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아시아문화

Search Result 443,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화인의 동남아시아 이민과 정착에 관한 연구

  • Jo, Won-Il
    • 중국학논총
    • /
    • no.69
    • /
    • pp.187-203
    • /
    • 2021
  • 華僑出國原因可歸納爲三個因素。首先是亡命·戰爭俘虜等政治性的, 其次是屬於經濟方面的原因而採取强拍手段的, 最後是經濟方面的原因而自動移出的。其中, 經濟方面所起的作用, 不論是採取强拍手段或自願移出, 雖然比較緩慢·分散, 不那麽顯著而集中, 但却是不停止地在進行, 是一個經常起作用的因素。華人的移民, 往往依照同族或同鄕的經驗與協助。先移民者遇有適當的機會, 會援引家中人·或親戚·朋友·隣居。因此, 後去的移民大致跟着先去移民者所住的地域及所選的職業。隨着時間的推移, 這就變成一般華人移民的習慣。

PR페이지 - 어도비-이컨설턴시 보고서 발표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v.14 no.7
    • /
    • pp.105-105
    • /
    • 2015
  • 어도비는 지난 6월 3일 어도비와 이컨설턴시(Econsultancy)가 공동으로 진행한 최신 조사에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모바일 퍼스트(mobile-first) 비즈니스 변혁을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 PDF

동북아시아 권역 형성과 이의 문제점

  • 홍시환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8a
    • /
    • pp.77-77
    • /
    • 1995
  • Ⅰ. 동북아시아권 형성의 배경 1. 동해바다를 통한 동북아시아의 권역 형성의 필요성은 19세기 후반에 벌써 본격화 시작 2. 최근 1990넌 이후부터 일본, 우리나라, 중국, 러시아등 동해바다를 둘러싸고 있는 국가들의 경제문화교류등에 관한 관심이 커져감 3. 동북아시아 지역에 해당하는 환동해권역은 모두가 후진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미개발 지역이므로 앞으로 권역형성으로 개발이 요구되는 지역 4. 세계 각 지역은 각기 저마다의 경제권역을 조성하고 있는터임(중략)

  • PDF

제6차 아시아건축사대회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2 s.310
    • /
    • pp.122-127
    • /
    • 1995
  • 제6차 아시아건축사대회가 지난 94년 12월 12일 필라핀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건축교육을 위한 혁신'이라는 주제로 개최됐다. 우리협회를 포함 아시아지역 15개국 건축사협회가 참여한 이번 행사에는 특히 아시아의 건축환경의 개선과 사회경제적, 문화적 삶을 향상시키고자 시행된 '아카시아 건축상' 시상식과 우리 협회가 3년여의 노력끝에 출판한 '아카시아 북' 출판기념회가 성황리에 개최된 바 있다. 또한 이 행사는 국가간의 건축정보교류 및 건축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통한 개방화, 세계화에 적극 부응하는 계기와 WTO체제에 따른 각국의 대응방안이 심도있게 논의되는 등 5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16일 폐막됐다.

  • PDF

한.중.일 역사문화경관 비교를 통한 상상적 환경 복원

  • Park, Gyeong-Bok;Sim, U-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07.10c
    • /
    • pp.15-19
    • /
    • 2007
  • 본 연구는 서양의 과학적 합리적 이성주의에 대한 단절된 동양문화의 상징적 사유체계에 내재된 상상적 환경을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상상적 환경을 복원하기 위해 한국 중국 일본의 고대도시인 서울, 북경(北京), 교토(京都) 등을 사례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이들 사례도시의 역사 문화경관을 분석하여 상상적 환경요소를 도출하고자 해석학과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활용하였다. 동북아시아 삼국(한 중 일)의 역사문화경관 비교와 재해석을 통해 그 속에서 내재된 상상적 환경을 도출한 결과, 각 도시에 내재된 장소의 정신과 자연환경요소가 인문환경요소로 반영되어 구조화되었으며, 개별요소들이 결합하여 조직화되었고, 점진적으로 장소(場所)의 혼(魂)은 더욱 성화(聖化)되었다. 본 연구는 인간생활의 실존적(實存的) 장(場)인 도시공간을 상상적 환경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비교분석한 최초의 시도로서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동북아시아 삼국의 역사문화경관에 내재된 상상적 환경의 보편성을 확인한 것은 의미가 있으나, 각 도시별 세부적인 요소에 이르기까지 특수성을 밝히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 PDF

