발여부를 관찰하였으며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