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학궤범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문묘제례악 소(簫)의 유입과 변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A Historical Study on the Influx and Change of the 'So'(簫) used in Confucian Shrine Ritual Music)

  • 조석연
    • 공연문화연구
    • /
    • 제35호
    • /
    • pp.441-470
    • /
    • 2017
  • 본 논문은 문묘제례악 소의 유입과 변화에 관한 세 가지 쟁점을 다루었다. 첫째, 현재 문묘제례악에서 사용되고 있는 쌍날개 악학궤범가(架)형의 악기는 1116년(예종 11) 송나라 대성아악이 유입될 때 함께 들어온 형태가 아니라, 공민왕 19년 명나라로부터 들여온 원나라 형태의 소이다. 대성아악이 들어온 고려 예종 당시의 송나라에는 쌍날개 악학궤범가형의 배소가 아직 존재하지 않았으며, 이는 원나라 때 처음 등장한다. 이후의 시기인 공민왕 때 '소'와 함께 '배소'라는 이름의 새로운 악기명이 처음으로 등장하는데, 이러한 연유로 해서 이 '배소'가 지금의 쌍날개 악학궤범가형의 악기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둘째, "악학궤범"에 기록된 조선시대 소의 형태는 비록 중국의 것을 따르고 있지만, 그 음고와 배열은 12율 4청성의 음역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음률이 높아지는 배열로 현재까지 그 원형의 맥을 잇고 있다. 중국의 16관 배소는 12율 4배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우로 8율과 8려로 나뉘어져 있다. 그러나 한국의 쌍날개 악학궤범가형 16관 배소는 12율 4청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율관의 길이와는 무관하게 좌에서 우로 황종부터 청협종까지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셋째, 1930년대에 이르러 '악학궤범"과 전체적인 형태는 같으나 관 사이가 붙은 것과 관 사이가 떨어진 것으로 존재하였고, 이후로는 현재 경북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것과 문묘제례악에 사용되는 악기에서 보듯 관 사이가 떨어진 악기만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문묘제례악에서 사용되고 있는 관 사이가 떨어진 형태는 악기학적 관점에서 볼 때 퇴보한 형태이며, 역사적으로도 연결고리를 갖지 못한다. 어떠한 연유로 소가 이처럼 변모하였는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악기학적이고 역사적인 관점에서 "악학궤범"의 우리화(化)된 소의 형태를 다시금 정립하는 것이 마땅하다 할 것이다.

조선시대 연회도에 나타난 '처용무' 복식 - "악학궤범" 처용무 복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eoyongmu's costume of the paintings of Banquets during the Ch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Cheoyongmu's costume in Akhakgwebeom -)

  • 김문자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4호
    • /
    • pp.112-12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Cheoyongmu's costume of the paintings of Banquets during the Ch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Cheoyongmu's costume in Akhakgwebeom. The method of the study is the literature analysis closely the occurrence, feature, and function of the Cheoyongmu by analyzing the costume process of transition of the eras was analyzed into the function and feature. The research was don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he costume in Akhakgwebeom. In term of difference, of the Cheoyongmu's costume of the paintings of Banquets and Akhakgwebeom had the shape and colour. In headgear, Samo(: 紗帽) or Bokdu was worn and the flower decoration on the Samo and Ui(:衣)was different pattern. The Gilgyong(:吉慶) was not worn. Hye(: 鞋) and Hwa(:靴) was worn and the colour of Hwa was different.

동양 철학에서의 소리의 속성과 감성 유형 - 중국의 악론과 조선의 천기론을 중심으로 (Attributes of sound and emotional type in the Eastern philosophy - Focused on Chinese Akron(樂論) and Chosun Chongiron(天機論))

