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파트 실내공간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8초

도시 아파트 거주자의 지역별 실내 디자인 선호 연구 (The Preference of Interior Design for the Urban Apartment Residents by Region)

  • 박영순;신인호;한정원;황유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
    • /
    • pp.32-37
    • /
    • 1995
  • 본 연구는 아파트가 밀접되어 있는 서울, 부산, 광주, 천안 등의 지역을 대상으로 아파트 거주자들의 실내디자인에 대한 선호경향을 파악하여, 아파트 실내공간에 개성과 기호를 부여할 수 있는 근거를 말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쩨. 개조실태 파악을 통해 실내디자인에 대한 선호경향을 파악한다. 둘째. 실내분위기와 실내색채와 실내마감재의 선호조사를 통해 실내디자인에 대한 선호경향을 파악한다.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조사가 서울, 부산,광주, 천안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 2,60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지역별로 선호하는 실내디자인을 종합하여 볼 , 서울은 우아한 실내공간을 선호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고, 천안은 일상적인 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산은 화려한 실내공간을 선호하는 경향과 광주는 중후한 실내공간을 선호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지역에 따라 선호가 뚜렷이 구분되는 결과는, 실내디자인 계획에 있어 지역이 중요한 변수로서 충분히 반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을 시사한다.

  • PDF

아파트 지하 공간이 바뀐다

  • 김소진;하유정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9호
    • /
    • pp.74-77
    • /
    • 2006
  • 건설사들이 아파트 지하 공간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있다. 지하는 주차장으로 쓸 수밖에 없다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새로운 역할과 의미를 부여하기 시작한 것이다. 아파트 설계는 ‘단지 내 조경과 실내 평면 구조 및 인테리어’에만 해당된다는 공식을 깬 것. 지하에 ‘웰빙’ ‘친환경’이라는 요소를 가미해 휴식과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재창조하고 있는 아파트 단지를 살펴본다.

  • PDF

아파트 내부에 나타난 한국전통 실내 공간의 특성 및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interior space and major elements in contemporary apartment)

  • 오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
    • /
    • pp.72-81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공간에 남아 있는 한국의 전통 실내공간 및 구성 요소를 조사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을 고찰하고 52가구의 아파트를 선정하여 방문에 의한 설문조사와 현장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의 배치 및 구성은 현관-거실 및 식당-방-안방의 서양적 평면보다 현관-방-거실 및 식당-안방의 한국전통공간에서 기인한 평면이 선호되었다. 둘째, 공간의 특성은 한국 전통공간의 여러 특성 중 거실-방, 거실-식당, 식당-부엌 사이의 공간 디자인에서 개방성과 폐쇄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셋째, 난방의 종류는 전체 라지에타 방식에서 전체 바닥 난방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공간구성 요 소 중에서 바닥은 온돌마루와 장판이, 벽은 벽지가, 천장은 방에는 평 천장, 거실에는 가운데가 매립된 천장이 선호되었고, 창문은 특히 안방의 경우 전통적 창살 문양을 선호하였다

  • PDF

더 넓고 여유롭게 쓸 수 있는 가변형 아파트 인기

  • 김소진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4호
    • /
    • pp.70-71
    • /
    • 2006
  • '똑같은 아파트는 싫다.' 거실, 침실 구조와 개수도 내 맘대로 내가 디자인하는 가변형 설계 아파트가 트렌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건설사들이 실내 공간을 자유자재로 변형시킬 수 있는 가변형 설계를 선보이고 있다. 가변형 설게 아파트의 트렌드와 건설사별로 가변형 구조를 어떻게 선보이는지 살펴보자.

  • PDF

POLICY & ISSUES 환경정책 - 환경복지 구현을 위한 환경보건정책 방향

  • 이지윤
    • 환경정보
    • /
    • 통권402호
    • /
    • pp.6-9
    • /
    • 2012
  • 전국적으로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라 아파트, 사무실 등 실내공간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하루의 90%를 넘어서고 있어 실내 공간의 환경관리가 건강관리의 중요 요소로 등장하고 있으며, 저출산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취약한 노년층 인구의 증가와 힘께 과보호를 받는 어린이 인구는 증가하고 있어 면역력 약화에 따른 질환 및 만성질환의 이환 기능성이 환경보건 분야의 새로운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 PDF

발코니가 주택문화의 트렌드를 바꾼다

  • 임국현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88호
    • /
    • pp.84-89
    • /
    • 2006
  • 지난해 12월, 발코니 개조가 전면 허용됨에 따라 신축 아파트는 물론 기존 아파트 거주자들도 발코니 확장에 지대한 관심을 쏟고 있다. 발코니 확장은 적은 비용으로 더욱 넓은 평수를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매력 외에 발코니를 실내공간에 포함시켜 다양한 용도로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주거의 질적 향상 및 인테리어 수요 증가, 주택문화 트렌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입주자들이 발코니 확장에 앞서 꼼꼼히 체크해야 할 포인트들과 시공비 및 주의사항, 발코니 확장으로 가능해진 다양한 공간 활용에 대해 알아본다.

  • PDF

울산지역의 실내 생활공간에서의 알데히드 오염도 분석 (1) (Analysis of Aldehydes in Indoor Environment of Ulsan)

  • 이병규;유주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3-244
    • /
    • 2003
  • 현대 도시인들의 생활은 집이나 아파트, 작업장 및 사무실, 식당, 상점, 공공건물 등 각종 실내에서 대부분의 시간 (약 90%)을 보내고 있다. 실내공간에서의 머무르는 긴 시간에 비하여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과 개선 노력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실내에서의 다양한 활동, 요리, 새로운 건축자재 및 생활용품 등에서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이 방출될 수 있고, 차량이나 산업활동 등에서 배출된 여러 오염물질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 오염물질의 농도를 높이기도 한다. (중략)

  • PDF

울산지역 실내 생활공간 중의 알데히드 오염도 분석 (∥) (Analysis of Aldehydes in Indoor Environment of Ulsan)

  • 이병규;유주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7-178
    • /
    • 2003
  • 현대 도시인들의 삶의 형태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에 의하면 도시인들은 주택이나 아파트, 작업장, 근무지, 사무실, 식당, 상점 및 공공건물 등과 같은 각종 실내에서 그들 삶의 대부분의 시간 (약 90%)을 보내고 있다 (Lee and Cho, 2002).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많은 나라에서 실내공간에서 머무르는 긴 시간에 비하여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과 개선 노력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실정이다. 특히,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실내에서의 다양한 활동, 요리, 도장, 새로운 건축자재 및 생활용품 등에서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이 방출될 수 있고, 차량이나 산업활동 등에서 배출된 여러 오염물질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 오염물질의 농도를 높이기도 한다. (중략)

  • PDF

주부들이 원하는 아파트 실내공간의 평면구성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Space Composition of Apartment desired by Housewives)

  • 이선미;이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호
    • /
    • pp.173-180
    • /
    • 1998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grasp the current trends and to predict the future trends of spac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floorplans drawn by housewives as their ideal apartments.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is research used data from a competition held in 1993 by a housing construction company. Among 3,102 floorplans collected 12,232 were selected by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ome major features were interpreted as current trends; respondents wanted new rooms that could accomodate various functions separated the private spaces from public trends; they wanted to expand the verandah both visually and actually put importance on the number of bathrooms and have the space for outdoor living and leisure activ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