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면골

검색결과 702건 처리시간 0.021초

상악골에 발생한 악성섬유성조직구종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OF THE MAXILLA ; REPORT OF A CASE)

  • 류선열;박석인;이진환;정무강;정종철;최홍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4권1_2호
    • /
    • pp.117-123
    • /
    • 1992
  • 우측 협부의 종창과 압통을 주소로 내원한 59세의 여자 환자에서 방사선 소견상 우측 상악골의 광범위한 골파괴상이 나타났고 조직생검에서 MFH로 진단되었다. 치료는 술전과 술후에 SWOG외 CY-VA-DIC요법을 변형시킨 화학요법과 총 40Gy의 $^{60}Co$ 방사선요법 그리고 우측 상악골전적출술의 삼자병용요법을 시행하였다. 술후 2년이 경과된 현재까지 재발이나 전이 등의 소경은 관찰되지 않고 있으며 환자의 예후에 대하여 주의 깊은 관찰을 계속하고 있다.

  • PDF

춘천지역의 안면골 골절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AND STATISTICAL STUDY FACIAL BONE FRACTURE)

  • 이정구;한명수;김상봉;김학범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2권1호
    • /
    • pp.103-113
    • /
    • 1990
  • The study was based on a series of 252 patient with facial bone fractures who visited to Chun Cheon Sacred Heart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during the period of Dec., 1984 trough Nov., 1989.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 etiologic factor was traffic accident(45.2%). 2.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5.5 : 1 and 2nd decade(44%) was the highest age group in incidence. 3. Monthly incidence was the highest in Aug(14.3%). 4. The most common site of fracture was mandible(55.3%) and zygoma complex(24.2%), nasal bone(11.6%), maxilla(8.9%) were next in order of frequeny. 5. In mandible fractures, the most frequent site was symphyseal area(36.9%) and 142 cases(85%) had fractures only in mandible. 6. In maxillary fractures, fracture with other facial bones(85.2%) was more frequent than fracture on maxilla only. The major fracture type on maxilla was Le Fort II type. 7. In fracture of zygoma complex, zygoma & zygomatic arch was the most frequent site(52.0%) and zygomatic arch(24.7%), zygoma(23.3%) were next in order. 8. Open reduction was major method of treatment in facial bone fractures except nasal bone ; mandible(62.9%), maxilla(77.8%), zygoma complex(65.8%). 9. Maxillofacial fractures were most frequently combined with head & neck injury(43.1%), and upp. & low. extremities(29.4%), chest and abdomen(11.9%) were in order of frequency.

  • PDF

안면골 골절에 관한 임상적 연구 (THE CLINICAL STUDY ON FACIAL BONE FRACTURE)

  • 김영수;심지영;오수진;장창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6권1호
    • /
    • pp.89-98
    • /
    • 1994
  • This study was based on a series of 213 patients with facial bone fractures treated at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from Mar. 1990 to Jun. 1993.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8.3 : 1 and 3rd decade(34.3%) was the highest age group in incidence. 2. Monthly incidence was the highest in Jan. & Jun.(10.3%) 3. Onset time and daily incidence was the highest in pm. 9:00-12:00(21.4%), Sunday(18.8%). 4. Traffic acidents(38.5%) were the most frequent etiologic factor. 5. The most common site of fracture was zygoma & zygomatic arch(42.3%) and mandible (37.8%), maxilla (10.9%) and nasal bone(9.0%) were next in order of frequency. 6. In mandible fractures, the most frequent site was symphyseal area(43.0%) and IMF & open reduction was major method of treatment. 7. In zygoma & zygomatic arch fractures, zygoma(62.0%) was the most common fracture site and open reduction was the most frequent treatment method. 8. In maxilla fractures, the major fracture type was Le Fort I type (72.4%) and treatment was done by IMF & open reduction primarily. 9.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mal-union, fibrous-union, infection, osteomyelitis etc.

  • PDF

안면골 골절에 관한 임상적 연구 (The Clinical Study of Maxillofacial Bone Fracture)

  • 조병욱;이용찬;남종훈;김태영;고백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1호
    • /
    • pp.32-40
    • /
    • 1989
  • This study is based on 247 patients(348 cases) with facial bone fracture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Kangnam sacred heart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Jan. 1983 through sep. 1988. The patients with mandible fracture were analysed with the following items such as complications with treatment method undertaken : Bicortical osteosynthesis vs Monocortical osteosynthesi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most common age groups for the facial bone fracture were 20 years 2) The ratio of Men to women was 5 : 1 3) The most frequent location of facial bone fractures was the Mandible(76.7%), Maxillae(10.6%), Zygoma(9.5%), Nasal bone(3.2%) 4) The ratio of Mandible to Maxillae was 7.2 : 1 5) In mandible fractures, the most frequent fracture site was Symphysis(48.7%) 6) In maxilla fractures, the most frequent case was Le fort III fracture(51.4%), followed by Le fort I fracture(29.7%), Le fort II fracture(18.9%) 7) The main contributing causes of facial bone fractures were Traffic Accident(37.7%), Fight(31.6%), Accident(27.5%) 8) In open reduction methods of mandible fracture, the frequency of postop, malocclusion was 15% in interosseous wiring, 7% in Bicortical osteosynthesis, 3% in Monocortical osteosynthesis. The miniplates show advantages over other forms of fixation, in that they are malleable and easy to insert, they achieve rigid fixation and stability.

