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면골

검색결과 702건 처리시간 0.02초

정복 시기가 지난 안면골 골절의 수술적 교정 (Delayed Reduction of Facial Bone Fractures)

  • 이규섭;박재범;송승한;오상하;강낙헌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9-123
    • /
    • 2013
  • Except for special situations, it is generally agreed that best results in the treatment of facial fractures is expected if reduction is done within the first 2 or 3 weeks after injury. We reduced facial bone fractures at 4 to 7 weeks after trauma. A 44-year-old female patient underwent open reduction for her right zygomaticomaxillary complex fracture at 7 weeks after injury. A 59-year-old female patient underwent surgery for the right mandible body and left parasymphysis fractures at 4 weeks after injury. Using traditional approaches, granulation tissue and callus were removed from the fracture sites, and malunited fracture lines were separated by a small osteotome. We reduced the displaced fractured zygoma and mandible to their normal anatomical positions and fixed them using titanium plates. No complications such as asymmetry, malunion, malocclusion, or trismus were seen. Unfavorable asymmetric facial contours were corrected, and we obtained good occlusion with favorable bony alignment. The functional and aesthetic outcomes were satisfactory. Through removal the callus and limited osteotomy, a successful approach to the previously fractured line was possible, and an exact correction with symmetry was obtained. This method can be a good option for obtaining good mobility and clinical results in treating delayed facial bone fractures.

C-Arm 유도하의 안면골 골절의 정복술 (C-Arm Fluoroscopy for Accurate Reduction of Facial Bone Fracture)

  • 황소민;김장혁;김형도;정용휘;김홍일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6-101
    • /
    • 2013
  • Background: Among facial fractures, nasal bone fracture, zygomatic arch fracture and mandibular subcondyle fracture take a large portion. Among surgical operations for nasal bone fracture, zygomatic arch fracture and mandibular subcondyle fracture, closed reduction has been generally used but, unlike open reduction, there is a problem in evaluating its accuracy of reduction. Methods: An assessment was made from October 2011 until April 2013 prospectively on 37 patients. For all the operations, closed reductions were executed in a conventional way and simultaneously using C-Arm to verify the reduction of fractures. Two images of plain radiography, one taken before operation and another one taken one day after the operation, were compared. After obtaining images of plain radiography using C-Arm immediately after the correction upon operation, they were compared with the images of plain radiography taken one day after the operation. Results: The fracture reductions of 26 patients among 27 nasal fracture patients were satisfactory but one patient showed a marginal overcorrection of less than 1 mm. The fracture reductions of 7 patients among 8 zygomatic arch fracture patients were satisfactory but one patient showed a marginal undercorrection of less than 2 mm. All of two mandibular subcondyle fracture patients showed less than 2 mm undercorrection. Conclusion: Closed reduction guided by C-Arm for nasal bone fracture, zygomatic arch fracture and mandibular subcondyle fracture was clinically useful because it could make a real-time assessment on fractured areas and add immediate corrections during the operation.

안면골 골절 환자에 대한 표준진료지침 개발에 따른 환자의 인식도 증가와 만족도 개선 효과 (The Development of a Critical Pathway for Facial Bone Fractures and the Effect of its Clinical Implementation)

  • 최우영;박철우;손경민;천지선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9-95
    • /
    • 2013
  • Background: If patients have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ir problem and treatment, compliance and satisfaction with treatment will increase. For this purpose, simple repeated explanations regarding a patients' problem and treatment are essential. Critical pathway (CP) has a very wide range in medicine with the exception of the plastic surgery field. The authors developed a CP for facial bone fractures and implemented it clinical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P o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problem along with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treatment process. Methods: From May 2011 to October 2011, a total of 82 patients suffering from facial bone fractures were studied. The CP for facial bone fractures was developed by plastic surgeons, residents and nurses. Subsequently,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disease and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treatment through the use of a questionnaire. The authors compared the score of the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the clinical pathway. Results: The degree of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changed from 3.1 to 4.2 (p<0.001). Furt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treatment process changed from 3.6 to 4.3 (p<0.05). Overall, there was a two point increase in improvement. Conclusion: Implementation of the CP for facial bone fracture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The authors expect that hereafter, the CP for facial bone fractures will be implemented actively in the plastic surgery field.

