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악취환경정보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Quick VOC Load Equalizer & Quick BioFilter (신개념의 VOC/악취 처리시스템 QVE and QBF)

  • Park, Yong-Seok;Hwang, Yeol-Su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6 no.7_8
    • /
    • pp.51-54
    • /
    • 2004
  •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90년대 초반부터 악취문제가 점차 사회적인 관심거리로 등장하게 되었다. 1995년 대기환경보전법상에 휘발성유기화합물질 규제 규정을 신설하였으며 1996년에 여천지역을 환경오염으로 인한 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하였다.<중략>

  • PDF

Evaluation of Odor Active Compounds using Cryofocusing - GC/FID/Olfactometry (Cryofocusing-GC/FID/Olfactometry를 이용한 악취원인물질 평가)

  • 김만구;정영림;서영민;윤인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75-176
    • /
    • 2001
  • 악취는 대기오염의 한 형태이며, 대개는 신체적 장해가 나타나기 이하의 농도에서 피해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대기오염의 전구적 현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현재 알려져 있는 화합물은 약 200만 가지로, 그 중에 약 40만종이 냄새가 있다고 한다. 냄새는 후각을 화학적으로 자극하여 원거리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 후각은 냄새의 질과 세기를 종합적 혹은 분석적으로 식별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냄새 물질은 여러 가지 특성을 갖는데, 대부분의 악취는 특정한 몇 가지 냄새나는 물질에 의한 것이 아니라, 많은 물질을 포함하는 다성분계이다. (중략)

  • PDF

A study on identifying factors of poultry complex odor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기계학습 모형을 이용한 양계 복합 악취의 요인 파악에 대한 연구)

  • Doyun Kim;Jaehoon Kim;Junsu Park;Siyoung Seo;Jaeeun Kim;Byeong-jun Yang;Tae-Young He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7 no.4
    • /
    • pp.485-497
    • /
    • 2024
  •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the number of livestock is increasing, and the corresponding odor is recogniz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particular, the consumption of poultry meat, such as chicken, duck, and turkey, is expected to rise steeply, making odor problems near poultry farms. To address the problem,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odor components on the complex odor. In this study, the odor data obtained from poultry farms were used to predict the complex odor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components. Furthermore, we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the odor components at the site boundary, compost site, inside the farm, and outside the farm using analysis of variance. The analysis showed that ammonia, trimethylamine, dimethyldisulfide, and acetaldehyde have a high effect on the complex odor. In particular, ammonia, trimethylamine, and acetaldehyde have different amount of the occurence by the l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