  • 길태숙
    • 감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215-22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악기"의 성유애락론과 이를 비판적으로 논의한 혜강의 성무애락론, 조선시대의 "악학궤범"과 천기론을 주장한 일련의 학자들의 이론을 통해서 한국인 혹은 동양인의 사고에 전통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소리와 감성의 속성 및 그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를 통해서는 애심, 락심, 희심, 노심, 경심, 애심(哀心, 樂心, 喜心, 怒心, 敬心, 愛心)의 여섯 가지 감성과 관련된 각각의 소리에 대해 고찰하였다. 소리는 객관적 외물일 뿐이지 마음의 형이 아니라고 주장한 혜강의 논의를 통해서는 그가 맹정(猛靜), 단복(單複), 서질(舒疾), 고비, 선악(善惡)으로 규정한 소리의 속성이 크기(loudness), 세밀성(sharpness), 피치(pitch), 거칠기(roughness), 요동강도(fluctuation strength), 쾌적감(pleasantness) 등과 대응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악학궤범"을 통해서는 당시 조선 유학자들의 소리와 감성에 대한 사고가 "악기"를 기본으로 한 유가적 악론과 음률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확인하고, 천기론을 통해서는 천기를 통해 발현된 소리와 감성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동양인의 의식에 내재된 소리와 감성의 관계에 대한 분석은 한국인 혹은 동양인의 감성에 기반한 소리 유형 분석의 기초가 됨으로써 여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악학궤범(樂學軌範)』 도식화의 '둥근깃형 포류(袍類)' 연구 (Study on the 'Round Collar Po(袍類)' Illustrations of 『Akhak-gwebeom(樂學軌範)』)

  • 고윤정;조우현
    • 복식
    • /
    • 제65권4호
    • /
    • pp.1-18
    • /
    • 2015
  • The subject of study is about the illustrations of the round collar Po(袍類) in the Akhak-gwebeom(樂學軌範) which was published in 1493. These illustrations are painted records of what musicians and dancers in the palace were wearing during performances. While each illustration of the Po is similar in that they all have round collars, each has a different name Sam(衫), Ui(衣), Dallyeong(團領)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these features were analyze in the study. Sam refers to the Gongbok(公服) as it has long and big sized sleeves, Ui is the word used to represent the basic unit of outerwear, and Dallyeong is believed to refer to the Sibok(時服) and Sangbok(常服). In the formative aspects, Sam's auxiliary sleeve is one of the ways wearing the sleeve of innerwear shown outward and it's assumed to have been produced for visually matching the formal look as well as the convenience free to use of hands. The Mu of Dan-ui(丹衣) is less than the number of the excavated artifacts, it produced in a relatively simplified form. Also, illustration of Dallyeong corresponds to the artifacts and configuration of the 15th to 16th centuries, the costume culture of that time seems to be reflected specifically. While Hyungbae(胸背) used in the form of rectangles and circles such as petals. it tried to represent the country at the official event by borrowing the upper class in the costume that musicians and dancers wear, also showed the rank and social status symbolically by having the differences in the shape and pattern. While the costume culture at the time is reflected, it can be found that the objective of raising the country's dignity is implied by transforming the detailed structure for the practicality, borrowing the costume elements of the high social status and transformed them.

조선시대 연화대무 동기복식 고증 및 재현 (The Costume of Young Girls Damcers is Yon Wha Dae Moo of Chosun Dynasty)

  • 김경실
    • 복식
    • /
    • 제52권6호
    • /
    • pp.1-13
    • /
    • 2002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stumes of young girl dancers in Yon wha dae moo(연화대무: Lotus Stage dance) which were documented on the Ak-hak-guae-bum(악학궤범: Protocol of music) and the Jin-yeon-eui-guae(진연의궤: Archives of Royal Feast). The fashion of the costumes can be changed into three phases, based mainly on the changes of Hap-rip(합립: silk hat), Dan-eui(단의: long jacket) and Sang(상: apron type skirt). In the first phase the costume consisted of Hap-rip, round neck-line Dan-eui and tiered skirt decorated with pleat and Yu-so(유소: decorated cords). In the second phase. it consisted of Hap-rip, v-shape neck-line Dan-eui and skirt without pleat. In the third phase, it consisted of Yeon-wha-gwan(연화관: Lotus shape cap), round neck-line Dan-eui of later era and skirt with pleat and Yu-so. Yon-wha-dae dance appears to be adopted from Ja-ji-mu( 자지무: chinese dance) that originated in West and Central Asia. In both dances. young girl dancers danced mainly jump and spin. The costume of round neck-line Dan-eui seems to have been affected by the fashion in Dang Dynasty when young girls loved to wear Dan-ryung(단령: male coat with round neckline). And it satisfied the need of mobility for the dance which was Performed mainly with jump.

