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악기

Search Result 91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reating Virtual Musical Instruments for Computer (컴퓨터를 위한 가상악기 제작)

  • Yun, Yoe-M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134-136
    • /
    • 2012
  • 본 논문은 컴퓨터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 악기 제작에 관한 연구이다. 가상악기는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악기를 디지털로 복원하는 것에서부터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악기를 창조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과 쓰임이 매우 다양하다. 가상악기의 등장은 전통적인 음악제작의 틀을 유지하면서 보다 쉽고 빠르게 음원을 제작하면서도 창의적인 음악의 발전을 유도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기타(Guitar)의 한 음(미, E)을 녹음하여 컴퓨터에서 여러 음정으로 자유롭게 바꾸어 사용하고, 원음과는 전혀 다른 전자 바이올린 소리로 완성해 가는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 PDF

사물놀이 악기소리와 인간의 목소리 주파수 대역

  • 손정호;배명진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1 no.6
    • /
    • pp.63-74
    • /
    • 2004
  • 한국의 오랜 역사와 전통속에서 우리 한국인에게 계속해서 사랑 받아오고 있는 전통국악기들이 많이 있다. 이들 가운데 최근에 와서 더욱더 민중들에게 인기 있는 사무놀이 악기가 있다. 즉, 필자는 사물악기인 꽹과리, 징, 장구, 북 에 대해서 이들만이 갖고 있는 고유 특성 주파수를 찾아내어 우리 국악 악기들의 정체성을 밝혀내어 다음 세대에 우리 전통 악기의 제작에 필요한 악기별 기술기준 데이터로 필요한 고유 주파수를 분석하고 있다.(중략)

  • PDF

Intelligent Self Learning System for Keyboard Instrument using a Smart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지능형 건반악기 자율학습 시스템)

  • Kim, Young-Geun;Kim, Won-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9 no.9
    • /
    • pp.999-1004
    • /
    • 2014
  • This intelligent keyboard instrument self learning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smartphone based learning application and keyboard-instrument auxiliary module. The keyboard instrument auxiliary module receives playing information of the instrument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 and bluetooth communication. Then the module shows it through LED display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board and scale could be easily recognized even for beginners. Also, this system provides saving function and analyzing function of user's performance data, making learning more effective.

Consideration of Korean Ajaeng and Chinese Yazheng Based on Organology (한국 아쟁(牙箏)과 중국 알쟁(軋箏)의 악기학적 고찰)

  • Lee, You-Jung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7
    • /
    • pp.217-226
    • /
    • 2020
  • Ajaeng is the bowed string instrument among zither instruments in East Asia, which has a circular form to date, and it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important instrument in today's creative Gugak along with traditional music. Looking at previous prior studies, musical instrument studies have not been actively conducted due to insufficient data from musical history studies, and this study looked at the origin, form of musical instrument, and performance methods of zither bowed string instrument through historical records of Chinese Yazheng and music drawings. The analysis of various documents showed that Ajaeng originated from an ancient Chines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called Chuk. In terms of the performance style, the Chinese Yazheng had different musical form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location of the performance, and there was a method of standing up and fixing the musical instrument horizontally to the ground. Ajaeng in Korea has been handed down without much change in the form of musical instruments introduced in China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the way they sit on the floor and play on a pedestal.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it will help to preserve and develop traditional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by enhancing understanding of musical.

Development of a Self Instrument Learning Tool Using an Electronic Keyboard and PC Software (전자건반악기를 이용한 악기 자율학습기 개발)

  • Lim, Gi-Jeong;Lee, Jung-Chul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1
    • /
    • pp.51-62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lf instrument learning tool using a PC-based software and an external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with USB interface to help primary school students to learn playing piano more easily and effectively. The PC-based learning software and the external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interact through the USB interface. This tool has a help window to provide information how to play and support interesting game mode for exercise. The external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receives a selective information through the USB interface and display it on LEDs and 7-segment for novices to easily know the relation between the notes and the positions in the keyboard. The external keyboard instrument can detect false inputs, display them on LEDs and on the information window. We implemented a self instrument learning system and our feasibility tests showed its validity of the self learning tool to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Musical Instrument Interface Using the Real-time arrangement of notes (실시간 음 재배치를 이용한 악기 인터페이스 -The Chords: 누구나 쉽게 연주할 수 있는 뉴미디어 악기-)

