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악성전이

Search Result 47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afety Verification System for Application Software (응용 소프트웨어 안전성 검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Soh, Woo-Young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8 no.4
    • /
    • pp.191-197
    • /
    • 2008
  • A safe computer environment is necessarily required for computer users, because of a damage is widely increased by a malicious software such as the warm, virus and trojan horse. A general vaccine program can detect after the malicious software intruded. This kinds of the vaccine program show good result against a malicious code which is well known, however, there is no function in the vaccine or not enough ability to detect an application software which a malicious code included. So, this paper proposes an application verification system to decid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a malicious code in the application software. The proposed application verification system with a mechanism that grasps the flow type of malicious code, can make a reduction of a damage for computer users before the application software executed.

  • PDF

악성코드 유포사이트 탐지 기술 동향 조사

  • Sungtaek Oh;Sam-Shin Shin
    • Review of KIISC
    • /
    • v.33 no.1
    • /
    • pp.77-88
    • /
    • 2023
  • 인터넷 사용매체 및 네트워크 접속방법이 다양해지면서 인터넷 사용량은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은 현대사회에서 꼭 필요한 자원이지만 악성코드, 스팸, 개인정보 유출 등 이를 악용한 범죄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유행중인 코로나로 인해 관련된 접종정보, 동선, 재난문자 등으로 위장한 피싱 공격도 증가하고 있다. 대다수의 공격자들은 사이버 범죄를 저지르기 위해 악성코드 유포사이트를 통해 악성코드를 유포한다. 이러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선 악성코드 유포사이트에 대한 초기 대응이 필수이며, 사용자가 악성코드 유포사이트에 접근하기 전에 차단할 수 있는 실시간 탐지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탐지 기술 중 URLDeep, POSTER, Random-Forest, XGBoost와 같은 기계학습을 이용한 탐지 기술의 연구동향을 조사하였다.

A Study On Malicious Script Detection using Text Categorization (문서분류기법을 이용한 악성 스크립트 탐지)

  • 신대현;위규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514-516
    • /
    • 2002
  • 본 논문은 스크립트 호스트 모니터링을 통한 정보검색 기법인 유사도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악성 스크립트 탐지에 관한 연구이다. 스크립트 호스트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스크립트가 실행되기 전에 스크립트를 가로채고 알려진 악성 스크립트와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악성 여부를 판단한다. 소스기반의 빠른 탐지와 유사 변명의 악성 스크립트 탐지가 가능하며 악성행위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보고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 PDF

A Study on Malware Program Detection in Mobile Game (모바일 게임에서 악성 프로그램 탐지에 관한 연구)

  • Kim, Hyo-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1a
    • /
    • pp.153-154
    • /
    • 2018
  • 전 세계 모바일 게임 소비 시장의 증가와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랜섬웨어와 같은 악성 프로그램들이 악의적인 목적을 위하여 모바일게임 시장에 피해를 주는 사례들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도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게임을 이용한 악성코드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4차 산업의 가장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의 학습기술에 악성코드 분석기술을 연계시켜 새로운 모바일 악성코드 탐지와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PDF

Behavior based Malware Profiling System Prototype (행위기반 악성코드 프로파일링 시스템 프로토타입)

  • Kang, Hong-Koo;Yoo, Dae-Hoon;Choi, Bo-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376-379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악성코드는 하루 100만개 이상이 새롭게 발견되고 있으며, 악성코드 발생량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공격자는 보안장비에서 악성코드가 탐지되는 것을 우회하기 위해 기존 악성코드를 변형한 변종 악성코드를 주로 이용한다. 변종 악성코드는 자동화된 제작도구나 기존 악성코드의 코드를 재사용하므로 비교적 손쉽게 생성될 수 있어 최근 악성코드 급증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량으로 발생하는 악성코드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행위기반 악성코드 프로파일링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동일한 변종 악성코드들은 실제 행위가 유사한 특징을 고려하여 악성코드가 실행되는 과정에서 호출되는 API 시퀀스 정보를 이용하여 악성코드 간 유사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사도 결과를 기반으로 대량의 악성코드를 자동으로 그룹분류 해주는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악성코드 그룹별로 멤버들 간의 유사도를 전수 비교하므로 그룹의 분류 정확도를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실제 유포된 악성코드를 대상으로 악성코드 그룹분류 기능과 정확도를 측정한 실험에서는 평균 92.76%의 분류 성능을 보였으며, 외부 전문가 의뢰에서도 84.13%로 비교적 높은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Case Report of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in an Oral Lichen Planus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구강편평태선 환자에서 발생한 암종의 증례보고 및 문헌 고찰)