"황제내경(黃帝內經)"과 "악학궤범(樂學軌範)"의 오음(五音과 오성(五聲)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O-eum(五音) and Oseong(五聲)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nd "Akhakgwebeom(樂學軌範)")

  • 백유상;장우창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03-117
    • /
    • 2008
  • At first, we explained concepts of Oseong(五聲) in "Akhakgwebeom(樂學軌範)" and then compared them with O-eum(五音)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In that progress we can have recognized the commonnes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texts, and became familiar with ideas of sounds in minds of ancients. That ideas are concerned with true nature of human and cosmos. Based on that ideas, we could return to stasis of mutual understanding with each other, it means a condition of harmony. For that purpose we must understand detail meanings of O-eum(五音) and Oseong(五聲), and this analysis lead clinical music therapy to do an important thing as methodology of treating human body and minds. The ideas of O-eum(五音) in "Akhakgwebeom(樂學軌範)" are not exactly corresponded to vocalization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that is Korean characters, and Oseong(五聲)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But this dissonancy is a problem of methodology, on the contrary, there are many common concepts and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to practical uses between them.

  • PDF

시조와 궁중 악장의 관계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Sijo with Akjang)

  • 조규익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5집
    • /
    • pp.145-174
    • /
    • 2006
  • 이 논문은 시조와 궁중악장의 관련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본 결과다. 조선시대에도 민간음악과 궁중음악의 교섭은 활발했다 정치적 목적이 전제된 일이긴 하나 순조 대에 대거 시행된 각종 진연 진작 등 예연의 정재들에 민간음악의 대표격인 가곡이 도입된 것은 괄목할만한 일이었다. 가곡의 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노랫말은 시조였다. 조선조 후기의 각종 예연에 명시적으로 사용된 시조는 분명 '민간음악이 궁중악으로 도입된' 모범적 사례로 들 수 있을 것이다. 고려 시대의 각종 정재들이 조선조에도 거의 그대로 수용되었고, 자연스럽게 그것들에 올려 부르던 대부분의 속악가사들도 답습되었다. 그 가운데 <북전>은 <정과정>을 올려 부르던 진작조로 가창되었다. 그런데 $\ulcorner$악학궤범$\lrcorner$에 실린 <북전>은 3강 8엽의 '장가'이나, $\ulcorner$금합자보$\lrcorner$$\ulcorner$양금신보$\lrcorner$에 실린 그것들은 시조 형태의 비교적 '짧은 노래들'이다 조선 초기 어느 시점부터는 시조시형이 궁중악의 노랫말로 도입되었음을 암시한다. 특히 <북전>은 시조 형태의 노랫말로 교체된 후 조선조 후기까지 지속되었다. 이렇게 <북전>은 고려조 이래 최소한 조선조 전기까지는 궁중에서 사용되던 노래였고. 이것이 민간으로 번져 나가 가곡의 레퍼터리 안에 정착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장가 북전>이 <단가 북전>으로 바뀐 것은 사실상 민간의 음악이 궁중 음악에 영향을 준 결과로 보아야 한다. 어전풍류(御前風流)의 송도지사(頌禱之詞)였던 <북전>(<후정화>)이 조선 전기에는 곡연(曲宴) 관사(觀射) 행행(行幸)에는 물론 정전에서 임금과 신하가 만날 때에도 사용되었다. 이런 점은 가곡으로 편입, 조선조 후기까지 지속된 우리말 노래가 원래 궁중악으로도 쓰였다는 사실의 단서라고 할 수 있다. 엄격한 틀을 벗어날 수 없었고. 궁중악과 민간음악은 확연히 구분된다고 생각해왔던 종래의 상식과 다른 점을 시조시형과 악장의 관계에서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 PDF

조선 전기 정읍의 노래 복원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Jeongeup(井邑))

