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내표지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시각장애인의 실내안내시설 설치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of Information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 김인배;김원필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9-30
    • /
    • 2020
  • Purpose: The ratio of the visually impaired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natural aging, accidents,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has two folds. Firstly, it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atisfaction level with information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Secondly, it aim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with indoor information facilities. Through this study, it helps to identify problems of information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it works as a practical data for further improvements. Methods: For 50 visually impaired people, a telephon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braille blocks, braille signboards, braille information boards with tactile map, audio guide devices, and safety egress devices. Microsoft Excel and SPSS 26.0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indoor information facilities was very low. The more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recognized the installation standards, and the better the maintenance wa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In the case of braille blocks and braille signboards, the effect of information transfer on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In the case of audio guide device and safety egress device, the standard suitability influenced satisfaction. Implications: The low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information facilities can impede visually impaired people from receiving practical help through the information facilities.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each facility were identifi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prepare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한국 국립공원 사찰 공중화장실 디자인 연구 (Design for Public Lavatory in Korean Temple Considering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Concept)

  • 온순기;양우창;유상완;박주남;정태운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47-156
    • /
    • 2002
  • 우리나라는 2002년 한·일 공동주최 월드컵이라는 국제적 대회의 개최로 인한 외국인 입국자의 증가로 시설물 확충 및 개보수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여행 시 안내표지판 미비 및 화장실의 불결이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중 화장실은 숫자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관리소흘과 시설의 낙후 등으로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디자인측면과 장애인 시설측면의 미흡함으로 관광한국으로서 많은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장실에 대한 기존연구는 1980년대부터 시작되어 왔지만 시설물 개선 및 확충, 시민의식의 제고 측면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배치 및 시설물 계획만을 주로 검토하고 있어 공중화장실의 전통적 디자인 측면이나 환경측면에 대한 고려의 연구가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체크리스트를 통해 공중화장실의 문제점과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립공원에 적용되어질 수 있는 공중화장실의 디자인을 한국불교 건축양식을 적용하여 쾌적한 환경창출과 한국 전통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탕출하였다.

  • PDF

Digital Zoom기능을 포함한 Cortex-A8 Platform 기반의 시각장애인용 Smart Navigation System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mart Navigation System development for blind people based on Cortex-A8 Platform include Digital Zoom)

  • 한승환;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9-292
    • /
    • 2012
  • 현재 대한민국에는 동록 되지 않은 시각장애인을 포함하여 20~30만 명의 시각장애인이 있다. 시각 장애인들은 보행을 할 때 주로 흰 지팡이(White Stick)를 사용하고 있다. 안내견의 도움을 받는 시각 장애인도 있지만 비용문제 등 여러 복합적인 문제로 인해 소수의 시각장애인만이 이용하고 있다. 현재 상용되어지고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 안내 서비스 보조기구는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흰 지팡이에 RFID태그를 부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지블록과 RF통신을 하는 정도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는 인식거리가 짧고, 명확한 장애물의 위치, 크기 및 형태를 판단하기 힘들기 때문에 실제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이 좀 더 수월하게 보행 할 수 있도록 Cortex-A8 Platform기반의 'Smart Portable Navigation System'개발에 대한 연구를 다루고자 한다.

  • PDF

M-IPA를 이용한 장애인과 일반인 지하철 이동시설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n Performance of Transport Facilities in Subway for Vulnerable Pedestrians and Non-Vulnerable Pedestrians Using Modified-IPA)

  • 김태호;손상호;박제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D호
    • /
    • pp.703-709
    • /
    • 2009
  • 본 연구는 교통약자의 이동시설에 대한 실태 및 의식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지하철역사에 추가 도입될 교통약자 시설 개선의 전략 수립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와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의 이동시설 관련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설문조사 및 변형된 중요도-만족도(M-IPA)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이 시급히 개선을 요구하는 사항에 대한 개선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장애인을 중심으로 결과를 서술하였다. 첫째, 종합적인 측면의 M-IPA 분석결과 장애인은 안내시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부적인 측정지표별 M-IPA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보행접근로, 안내방송 및 표지판, 경보 및 피난시설, 장애인화장실에 대한 시설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일반인들에 비해 지하철 역사로의 접근과 정보제공에 대한 부분이 중점적으로 부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장애인들을 위한 시설개선시 접근과 정보제공에 대한 시설을 시급히 개선하는 것이 지하철 역사의 접근과 이동성 제고를 위해 가장 우선순위 높은 개선사항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PRT 차량을 위한 자기표지 기반 무인 자율주행 시스템 (Magnetic Markers-based Autonomous Navigation System for a Personal Rapid Transit (PRT) Vehicle)