  • Lim, Hyun-Dae;Lee, You-M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4 no.1
    • /
    • pp.49-54
    • /
    • 2009
  • Lichen planus is a relatively common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involving the skin and mucous membranes showing small flat polygonal papules. The accurate etiology is unknown but it's suggested that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to an induced antigenic changes in skin or mucosa. Oral lichen planus was regarded as an benign lesion but oral lichen planus was classified as premalignant lesion by WHO criteria. It was not known that progress of malignat transmmission in the the patient with oral lichen planus, and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including oral lichen planus showed malignacy in oral cancer unrelated common risk factors(Ex: tabacco, alcohol). Although malignant development in the patient with oral liche planus was various greatly in the literature, from 0.5% upward to 5%. It has been reported that a specific clinical type of oral lichen planus, hyperkeratotic or erosive had a higher chance of transformation into an squamous carcinoma. Clinician has to follow-up check of at least one or two visit per year to detect of malignancy of oral lichen planus and improved prognosi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At this case with the middle aged women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developed from oral lichen planus of more than a decade of persisting, we try to discuss the malignacy of oral lichen planus and cosideration with follow-up.

모바일 인터넷 정보보호를 위한 모바일 악성코드 동향 분석

  • Sim, Jae-Hong;Lee, Seok-Rae
    • Review of KIISC
    • /
    • v.19 no.6
    • /
    • pp.41-48
    • /
    • 2009
  • 최근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 이용인구의 증가에 따라 스마트폰과 모바일 악성코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심비안, 윈도우 모바일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600여종의 모바일 악성 코드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국내 모바일 악성코드의 발생에 대비하기 위하여 해외 현황 및 주요 침해사고 유형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Scenario-based Detection Algorithm of the Portent of Malware Attacks (시나리오 기반의 악성코드 공격 징후 탐지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Kim, Hyo-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379-380
    • /
    • 2014
  • 최근에 가장 대표적인 사이버 공격 방법이 악성코드를 사용한 공격 형태이며, 이에 대한 피해사례도 지속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악성코드를 이용한 사이버 공격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기존 탐지방법의 한계점을 분석하여 개선할 수 있는 증상 기반의 탐지방법과 상태 전이 개념을 도입한 시나리오 기반의 공격징후 탐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for Reconstruction after Wide Resection of Soft Tissue Sarcoma (악성 연부조직 종양의 광범위 절제 후 전외측 대퇴부 유리 피판을 이용한 재건술)

  • Park, Jong-Hyuk;Lee, Hyung-Seok;Kim, Jung-Ryul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4 no.2
    • /
    • pp.119-124
    • /
    • 2008
  • Purpose: To present our experience with soft tissue reconstruction using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after resection of soft tissue 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of 2003 and June of 2007, we treated 7 patients with soft tissue reconstruction using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after wide resection for soft tissue sarcoma.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ype and size of tumors, resection margin, size of defect after resection, time of operation, flap survival and complication. Results: The type of sarcoma was 3 synovial sarcoma, 2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1 leimyosarcoma and 1 fibrosarcoma. The size of tumor varied from $3{\times}5\;cm$ to $7{\times}8\;cm$. The resection margins of tumors were negative in all cases. The size of soft tissue defect after resection varied from $6{\times}8\;cm$ to $15{\times}10\;cm$. The mean time of operation was 3.6 hours. All flaps were survived. Conclusion: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appear to be ideal for reconstruction after wide resection of soft tissue sarcoma.

  • PDF

A Case of Malignant Hemangiopericytoma in Face (안면부에 발생한 악성 혈관외피세포종 1례)

  • Chang Hang-Seok;Chung Woung-Youn;Park Cheong-Soo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4 no.1
    • /
    • pp.99-102
    • /
    • 1998
  • 혈관외피세포종(Malignant hemangiopericytoma)은 난원형의 혈관외피세포(pericyte)들로 구성된 매우 드문 혈관종의 일종으로 대개 사지 및 후복막에 발생되며, 안면부와 경부에도 약 25%가량의 발생율이 보고되어 있다. 성별 발생빈도의 차이는 없고 $20{\sim}50$대에서 호발하며, 종양은 대부분 서서히 성장하고 경계가 명확한 무통성의 고형 종괴로 나타난다. 악성과 양성의 구별은 조직학적 소견과 주변 조직으로의 침습, 원격전이 여부 등을 고려하여 판단하지만,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에도 수년 내에 재발 및 원격전이가 나타나는 경우가 다수 보고되므로 악성과 양성의 감별이 매우 어렵고. 양성인 경우에도 악성 잠재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치료는 수술적 완전절제가 유일한 방법이나 절제가 불완전한 경우는 수술 후 외부 방사선 조사를 한다. 항암제 투여는 효과면에서 논란이 있지만, 원격전이나 수술과 방사선 치료가 실패한 경우 시행할 수 있다. 저자들은 최근 안면부에 발생한 악성 혈관외피세포종 환자 1예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