피질골절단술을 이용한 상악협소증환자의 치험례 (CORTICOTOMY IN PATIENT WITH NARROW PALATAL ARCH)

  • 김은철;이상철;김여갑;류동목;이백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5권4호
    • /
    • pp.371-374
    • /
    • 1999
  • 상악협소증으로 인하여 골격관계의 수평적인 부조화와 부정 교합을 보인 상기환자의 경우 상악확대를 위해 구개확대장치를 이용하여 치료하였으나 원하는 치료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방사선 평가상 안면골의 봉합부골화가 이미 끝난 것으로 보여 외과적인 피질골절단술을 시행하였다. 외과적인 피질골절단술은 상악확대시 주위안면골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는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술후 2주경과후와 12개월 경과후 교합관계 및 확대된 상악궁의 재발상태를 평가한 결과 술후 상태로 유지되고 있었다. 전반적인 교합상태도 많이 개선되어 있었다. 그러나 피질골절단술은 사전에 악궁의 형태나 길이, 수술방법의 선택, 술후 합병증에 대한 충분한 평가를 하여야 한다. 외과적인 피질골절단술은 치료비와 치료기간을 줄일 수 있고 술후 재귀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본과에서 피질골절단술을 이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본 학회지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외상성 안면 함몰부에 협지방대 유경 피판을 사용한 재건술 (BUCCAL FAT PAD TRANSFER AS A PEDICLED FLAP FOR FACIAL AUGMENTATION)

  • 정상철;안희용;최홍식;엄인웅;김창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2호
    • /
    • pp.153-159
    • /
    • 1991
  • 외상성, 혹은 선천적 결손으로 인한 함몰부에 사용한 자가 유리지방 이식은 잘 알려진 방법이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주된 공여부는 복부나 둔부의 피하지방이었다. 그러나, 1977 년 Egyedi는 협지방대를 유경피판으로 처음 사용하였다. 협지방대는 안면골 절단술시, 협측 피판을 들어올릴 때, 혹은 이하선관 수술 같은 구강내 수술시 항상 귀찮은 구조물로써, 수술 시야를 방해한다. 협지방대는 매우 세밀한 막으로 둘러싸인 소엽형태의 볼록한 물질로, body와 네 개의 prccess들로 구성된다. 이 돌기들은 여러 근육층 사이의 충전물로 작용하며, 유아에서는 sucking시 보조작용으로, 성인에서는 윤활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교실에서는 협지방대를 사용하여 세 증례의 협골 함몰부에, 그리고 한 증례의 비순구 재건을 위해 사용한 바,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증례보고를 하는 바이다.

  • PDF

안면골 골절의 발생 인자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Facial Bone Fractures)

  • 서용훈;김영준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6-40
    • /
    • 2012
  • Purpose: Statistical analysis of facial bone fractures has been performed in various papers. However, reports on risk factors for facial bone fractures are rare. In order to prevent facial bone fracture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their occurrence. This study seeks to perform a statistical analysis on and identif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facial bone fracture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facial bone fractures in patients presenting from October 2009 to January 2011 through a chart review. The data collected included age, gender, etiology, and alcohol consumption.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05 and SAS ver. 9.2 was used. Results: A total of 489 patients were analyzed. The patients' age ranged from 2 to 85 years (mean age, $31.8{\pm}15.4$ years). The ratio of men to women was 5.0:1. The predominant group was age below 19 years old (30.9%). The main causes of facial bone fractures were assaults (37.8%), falls (27.2%), and sport accidents (19.5%). On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ge, especially in the teen group was associated with assaults (p<0.05) resulting in facial bone fractures. Alcohol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ssaults and falls (p<0.05) leading to facial bone fractures. Conclusion: Facial bone fracture is a challenging problem, because of its high incidence and financial co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ore effective policies aimed at reducing alcohol intake and teenage violence are needed.

안면부 및 경구개부 기형을 초래한 거대 여포성 치아낭종 1례 (A Case of the Dentigerous Cyst which produce the Facial and Palatal Deformity)

  • 박순일;문태용;이석용;윤강묵;심상열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2.1-12
    • /
    • 1981
  • 여포성 치아낭종은 치아여포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낭종으로서, 매몰 혹은 미립치아의 치관부가 완전히 형성된 이후에 치관부와 퇴행성 변화를 일으킨 사기질 상피 사이에 액체가 저류되어 낭종으로 발달된 것을 말한다. 여포성 치아 낭종은 전 치성낭종의 약 20%를 차지하며, 영구치에서 잘 생긴다. 하악골에 주로 발생하며, 특히 매몰치아가 흔한 하악골색 제 3 대구치, 상악골의 견치에서 잘 볼 수가 있다. 안면부 기형이 나타날 때까지는 임상증세가 없는 것이 보통이나 종들이 커지면 안면부 기형과 함께 구개부 융기, 종물부위의 이물감, 암통 및 인접치아의 치근 흡수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드물게는 범람종, 상피암 및 점막상피암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기적출을 하는 것이 좋다. 진단방법으로는 X-선 촬영이 중요하며 이때에 치관주변부가 투명하게 나타난다. 저자들은 최근 안면부 기형 및 경구개 융기를 초래한 거대 여포성 치아남종이 있던 15세 남자 환자를 치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재발된 골섬유종과 백악질골섬유종 (Recurrent ossifying and cemento-ossifying fibroma of the jaws;report of 2 cases)

