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세톤

검색결과 568건 처리시간 0.023초

Taxus chinensis로부터 파클리탁셀 정제를 위한 개선된 아세톤-물 분별침전 공정 개발 및 그 동역학 및 열역학적 해석 (Development of An Improved Acetone-Water Fractional Precipitation Process for Purification of Paclitaxel from Taxus chinensis and Its Kinetic and Thermodynamic Analysis)

  • 강회종;김진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3호
    • /
    • pp.379-39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캐비태이션 버블와 가스 버블를 이용한 파클리탁셀의 개선된 아세톤-물 분별침전 공정을 개발하였다. 전통적 방법에 비해 침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20~25배 단축되었다. 또한 파클리탁셀의 침전물 크기는 3.5~5.5배 감소하였으며 파클리탁셀의 확산 계수는 3.5~6.7배 증가하였다. 초음파 캐비태이션 버블을 이용한 침전의 경우 초음파 파워는 증가할수록, 침전 온도는 감소할수록 침전 속도 상수는 증가하였다. 가스 버블을 이용한 침전의 경우 가스 유량은 증가할수록, 침전 온도는 감소할수록 침전 속도 상수는 증가하였다. 열역학적 해석을 통해 개선된 분별침전은 비자발적 발열 공정이었다.

활성탄에 흡착된 페놀의 아세톤 탈착 모델에 대한 연구 (Mathematical Modelling of Phenol Desorption from Spent Activated Carbon by Acetone)

  • 김승도;오영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2115-2123
    • /
    • 2000
  • 본 연구는 활성탄 피흡착물인 페놀의 아세톤에 의한 탈착모델 및 탈착 동역학을 결정하여 활성탄으로부터 페놀이 탈착되는 현상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아세톤에 의한 페놀의 Freundlich 등온탈착 평형반응상수인 $k_e$는 온도의 함수로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k_e(T)=0.1{\cdot}exp(797.297/T)$. 또한 Freundlich 등온탈착 평형반응상수인 n은 약한 온도함수로서 $50^{\circ}C$ 이하에서는 용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 않으나, $100^{\circ}C$ 이상에서는 5%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온도에 대한 보정치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페놀 탈착모델은 활성탄 표면에서의 탈착반응을 제한반응으로 가정하였으며, 탈착반응상수 ($k_d$)는 실험치와 모델 이론치의 최적합도에서 결정하였고, Arrhenius 관계식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k_d( sec^{-1})=0.0479{\cdot}exp(-3037/T)$. 모델에서 결정한 $k_d$값을 검증하기 위해 다른 반응조건에서의 실험결과와 이론치를 비교하였으며, 두 값의 차이가 5% 이내인 것을 미루어 본 연구에서 설정한 탈착반응모델이 타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모델을 이용한다면 특정조건(온도, 용매 부피, 활성탄 양, 페놀 초기 흡착량)에서의 재생시간과 재생율을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실험에서 사용한 조건에 근거한 재생시간과 재생율을 온도의 함수로서 표현할 수 있다: (1) 재생시간 : ${\tau}_{reg}(hr)=-0.08130T_c+8.4775$, (2)재생율 : ${\eta}(%)=0.2210T_c+83.745$. 이 식을 적용하는 경우 반응온도 15, 55, $100^{\circ}C$에서 재생시간은 각각 7, 4.2, 0.35시간. 한편 재생율은 87, 96, 99%로 결정할 수 있다.