  • PDF

하악골 관절 과두돌기 골절의 임상적 연구 (Statistical study of Mandibular condylar process fractures)

  • 이희철;강신익;고영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1호
    • /
    • pp.287-296
    • /
    • 1989
  • 하악골 과두돌기 골절은 하악골에 있어서 자주 일어나는 골절중의 하나이며, 이 부위는 해부학적 구조로 이상적인 Reposition ( )이 통례적으로 불가능 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어렵기 때문에 치료방법이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수술후 충분한 악관절기능을 발휘하는데 문제가 있을수도 있기 때문에 (Arthropathia deformans) 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서는 우선 관절기능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어져야 하며, 또한 악관절 강직에 따른 안면골의 발육 부전으로 인한 악골기형을 고려하여야 한다는데 치료의 촛점이 두어져야 한다. 본인은 1981년 부터 1987년까지 인제대학부속부산백병원에서 치료한 바 있는 73명을 대상으로 (88골절선) 임상조사와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악관절 과두돌기 골절에 대한 치료방법의 선택기준 및 합병증 방지에 그 일익을 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 PDF

반측안면 왜소증의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Hemifacial Microsomia)

  • 이창곤;이명진;김종섭;박진호;진병로;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218-225
    • /
    • 1993
  • 저자들은 악골 변위로 인한 심미적인 문제로 내원한 23세 여자환자에서 안면비대칭, 부정교합을 관찰하였고 두부방사선 계측사진과 전후 방사선사진 및 파노라마사진을 통해 반측안면 왜소증으로 진단하였다. 이에 심미적 개선을 위해 우측하악관절부에 costchodral graft한 후 상악에 Lefort I osteotomy와 하악에 bilateral intrao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을 시행한 후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수술 후 6개월동안 감염이나 골흡수는 보이지 않았다. 부가적으로 하악과두의 비대칭을 보기위한 towns' view와 연조직 분석을 위한 전산단층 촬영술을 첨가하면 진단에 도움이 될것으로 사료되고, 본 증례에서 향후 연조직 재건을 위한 수술이 첨가되면 더 양호한 결과를 얻을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안면골 골절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FACIAL BONE FRACTURES)

  • 김현수;이상한;장현중;백상흠;차두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1호
    • /
    • pp.40-47
    • /
    • 2001
  • To investigate epidermiologic trend in maxillofacial fractures. We retrospectively studied 934 patients with maxillofacial fractures between $1981{\sim}1987$ and $1995{\sim}1999$. The results were compared in the previous group (Group A, patients treated between $1981{\sim}1987$) with those in the recent group (Group B, $1995{\sim}1999$). Also, we studied 516 patient between $1995{\sim}1999$ for occupation, associated injuries, treatment and complications. The sex ratio of men to women decreased (5.6 : 1 in Group A vs. 3.5 : 1 in Group B), and the largest age group was 20 to 29 years. There was the highest incidence in September and Fall. The most frequent cause of maxillofacial fracture in both Group A and B was traffic accidents. The distribution of fracture site did not change appreciably, but the frequency of midfacial fracture increased. In the recent group, the largest occupational group was salaried men, and the largest associated injuries of maxillofacial fracture was head and neck injury. Open reduction was used in 91% of the cases, and post-operation complications were infection, neurologic problem, malocclusion, and mouth opening limitation etc.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maxillofacial fractures have changed during the past decade.

  • PDF

개구교합을 가진 3급 부정교합환자의 악교정수술후 재발에 관한 연구 (SKELETAL RELAPSE AFTER ORTHOGNATHIC SURGERY OF CLASS III SKELETAL OPEN-BITE)

  • 송재철;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5권3호
    • /
    • pp.229-237
    • /
    • 1993
  • 자자는 1991년 2월부터 1993년 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 하악전돌 및 개구교합을 주소로 내원하여 하악골 시상골절단술을 이용하여 악교정 수술을 받은 환자중 추적 조사가 가능했던 9명의 개구교합을 동반한 하악 전돌증 환자와 개구교합이 없는 하악 전돌증 환자 9명, 총 18명을 대상으로 두부 상사선 규격사진을 이용한 술후 재발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개구교합군에 비해 개구교합군에서 술전 전안면고경, 하악 하연 평면각 및 하악 우각부 값이 더 크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 2. 개구교합군에서 수술시 SNB 값과 하악 하연 길이의 변화량이 하악의 재발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p.<0.01) 3. 개구교합군에서 전안면고경은 술후 비교적 안정되어 있었다. 4. 개구교합군과 비개구교합군에서 수술에 의한 하악 하연 평면각의 변화와 하악의 수평 이동량은 재발과 상관 관계가 없었다.(p>0.01) 5.개구교합을 가진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골 시상골 절단술을 시행시 본 연구에서는 수직적 재발보다는 수평적 재발에 문제가 있었다.