  • 문숙희
    • 공연문화연구
    • /
    • 제34호
    • /
    • pp.241-27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대악후보"에 악보로 실려 있는 정읍을 부를 수 있는 노래로 복원해 보았다. 먼저 "대악후보" 정읍의 리듬을 찾아 선율을 복원하였고, 복원된 선율에 "악학궤범"의 정읍 가사를 붙여 보았다. 그리고 복원된 정읍이 어떤 음악적 스타일인지도 살펴보았다. 정읍의 리듬은 진작 리듬과 같은 3소박 4박자로 나타났다. 그것은 정읍 장단이 진작 장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읍의 장단은 장고점이 한 마디에 한 점씩 나오는 장단인데, 한 박이 3소박으로 되어 있는 점과 한 마디에 장고점 한 점씩 나오는 점은 오늘날의 수제천에 그대로 전해졌다. 정읍의 가사는 같은 장단인 진작1,2와 횡살문을 따라 붙여 보았다. 그 가사붙임에는 다음과 같은 원칙이 나타났다. 가사 한 음보는 선율 두 마디에 붙고, 어단성장이 있으며, 길게 지속하는 음은 어단성장의 장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고, 가사는 주로 마디의 첫 음에서 시작되었다. 정읍의 음악적 스타일은 기본적으로 장단이 비슷한 진작1과 비슷하나 약간의 차이는 있다. 가사에 비해 선율의 길이가 매우 길고 같은 음을 길게 지속하는 어단성장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점에 있어서는 비슷하다. 그러나 한 가사를 길게 지속할 때 정읍은 간음을 많이 사용하지만 진작은 시김새를 사용하는 점에 있어서는 다르다. "대악후보"에 기보되어 있는 정읍은 이미 변화를 겪어 원 노래에 비해 리듬이 두 배 또는 네 배로 팽창된 것으로 보인다. 리듬이 팽창된 것은 이 노래가 무고 정재의 반주곡으로 사용된 후 무고 무용에 맞추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 중기 국왕의 음악정책 - 성종·중종·인조를 중심으로 - (The Music Policies of the Kings of Joseon Dynasty - Focus on Seongjong, Jungjong, and Injo -)

  • 송지원
    • 공연문화연구
    • /
    • 제34호
    • /
    • pp.315-353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15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약 200여년 사이에 집권했던 세 왕, 성종과 중종, 인조의 음악정책을 살펴보았다. 이 세 왕은 각각 다른 이유에서 음악사적으로 주목을 요한다. 성종은 조선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예서, 법전, 악서의 전형인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1474), "경국대전(經國大典)"(1476), "악학궤범(樂學軌範)"(1493)을 편찬하여 그가 펼친 음악정책의 방향에 대해 조명할 필요가 있다. 중종은 연산군의 폭정을 못 견디어 신하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왕으로 추대된 후 대비의 승인을 얻어 왕위에 오른 경우이며, 인조는 직접 군사를 일으켜 집권하여 반정(反正)에 의해 즉위했다. 반정에 의해 즉위한 왕이 전개한 음악정책의 양상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다. 이처럼 세 왕 모두 즉위의 배경이 각 다르고 그 왕대에 펼쳐진 음악정책의 내용 또한 다른 강조점을 두고 전개되므로 각각의 양상에 대해 별도로 고찰하였다. 성종은 악(樂)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음률을 깨친 관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예조에 특별한 전지(傳旨)를 내렸다. 그 내용을 먼저 밝히고자 하였다. 또 의례에서 사용하는 노랫말의 개정 논의와 관련되어 이루어진 여러 개편 작업들의 과정과 내용, 의미를 살펴보았다. 중종은 음악의 제도적인 면을 많이 보완하였다. 이는 연산군 대에 변칙적이고 방만하게 이루어진 음악관련 정책을 바로잡고자 하는 의지 표명의 결과이다. 또 노랫말이 불도(佛道)에 관계되는 말, 남녀상열지사를 다룬 말이 많아 이를 혁파하고자 하는 정책이 펼쳐졌다. 인조 대는 전란 이후의 상황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펼쳐진 음악정책을 살펴보았다. 두 차례의 전란 이후 악공과 악생이 흩어져 국가제사도 제대로 갖추어 올리지 못하던 시기이므로 이 시기의 음악정책은 안정기와는 다른 방식으로 정책이 펼쳐진다. 이와 함께 병자호란 이후 소실된 악기와 흩어진 음악인들의 수습을 위해 어떠한 조치가 취해지는지 논의하였다. 아울러 제사에서 쓰이는 음악이 폐지된 상황에서 그 복구 노력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