  • 변윤섭;엄주환;정락교;김백현;강석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297-304
    • /
    • 2015
  • 최근 들어 무인 자율주행 기반의 수요응답형 순환교통(PRT)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형 궤도 및 일반적인 도로에서 운용 가능한 PRT 시스템의 적용이 다양하게 검토되고 있다. 유형 궤도가 없이 일반 도로 상에서 운행되는 무인자동 차량의 경우, 실시간으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계측하는 것은 무인 차량의 자동안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위성항법장치(GPS)는 차량의 위치 확인을 위해 상업적으로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터널 또는 빌딩 등의 실내 환경에서 적용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자기표지 기반의 PRT 차량 무인운전 시스템의 구성장치와 제어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차량의 주행제어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차량의 주행중 실시간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개발된 자기검출센서를 제시하였고 차량의 무인운전에 필요한 지령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SW와 이를 통한 제어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지하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by Types of Subway Platforms and Transit Stations)

  • 김황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437-445
    • /
    • 2015
  • 지하철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시설물의 배치, 정보안내의 경우 지하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게 되나, 현재 해당 항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출발하여 IPA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른 이동시설 및 환승편의시설, 정보안내의 만족도간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도시철도 환승역사 15개를 대상으로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이 동일함에 따라 이용자간 중요도 및 만족도 차이, 개선항목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동선교차가 많이 발생되는 승강장 유형(상대식 승강장)과 환승정거장 유형(+, L, T자형)으로 지하철역을 설계하는 경우 이동편의시설 및 정보안내표지의 적정한 위치 선정이 중요함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이용자의 불편이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신규 역사 설계 및 기존 역사 개선시 활용이 가능하며,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라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항목 도출로 지하철 개선비용 효율성 증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첨단운송체계(ITS) 서비스 정의 및 통신 기술 (ITS System and Its Communication Requirements)

  • 오영인;윤철식;김응배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2권3호통권45호
    • /
    • pp.11-17
    • /
    • 1997
  •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는 H/W 중심의 차량 및 교통 기반 기설에 통신.전자.제어.컴퓨터 등 S/W 중심의 기술을 적용하여, 각 차량 및 교통 시설(신호등, 도로, 교통 안내 표지판, 도로 상황판 등)들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도로 교통 시설의 이용 효과를 극대화하고, 그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교통 수요 관리를 목적으로 사용자에게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지능형 종합 기술 체계이다. 이러한 최첨단 도로교통 관리의 ITS를 이용한 서비스는 각 나라마다 달리 정의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 첨단교통정보시스템(ATIS), 상용차량 운행관리 시스템(CVO), 차량 및 도로 시스템(AVCS) 그리고 첨단 대중교통 시스템(APTS)의 5개 분야로 나누어진다(1). 이 다섯가지 ITS 서비스 시스템은 공통적으로 정보 수집, 정보 처리, 정보 전달, 정보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각종 검지기, 차량 단말, 노변 단말 등의 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정보(정보 수집)는 관련 통신 방식(정보 통신)을 통하여 중앙 정보 처리 센터에 전달되어 그 서비스 요구 사항에 따라 처리(정보 처리)되고, 생성된 정보는 해당되는 통신 채널을 거쳐(정보 통신) 각종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정보 전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ITS체계의 정의, 목표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전달하는 과정과 이에 요구되는 통신 체계에 대하여 알아본다.

도로점용공사장 교통관리방안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서울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the Road Work Zone)

  • 김종민;이상용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19-133
    • /
    • 2003
  • 도로는 교통기능 외에 여러 시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사회 인프라구축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서울시뿐만 아니라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러한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도로점용공사는 매년 전국적으로 수만 건에 달하고 있다. 따라서. 매년 발생하는 도로점용공사의 차로과다 점용, 교통시설물 설치 부적절, 보행자 안전무시, 공사안내표지 부적절, 공사구간에서의 불법 주.정차 등의 문제점이 계속하여 발생.지적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관련 규정이 미흡하여 도로점용공사 시행자의 불법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서울시의 경우 시스템적 접근방법인 관련조례에 의해서 수행되기보다는, 교통자문회의로 운영되고 있으며, 관련 인원 및 법적 제재조치가 미약하여 도로점용공사의 효과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서울시 및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도로점용공사로 인한 보행자와 운전자의 통행권 확보와 안전상의 문제 등을 하루빨리 인식하여 도로점용공사에 따른 도로공사장 교통관리 규정을 법규화 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도로점용공사에 따른 관련법 및 적용대상, 관련보고서 검토, 서울시를 사례로 한 공사중 교통처리방안 운영실태 및 문제점의 진단을 통하여 향후 도로공사장 교통관리 규정의 운영적 및 제도적 측면의 개선방안과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운전자 행태를 고려한 VMS의 실시간 경로안내 정보제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viding Real-Time Route Guidance Information by Variable Massage Signs with Driver Behavior)