  • 류선열;오희균;김건중;윤영수;최홍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1호
    • /
    • pp.297-308
    • /
    • 1989
  • 저자동은 약 1년전 모 병원에서 하악과 상악에 각기 안모변형과 골팽창을 동반한 병소에 대해 수술을 재발한 치주인대에서 기인한 양성 섬유골성 병소를 치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증례 1은 32세 남자의 우측 하악 골체부에서 술후 약 1년만에 재발된 백악질골섬유종이었고 증례 2는 72세 여자의 상악 전치부에서 술후 약 5개월만에 재발소견을 보인 골섬유종이었다. 2. 방사선학적 소견에서 증례 1은 방사선 투과상의 병소내에 방사선불투과상의 석회화 물질이 함유된 혼합기의 상태였고 증례 2는 비교적 불명확한 경계를 가졌으나 방사선 투명대에 의해 치밀한 방사선 불투과상의 병소가 둘러싸여 있는 성숙기의 상태였다. 3. 조직병리학적 소견으로 두 증례 모두 조골세포의 부연이나 규칙적인 골소주 구조 및 기절내 세포성분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증례 1에서는 골성분외에 백악질소적과 같은 석회화물질이 관찰되었고 증례 2에서는 층판골만이 관찰되어 증례 1은 백악질골섬유종, 증례 2는 골섬유종의 특징을 지닌 양성 섬유 골성 병소였다. 4. 재발된 병소이므로 증례 1은 하악 우측 제 1소구치부터 우각부까지 하악골 절제술과 장골 및 하치조신경 이식술을, 증례 2는 정상 인접골을 포함한 종물의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5. 술후 1년이 경과한 현재까지 정기적인 임상 및 방사선 검사결과 재발증상 없이 양호한 치유 경과를 보여주고 있다.

  • PDF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응력 및 변형 분포의 분석 - 하악골의 이모장치효과 - (ANALYSIS OF STRESS AND DISTORTION DISTRIBUTION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 EFFECTS OF THE CHIN CAP ON THE MANDIBLE -)

  • 이용훈;백병주;김재곤;양연미;이민정;고영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9-118
    • /
    • 2011
  • 두개안면부에서 하악은 태생 4주에 발생하는 첫번째 아가미궁에서 분화되며 맥켈연골이라 알려져 있는 긴 막대기 모양의 연골의 외측부에서 골화가 시작된다. 이후 하악골은 골의 첨가와 흡수에 의해 성장 발육하게 된다. 이런 하악골의 성장 발육이 과하거나 부족한 경우 상하악골의 부조화에 의한 부정교합이 발생되게 되고, 이를 3급 또는 2급 부정교합이라 부른다. 3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해 지금까지 많은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으며, 그중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는것이 이모장치이다. Distraction osteogenesis는 강한 힘이나 수술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골표면 사이에서 새로운 신생골이 형성되는 일련의 생물학적인 과정을 말한다. Distraction force가 callus tissue에 작용되어 골이 분리되면 골과 연조직에 가해지는 신장력이 새로운 골 생성을 자극하게 된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유한요소 model을 이용하여 이모장치의 하중에 대한 하악골의 응력분포를 알아보고, 하악골 절개 (mandibular midline distraction) 후 강제변형에 대한 응력분포를 알아보는 것이다.

측두하악골관절염 환자의 보존적 치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TMJ)

  • 손대은;옥승준;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2호
    • /
    • pp.227-239
    • /
    • 2007
  • 1994년부터 2006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여 측두하악골관절염으로 진단받고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101명과 저작근장애로 진단받고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74명의 진료기록부를 통해 초진 시와 치료 종결 시의 증상, 시행된 치료방법, 치료기간, 치료횟수에 따른 치료 결과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측두하악골관절염 환자의 초진 시 방사선 사진, 전산화 단층사진 및 단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사진의 양성도, 관절잡음의 치료 전후 변화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관절염군은 보존적 치료에 의해서 치료 결과가 좋았으나, 치료 종결 시 근육장애군에 비해서 증상의 개선이 미흡하였다. 2. 골관절염군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경두개 촬영사진의 양성도는 60%정도였으나, 전산화 단층사진과 단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사진의 양성도는 90%이상이었다. 3. 치료 종결 시의 골관절염군의 관절잡음은 초진 시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골관절염군은 대부분 물리치료, 투약, 교합안정장치로, 근육장애군은 대부분 물리치료, 투약으로 증상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5. 골관절염군은 6개월에서 2년의, 근육장애군은 6개월 미만의 치료가 필요하였다. 6. 골관절염군은 10회 이상으로, 근육장애군은 10회 미만의 치료로도 예후가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