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개

Search Result 51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Fog degree measurement based on patch property of defogging algorithm (안개 제거 알고리즘의 patch 특성을 이용한 안개 량 측정)

  • Lee, geun min;Kim, won 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125-126
    • /
    • 2014
  • 안개 제거 알고리즘은 single image에서 대기값(Airlight)와 대기의 빛 전달량(Transmission)을 추정하여 안개로 인한 빛의 산란에 의해 생긴 Contrast 감소 및 채도의 왜곡과 같은 영상 왜곡을 보정해줌으로써 안개 영상에서 안개를 효과적으로 제거해준다. 하지만 기존의 안개 제거 알고리즘은 안개 영상에 특화되었기 때문에 안개가 없는 영상에 알고리즘을 시행 할 경우 색상과 명암에 왜곡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앞서 안개 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안개 제거 알고리즘에 제거 정도 가중치나 알고리즘 수행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기존 안개 제거 알고리즘들이 영상의 patch를 사용하여 빛 전달량(Transmission)을 추정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빛 전달량을 구함과 동시에 안개 량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안개량을 측정하기 위해 각 patch의 pixel 분포 특성과 patch의 빛 전달량(Transmission)을 구하기 위한 특정 값과 실제 pixel의 명암(Intensity)을 비교하여 안개 량을 측정한다.

  • PDF

Fog degree measurement based local contrast and transmission (Local Contrast 및 transmission 기반 안개 량 측정)

  • Lee, geun min;Kim, won 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533-535
    • /
    • 2015
  • 안개 제거 알고리즘은 single image에서 대기값(Airlight)와 대기의 빛 전달량(Transmission)을 추정하여 안개로 인한 빛의 산란에 의해 생긴 Contrast 감소 및 채도의 왜곡과 같은 영상 왜곡을 보정해줌으로써 안개 영상에서 안개를 효과적으로 제거해준다. 하지만 기존의 안개 제거 알고리즘은 안개 영상에 특화되었기 때문에 안개가 없는 영상에 알고리즘을 시행 할 경우 색상과 명암에 왜곡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앞서 안개 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안개 제거 알고리즘에 제거 정도 가중치나 알고리즘 수행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기존 안개 제거 알고리즘들이 영상의 patch를 사용하여 빛 전달량(Transmission)을 추정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빛 전달량을 구함과 동시에 안개 량을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안개량을 측정하기 위해 각 patch의 pixel 분포 특성과 patch의 빛 전달량(Transmission)을 구하기 위한 특정 값과 실제 pixel의 명암(Intensity)을 비교하여 안개 량을 측정한다.

  • PDF

The Impacts of the Chungju Lake on the Fog Chracteristics of Its Surrounding Area (충주호가 주변지역의 안개 특성에 미친 영향 -충주와 제천을 중심으로-)

  • 이승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165-17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충주호가 그 주변지역의 안개 특성 변화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충주호 하류에 위치하는 충주와 상류의 제천지역을 사례로 안개일수, 안개 발생.소산시각, 안개 발생 전일의 바람과 일교차 및 기압배치, 상층의 바람 등을 분석하였다. 충주댐 건설 후 두 지역의 안개일수가 크게 증가하였는데, 제천에서는 상대습도와 수증기압이 증가하였으나 충주의 경우는 감소하였다. 또한 충주지역에서는 안개 발생시각이 빨라졌는데, 북서풍계 바람이 불 경우 더욱 뚜렷하며 안개의 빈도도 증가하였다. 안개 소산시각은 충주에서는 빨라졌으나 제천에서는 늦어졌다. 일교차는 충주에서는 감소하였고, 제천지역에서는 증가하였다. 제천의 안개 증가가 충주호에서 공급되는 수증기에 의한 것인데 반하여, 충주의 그것은 방류수의 수온과 기온 차이에 의한 것이다. 이에 따라 충주에서는 동절기에는 증발현상에 의한 안개가, 하절기에는 수면에서의 기온역전에 의한 안개가 크게 늘었다.

  • PDF

Development of the Fog Sensor for an Automatic Fog Water Collector (자동안개채취기를 위한 안개센서의 개발)

  • Park, Chan-Won;Kim, Il-Hwan;Shin, Sang-Yourl;Kim, Jin-Young;Kim, Hye-N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d
    • /
    • pp.2402-2404
    • /
    • 2001
  • 산성안개에 의한 환경 오염이 점차 증가하면서, 산성 안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있다. 이러한 안개는 늦은 밤이나 새벽에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안개가 발생하고, 걷힐 때마다 사람이 일일이 수집하고 측정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실제 환경실험을 통하여 안개와 비를 구별하는 최적의 안개인식센서모듈을 개발하였으며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무선송수신모듈 이용하여 안개의 발생과 소멸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원격으로 컴퓨터와 연결하여 자동으로 안개채취에 관련된 자료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특히 최근 문제시되고 있는 산성 안개의 데이터 수집이 용이해 지고, 주로 산악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는 안개를 원격지에서 측정이 가능해져 환경영향평가분야의 실제작업에 보다 편리함과 정확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No-Reference Visibility Prediction Model of Foggy Images Using Perceptual Fog-Aware Statistical Features (시지각적 통계 특성을 활용한 안개 영상의 가시성 예측 모델)