  • Koo, Ja-Ok;Ahn, Jae-H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373-377
    • /
    • 2009
  • 악기 연주는 장시간의 꾸준한 학습이 필요하다. 피아노나 기타와 같이 박자와 가락을 동시에 연주 할 수 있는 악기는 다양한 표현을 낼 수 있지만 그만큼 학습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 본 논문은 악기 연주에 대한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특히, 사용자가 악기 연주를 학습하는 것에 긴 시간과 많은 노력을 투입하지 않고, 전문 지식 없이도 중급 이상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제안된 악기 인터페이스는 음악 코드를 선택하는 코드선택기와 실질적인 연주가 이루어지는 건반으로 구성되어있다. 코드선택기는 사용자가 코드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음들을 건반에 배치하며, 이후 진행할 수 있는 후보코드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건반은 사용자의 연주를 미디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두 장치는 사용자가 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는 가락을 만들고 진행하는 부분에 대해 좀더 쉬운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itch Detection Algorithm for the Tuning of Musical Instrument (악기 튜닝을 위한 피치 검출 알고리즘)

  • Lee Gang Seo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537-54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악기 피치 검출에서 샘플링 오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보간법을 적용한 피치 검출 실험 예를 소개한다. 악기의 피치 검출과 음성의 피치 검출의 차이점을 보이고 그 처리 절차를 소개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으로 검출된 피치를 이용하여 악기가 연주되고 있는 음정을 추정하여 음표로 변환한다. 단선율의 솔로 악기 연주 파일(.wav)을 미디 파일로 변환하여 구현된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Virtual Instrument System Using 3-demensional Acceleration Sensors and Digital Signal Processor (3차원 가속도 센서와 DSP를 응용한 가상 악기 시스템 개발)

  • Lee, Hui-Sung;Son, Dong-Kwan;Noh, Young-H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982-987
    • /
    • 2006
  • 고전의 관현악기에서부터 현대의 각종 전자악기까지, 인류는 그 문화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악기를 개발하고 활용하였다. 최근에는 전기전자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센서와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여러 가지 음색과 효과를 내는 악기가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사람의 움직임을 직접 감지해서 음악적 도구로 활용하는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이를 위해 터치 센서(touch sensor), 비젼 센서(vision sensor), 자기장 센서(magnetic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등이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센서 기술로는 사람의 움직임과 관련된 위치, 속도, 가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직접 추출하기가 어렵고, 구현된 시스템도 공간의 제약을 받거나 혹은 구현된 부피가 크거나 복잡한 구성형태를 지니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움직임과 관련된 가속도 정보를 직접 감지해서 새로운 형태의 악기로 활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고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6개의 가속도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과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활용 기술, Max/MSP 활용 기술이 응용 되었으며, 소형의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시그널 컨디셔닝(signal conditioning) 회로와 DSP 보드를 자체 개발하였다. 실험을 통해 사람의 움직임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적절한 소프트웨어의 활용으로 다양한 음색의 변화는 물론 음높이, 음량의 변화까지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새로운 형태의 악기로써 무대 공연이나 노래방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Samulnori Musicians' Experiences of Object Relations With Their Instruments (사물놀이 연주자의 악기 대상관계 경험)

  • Kim, Cheonsa;Kim, Kyoungsuk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18 no.2
    • /
    • pp.87-10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phenomenon of object relations with musical instruments as experienced by professional Samulnori musician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five Samulnori players who also completed questionnaires with open-ended quest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2004)'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results offered 121 semantic units, seven subcategories, and three main categories. The three main categories were transitional object, object of expression and recognition of internal desires, and object for recognition of others and communi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nsemble format of Samulnori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musician's object relationship and can externalize the player's internalized representational system and interaction metho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endopsychic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musician and their instrument and provides the basis for the use of Samulnori instruments in music therapy.

A Study of Analysis about Virtual Musical Instruments' Timbre - Focused on Violin, Erhu, Haegeum - (가상악기의 음색 분석 연구 - 바이올린, 얼후, 해금을 중심으로 -)

  • Sung, Ki-Young;Lee, You-Jung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7
    • /
    • pp.219-227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actively looked at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instrument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sound colors of the western violin, chinese erhu and korean haegeum, which are representative bow string instruments. Also, many performers have simply been unable to fully explain how the violin is rich in pitch and the haegeum has a unique tone. Also, many performers thinks that violin sounds rich just because it has many overtones and have been unable to fully explain how haegeum makes unique tone. While previous research data show that most instruments are studied and published by analyzing their own frequencies or related cases of acoustic studies, this study provides a visual look how the harmonics composition, which determines musical instruments' timbres, consists of and suggests data specifically by analyzing each sound pressure of integer multiple overtones so that the structure of instruments' unique timbre can be understood. Based on this, we hope that it will be of considerable help to the development of virtual musical instruments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which are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western virtual instruments, by reproducing instrument sounds through the synthesizer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