  • 이창우;정진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65-79
    • /
    • 2006
  • ITS 의 한 분야인 첨단교통정보체계 (ATIS: Advance Traveler Information System)는 운전자들에게 통행 전 (pre-trip). 통행 중 (en-route) 교통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운전자의 경로선택과정에 영향을 미쳐 도로망의 교통량 분산효과를 추구하는 시스템이다. 이중 도로상에서 운전자가 진행하는 방향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VMS 는 ATIS의 정보제공방안중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때 VMS의 정보제공목표는 단순현황정보만을 제공하는 운전자 편의측면과 교통수요를 관리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증진시키는 시스템 제어측면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하지만 보다 효율적인 도로전광표지의 정보제공을 위해서는 시스템제어 측면의 정보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교통관리시스템(traffic management system)으로서 VMS 핵심적인 관리전략은 혼잡 (traffic congestion) 또는 돌발 상황(incident)발생 시 지체 (delay)를 최소하기 위한 교통우회전략(Traffic Diversion Strategy)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통상황 (network traffic condition)에 따라 적정한 우회교통량 (diversion traffic volume) 의 산정이 선행되어야 하고 둘째, 이러한 우회교통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VMS 정보내용 (VMS massage contents)에 따른 운전자의 행태(driver response behavior)가 반영된 정보제공전략 (providing information strategy)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돌발 상황 발생에 의해 혼잡이 야기될 때 VMS 실시간 경로안내 정보제공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첫째로, CA(Cellular Automata) 기반 교통류 사율레이션을 모형을 이용뼈 통행시간 및 대기행렬의 변화가 반영된 시간대별 시스템 최적경로 전환율을 산정하였다. 둘째로, 이항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운영자가 제어할 수 있는 정보특성에 대한 경로전환행태 모형 (route choice behavior model) 을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시스템 최적상태 (system Optimum)의 달성을 위한 VMS의 시간대별 정보내용 및 강도를 결정하였다.

노인의 자가 보고에 따른 의료정보 이해 및 활용수준 (Older Adults' Self-reporte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Utilizing Health Information)

  • 김수현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281-129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자가 보고에 따른 각종 의료정보의 주관적인 이해 및 활용수준에 대해 조사하고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와의 연관성을 확인하며, 노인의 연령대 및 교육수준에 따라 구체적으로 어떠한 의료 정보의 이해와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103명으로 2007년 7월부터 8월까지 대구, 경북, 부산지역의 노인복지회관과 노인정에서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노인의 자가 보고에 따른 의료정보 이해수준의 전체 평균점수는 15-75점 기준에 약 50점이었고, 가장 이해하기 어려워 한 부분은 의료인으로부터 받은 자료, 환자 교육자료, 병원서식 자료였다. 노인의 의료정보 활용수준은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와 연관성이 있었으나, 의료정보 이해수준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와 연관성이 없었다. 또한 후기노인들은 전기노인들보다 약물명 이해수준과 병원용지 기입에 대한 자신감이 더 낮았고, 병원자료 이해부족으로 인한 건강상태 파악, 복약 설명서 이해부족으로 인한 약물 복용, 병원 설명서 이해부족으로 인한 예약 시간 도착에 있어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 밖에도 초등학교 이하의 교육수준을 가진 노인일수록 의료인으로부터 받은 자료, 환자 교육자료, 병원서식, 진료 예약표, 약물명, 안내표지판 등에 대한 이해수준이 낮았고, 병원용지 기입이나 복약설명에 따른 약 복용에 대한 자신감이 낮았으며, 병원용지 기입과 건강상태 파악에 문제를 경험한 적이 더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인들은 의료기관의 시설 및 서식, 교육자료 등의 개발에 있어서 노인의 연령과 교육수준을 고려하여 정보의 이해와 처리를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