  • Choi, Lark Kwon;You, Jaehee;Bovik, Alan C.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4
    • /
    • pp.131-143
    • /
    • 2014
  • We propose a no-reference perceptual fog density and visibility prediction model in a single foggy scene based on natural scene statistics (NSS) and perceptual "fog aware" statistical features. Unlike previous studies, the proposed model predicts fog density without multiple foggy images, without salient objects in a scene including lane markings or traffic signs, without supplementary geographical information using an onboard camera, and without training on human-rated judgments. The proposed fog density and visibility predictor makes use of only measurable deviations from statistical regularities observed in natural foggy and fog-free images. Perceptual "fog aware" statistical features are derived from a corpus of natural foggy and fog-free images by using a spatial NSS model and observed fog characteristics including low contrast, faint color, and shifted luminance. The proposed model not only predicts perceptual fog density for the entire image but also provides local fog density for each patch siz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against human judgments regarding fog visibility, we executed a human subjective study using a variety of 100 foggy images. Results show that the predicted fog density of the model correlates well with human judgments. The proposed model is a new fog density assessment work based on human visual perceptions. We hope that the proposed model will provide fertile ground for future research not only to enhance the visibility of foggy scenes but also to accurate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defog algorithms.

Investigation on Cloud Properties for Fog Modification at Daegwallyeong Mountains (대관령 산악지역 안개조절을 위한 구름특성 조사)

  • Yang, Ha-Young;Oh, Sung-N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5 no.2 s.17
    • /
    • pp.45-56
    • /
    • 2005
  • Cloud meteorological properties over Daegwallyeong mountain area were analyzed for experimental cloud seeding which related to a feasibility study of fog modification. The cloud seeding for fog modification has been refocused to using hygroscopic chemical to dissipate warm fog. In this study, the statistics of fog observation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Fog properties mostly showed the Summer warm fog, the early morning occurrences before to 6 o'clock AM, and 7 to 9 o'clock dissipation in the statistics. In the Spring and Winter season an easterly wind produced cold fog which is good applied with AgI seeding agents. Extrapolation of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suitable seeding method and material for fog modification will be introduced from the actual seeding experiments in the cold and warm fog.

색상 분석, 보정을 이용한 안개 제거 알고리즘

  • Eom, Tae-Ha;Lee, Geun-Min;Kim, 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19-2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Intensity와 색상의 채도 분석을 통한 안개 강도 측정과 제거, 그리고 색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영상에서 안개가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을 히스토그램을 통해 분석하고 안개 강도 맵을 만들어 안개의 양에 따라 안개를 제거한다. 안개로 인하여 악화된 영상의 색상은 HSI 공간에서 분석하여, 안개 강도에 따른 보정을 한다. 색상뿐만 아니라 전달량에 따른 Intensity를 보정하여 영상의 전체적인 밝기와 Contrast를 향상시킨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의 기법들과 비교하여 색상의 편향성을 보정하여 가시성뿐만 아니라 영상 내에 색상이 자연스럽게 조화된 결과를 얻었다.

  • PDF

색상 보정을 이용한 안개 제거 알고리즘

  • Eom, Tae-Ha;Lee, Geun-Min;Kim, 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19-2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한 안개 강도 측정과 제거, 그리고 HSI채널에서 색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영상에서 안개가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을 히스토그램을 통해 분석하고 안개 강도 맵을 만들어 안개의 양에 따라 안개를 제거한다. 안개로 인하여 악화된 영상의 색상은 HSI 공간에서 분석하여, 안개 강도에 따른 보정을 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의 기법들과 비교하여 색상의 편향성을 보정하여 가시성뿐만 아니라 영상 내에 색상이 자연스럽게 조화된 결과를 얻었다.

  • PDF

Analysis of Hazardous Fog and Index Development in Korea (도로상 위험안개의 특징분석 및 발생지표의 개발)

  • 조혜진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4
    • /
    • pp.478-489
    • /
    • 2003
  • The existing researches related to the fog have focused on mainly the fog itself and its spatial variation. This study defined the hazardous fog as the fog with visibility under 500 m which caused the severe dangerous situation on roads and might cause traffic accident due to insufficient visibilit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hazardous fog index which quantified the degree of danger and included frequency of fog, visibility and its duration. We applied the index to 3 years weather station data in Korea and the results showed the distribution of the hazardous fog and their priority in terms of safety management. This was the first study that introduced the fog index in Korea and that quantified the degree of hazardous fog. These application results were useful for identifying the dangerous area due to hazardous fog and contributing to ensure the safety of eventual road users and road authorities.

Single Color Image Based on Fog Degree Measurement (Single Color Image의 안개 정도 측정 방법)

  • Lee, Geun-Min;Kim, wo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260-263
    • /
    • 2017
  • 본 논문은 single image에서 측정한 빛 전달량 값과 local contrast 값을 사용하여 안개 량을 수치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빛 전달량 값을 사용하여 안개로 예측되는 지역을 추정하고, 추정된 안개 예측지역의 넓이와 해당 지역의 local contrast 크기의 범위를 사용하여 안개 정도를 수치화 한다. single image에서 측정 가능한 안개 의 물리적 특성들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안개 검출 알고리즘들이 구분하지 못했던 영상들에서도 안개 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였다. 실제 빛의 산란 정도를 측정하는 감광 계수 측정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안개 량과 제안하는 방법의 수치를 비교했을 때, 다양한 환경과 물체를 포함한 영상들에서 95%이상의 정확도로 안개 정도를 수치화 하였다. 또한 빛 전달량 추정 과정에서 local contrast 값을 추출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빛 전달량을 측정하는 방법에서 복잡도를 거의 증가시키지 않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