  • PDF

미더덕 아세톤 추출물이 산화적 DNA 손상억제 및 암세포 독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eton Extract from Styela Clava on Oxidative DNA Damage and Anticancer Activity)

  • 서보영;정은실;김주영;박해룡;이승철;박은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3호
    • /
    • pp.227-232
    • /
    • 2006
  • 미더덕(Styela clava)은 척색동물문 미색동물아문에 속하는 해양생물로서, 독특한 향과 맛으로 인해 식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더덕의 생리활성물질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미더덕을 전체, 살 및 껍질 부분으로 나누어 아세톤으로 추출한 뒤 산화적 DNA 손상억제 및 항암 활성을 측정하였다. 미더덕 각 부위 추출물을 5, 10, $50\;{\mu}g/ml$의 농도로 백혈구에 처리한 후 200\;{\mu}M의 $H_2O_2$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DNA 손상 억제 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comet assay를 실시하였다. 미더덕 전체 추출물을 5, 10, $50\;{\mu}g/ml$의 농도로 백혈구에 처리했을 때 손상된 DNA tail 부분의 DNA 함량을 측정한 % fluorescence in tail이 26.9, 27.0, 23.8%로 63.9%인 $H_2O_2$ 처리 양성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미더덕살 추출물의 경우, 5, 10, $50\;{\mu}g/ml$ 처리시 농도에 의한 효과 차이는 볼 수 없었지만 양성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DNA 손상정도가 감소하였다. 미더덕 껍질 추출물의 경우 같은 농도로 처리했을 때 각각 농도 의존적이며 유의적으로 DNA 손상정도가 감소하였다. 인간 대장암 유래의 세포주 HT-29의 성장억제 효과에 조사하기 위해 미더덕 부위별 아세톤 추출물을 10, 50, 100, $500\;{\mu}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한 뒤 MTT reduction assay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각 추출물에 대해 전체적으로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가 증가되었다. 전체, 살, 껍질 부위별 추출물을 $100\;{\mu}g/ml$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각각 90.5%, 82.0%, 75.2%로 비교적 낮은 활성을 보였지만, $500\;{\mu}g/ml$로 처리했을 때 각각 26.9%, 30.6%, 12.0%로 급격히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껍질 부분의 아세톤 추출물이 강한 DNA 손상억제 및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해양오염 감지를 위한 활성탄 코팅 센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ctivated Carbon Coated Sensor for the Detection of Marine Pollution)

  • 최광재;김영한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3-378
    • /
    • 2000
  • Oil spill in sea water is the most frequent and significant problem of marine pollution. As an early detection sensor of the pollution, an activated carbon coated quartz crystal is prepared and examined for its performance of detection sensitivity and stability. Powdered activated carbon and phenol resin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sensor and the sensor is baked for an hour. Adsorption of acetone dissolved in water and salt water is measured using frequency shift of quartz crystal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olute material. The outcome indicates that the sensor preparation is adequate and the measurement of solute concentration is stable and sensitive enough to be implemented on the monitoring of solute concentration is stable and sensitive enough to be implemented in the monitoring of organic pollution of sea water.

  • PDF

정전방사에 의한 PVdF 나노섬유 제조 및 물성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PVdF Nanofibers Electrostatically Spun)

  • 조장익;김찬;최창남;양갑승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82-383
    • /
    • 2003
  • 정전방사란 고분자 용융체 또는 고분자 용액에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나노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섬유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정전방사에서는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기존의 건식 및 습식 방사기술로서 섬유화가 어려웠던 재료들을 간단한 방법으로 섬유화 시킬 수 있으며, 매우 적은 양으로 방사가 불가능했던 재료들에 대해서도 방사가 가능하며, 부직포 형태로 제조된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VdF계 공중합체 폴리머로서 PVdF-HFP 공중합체를 아세톤 용매에 다양한 농도로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한 후, 정전방사에 의한 나노크기의 직경의 섬유를 제조하는 방사조건을 고찰하였다. (중략)

  • PDF

${\beta}$-아세틸-${\beta}$-벤조일스티렌 유도체와 그들의 피페리딘 첨가생성물의 합성 (Synthesis of ${\beta}$-Acetyl-${\beta}$-benzoylstyrene Derivatives and Their Adducts of Piperidine)

  • 허태성;백인숙;김태린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9-372
    • /
    • 1987
  • 벤조일아세톤과 벤즈알데히드 유도체 및 피페리딘으로부터 다섯가지의 N-(2-아세틸-2-벤조일-1-페닐에틸) 피페리딘 유도체(2a-2e)를 합성하였다. 이 유도체들로 부터 다섯가지 ${\beta}$-아세틸-${\beta}$-벤조일스티렌 유도체(3a-3e)를 합성하였다. 이 화합물들의 구조를 원소분석 ir 및 nmr 스펙트럼으로 확인하였다.