  • PDF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 치료에서 Avocado/Soybean Unsaponifiables의 효용성 (Clinical Effect of Avocado/Soybean Unsaponifiables on Osteoarthrit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김희진;박준상;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2호
    • /
    • pp.185-197
    • /
    • 2006
  • 본 연구는 2003년 10월부터 2006년 3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 구강내과 구강안면통증클리닉에 내원하여 RDC/TMD에 의해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으로 진단된 환자 중 본 실험에 동의한 폐경기가 오지 않은 여성 환자를 무작위로 나누어, 주기적 내원 하에 실제로 ASU 300 mg을 연속 복용한 ASU군(총 36명)과 ASU와 동일한 제재이지만 약효가 없는 약물을 복용한 위약군(총 32명)으로 분류하여 ASU를 장기간 투여시 통증, 관절음, 개구제한(LOM), 무통성 편이 개구량(MCO)의 변화뿐만 아니라 골스캔의 단순섭취율(SUR), coronal SPECT상에서의 온점개수(HS), 그리고 CT상에서의 과두 관절면의 비교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SU군과 위약군의 치료 전, 치료 3개월 후, 치료 6개월 후, 치료 9개월 후의 무통성 편이개구량(MCO)과 통증, 관절음, 개구제한(LOM)의 NAS를 비교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ASU군과 위약군의 치료 전, 치료 3개월 후, 치료 6개월 후, 치료 9개월 후의 MCO를 비교시 장치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두 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장치치료를 시행한 ASU군에서 위약군에 비해 치료 6개월 후, 치료 9개월 후에 MCO가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ASU군과 위약군을 초진시 통증에 대한 NAS가 6미만인 경우와 6이상인 경우로 분류하여 치료 전, 치료 3개월 후, 치료 6개월 후, 치료 9개월 후를 비교시 두 군 모두 치료 3개월 후, 치료 9개월 이후에 통증이 더 감소하며, 통증의 NAS가 6이상인 경우에서 ASU군이 위약군에 비해 통증이 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4. 주기적 내원하에 6개월간 약물치료를 시행한 ASU군(총19명)과 위약군(총 21명)의 MCO와 통증, 관절음, 개구제한의 NAS를 비교시 각 군내에서는 임상증상의 개선이 현저하였으나, 두 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ASU군과 위약군을 이환측과 비이환측으로 분류하여 측두하악관절의 골스캔의 단순섭취율(SUR)과 coronal SPECT상에서의 온점개수(HS)를 비교시 두 군 모두에서 이환측이 비이환측에 비해 단순섭취율과 온점개수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단순섭취율과 온점개수는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6. 이환 및 비이환 관절 모두에서 골재형성 반응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골증식체는 가장 적게 관찰되었다. 치료전후의 ASU군(총 34부위)과 위약군(총 20부위)의 과두 관절면을 비교시 ASU군에서 보다 많은 침식소견의 감소경향을 보여주었다.

상악골 전방견인 후 경조직과 연조직의 재발에 관한 연구 (THE STDUY OF THE RELAPSE OF HARD AND SOFT TISSUE AFTER MAXILLARY PROTRACTION)

  • 양준호;박수병;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73-389
    • /
    • 1997
  • 본 연구는 성장기 아동 중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구외력을 이용한 상악골 전방견인시에 발생하는 경조직과 연조직의 변화와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제거 후 관찰되는 경조직과 연조직의 재발 양상 및 이들의 상관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하여 상악골 열성장을 동반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은 아동 중 안면 비대칭과 순구개열이 없고 상악골 전방견인 치료 전이나 후에 상하악에서 고정성 또는 가철성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29명 (남자 10명, 여자 19명 )을 대상으로 상악골 전방견인 전,후와 장치제거 후 1-3개월때 채득한 측모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을 계측,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에 의하여 상순부 연조직은 그 하방 경조직과 함께 전하방 이동되었고 하순부 연조직은 경조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수평적으로는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2.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제거 후 상하 전치의 재발양상에도 불구하고 상하순 모두 수평방향으로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수직방향으로는 전방견인 후보다 더 하방이동 하였다. 3. 상악골 전방견인에 의하여 상악골과 상악치열이 전방 이동되었고 구개평면은 전상방 회전되었으며 하악골과 하악치열은 하후방 회전되었다. 4.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제거 후 악골의 위치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상하 전치의 치축과 전상방 회전되었던 구개평면이 치료 전 위치로 재발되었다. 5. 경조직과 연조직의 상관성 검정에서 입술의 위치는 그 하방 경조직과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