제1회 파주북소리2011 성료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10 no.11
    • /
    • pp.118-119
    • /
    • 2011
  • 아시아 최대 규모의 책 축제인 '파주북소리 2011(PAJU BOOKSORI 2011)'이 지난 10월 1일부터 9일까지 파주출판도시에서 펼쳐졌다. '책 읽는 사람, 책 쓰는 사람 책 만드는 사람이 함께하는 아시아 지식의 축제'라는 기치 아래 펼쳐진 이번 축제에는 260여개 출판사와 300여개 문화예술 단체 및 기관이 참여해 전시와 강연 공연 등 136개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이러한 다양성으로 인해 올해 처음 열린 축제였지만 30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몰리는 등 그야말로 파주는 축제의 한마당이었다.

  • PDF

A Collecting and Record of Wide Area Cultural Resources : the Case of Asian Cotton Cultural Resources (광역 문화자원의 수집과 기록 : 아시아 목화문화자원을 중심으로)

  • Noh, Shi-Hun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28
    • /
    • pp.123-153
    • /
    • 2011
  • In Asia, when cotton and cotton fabrics cultivated and produced in India of Southern Asia had spread to the whole Asia area by land and by sea, the Cotton Road and cotton fabric cultural area could be formed. In Korea, the traditional cotton (Gossypium arboreum) brought by Moon Ik-Jeom in 1363 was cultivated and then the Upland cotton (Gossypium hirsutum) brought via Japan could be produced from 1904. Especially, Gwangju/Jeonnam was the most active place in producing traditional cotton, and eventually became the center of cotton cultivation and fabric production after bringing in Upland cotton. In order to collect and record the cotton cultural resources in the broad area, the Cultural Resources Set, classified its component parts should be made first and then the collecting objects should be investigated. The collecting areas are selected based on the spreading paths and the regional significance of cotton. Since its difficulty of collecting the relevant resources from all of the places in Asia, it should be planned to share the resources through exchanges and cooperation among private, institution and organization. The relevant experts from the various fields should participate i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which are necessary for collecting and recording of wide area cultural resources. Considering the collecting limitation of genuine relics, the digital archive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n offered through a web site that everyone can use them freely by remote. It also needs to plan to display on and off-line for users to perceive the similarity, difference and interconnections of the resources with ease.

Situations and Challenges of ODA for Sustainability of Asian Cultural Heritage (아시아 문화유산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ODA 현황과 과제)

  • Yu, Jae E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9 no.3
    • /
    • pp.270-285
    • /
    • 2016
  • Various opinions and discussions have been actively in progress which are connected with cultural heritage sinc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was announced by UN Sustainable Development Summit 2015 as Post-2015 Development Agenda. Apart from SDGs,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itself stands on the basis of sustainability that originality, characteristic, d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should be permanently preserved. From that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practical ODA for cultural heritage, far from theoretical approaches and policies. This paper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domestic and overseas situation related to ODA of Asian cultural heritage and the mentioned problems, future plans and challenges. First, the background and concepts about ODA were described and then ODA project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by Japan and China as typical ODA countries for Southeast Asia were introduced. ODA of cultural heritage in Korea has relatively recently started for restoration work for historic sites of Laos and Cambodia and its scale and performance do not come to much yet. Therefore, to develop ODA of cultural heritage, there are suggestions as in the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a long-term master plan of ODA projects for sustainability of cultural heritage. Second, based on the view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the selection and focus for ODA partner countries should be considered, avoiding short-term projects aiming at a number of countries. Not widespread existing projects by other countries, but the model of Korean ODA for cultural heritage only Korea can conduct should be prepared. The next thing is connection with sustainability, and ultimately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should result in benefit to the natives by giving an impetus to economy as well as fostering tourism of local areas. To accomplish that connection, educational training and building capacity are suggested as the most suitable alternatives. Cultural heritage of each country reflects its indigenous originality and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restoration work should be conducted by people in each country as the best way. From this point of view, ACPCS held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ill take a role of a specialized training program in Korean way. Lastly, establishment of a control tower for ODA in Korea is necessary. JCIC(Japan Consortium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ultural Heritage), which was set up in Japan for sharing information,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system and prevention of overlapped projects will be an example we can take into consid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