  • PDF

황함유리간드의 금속착물 Ⅰ. 디티오카바메이트류의 니켈(Ⅱ)착물의 합성과 그 성질 (Metal Complexes of Sulfur-containing Ligands Ⅰ. Syntheses and Properties of Nickel(Ⅱ) Complexes of Dithiocarbamates)

  • 김인식;김찬우;김창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6-212
    • /
    • 1993
  • 즈비터이온인 디티오카바메이트류의 암모늄과 이를 리간드로 한 니켈(Ⅱ)착물을 합성하였다. 이들 니켈(Ⅱ)착물의 적외선 및 전자흡수 스펙트럼과 전도도, 질량분석 등으로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니켈(Ⅱ)의 디티오카바마토류 착물은 물, 메탄올 및 아세톤과 같은 극성용매에 녹는다. 이들 니켈(Ⅱ)착물의 원소분석과 물리적 측정 결과에서부터 그 가능한 구조를 제시하였다.

  • PDF

Phenylethyl Tosylate 와 피라딘 및 N,N-디메틸 p-톨루이딘 과의 四級 암모늄鹽의 合成과 性質 (Synthesis and Properties of the Quaternary Ammonium Salts Obtained from Phenylethyl Tosylate with Pyridine and N,N-Dimethyl p-Toluidine)

  • 최재환;여수동
    • 대한화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51-354
    • /
    • 1975
  • 2-Phenylethyl tosylate를 피리딘 및 p-톨릴-N,N-디메틸아닐린과 反應시켜 대응하는 4級 암모늄鹽을 合成하여 NMR 및 IR로서 4級鹽을 確認하였고 그의 物理 및 化學定數를 比較하였다. 本實驗에서 얻은 2-phentylethyl pyridinium tosylate는 benzyl pyridinium tosylate와 마찬가지 方法으로 아세톤 중에서도 合成이 可能하나 아세토니트릴中에서 收率이 훨씬 좋음을 알았다.

  • PDF

황의 친핵성 치환반응 (제12보). 이성분 수용액에서의 염화디메틸술파모일의 가용매 분해반응 (Nucleophilic Displacement at Sulfur Center (ⅩⅡ). Solvolysis of Dimethylsulfamoyl Chloride in Aqueous Binaries)

  • 이병춘;이익춘
    • 대한화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42-346
    • /
    • 1980
  • 염화디메틸술파모일의 가용매분해반응속도와 활성화파라미터를 메탄올-물, 에탄올-물, 아세톤-물 및 아세토니트릴-물, 혼합용액에서 결정하였따. 각종 용매효과 상관관계에 따르면 이 가용매 분해반응은 전이상태에서 이탈기의 절단이 진전된 $S_n2(dissociative S_n2)$ 메카니즘으로 진행됨을 보여주었다

  • PDF

염화나프탈렌카르보닐의 친핵성 치환반응에 관한 연구 (Kinetic Studies on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for Naphthalene Carbonyl Chloride)

  • 윤상기;엄태섭;성대동
    • 대한화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47-355
    • /
    • 1980
  • ${\alpha}$- 및 ${\beta}$-염화나프탈렌카르보닐의 가메탄올 분해반응속도를 메탄올-아세톤,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 속에서 측정하였다. 각 혼합용매마다 공통적으로 ${\alpha}$-염화나프탈렌카르보닐이 ${\beta}$-염화나프탈렌카르보닐보다 반응속도 상수가 크게 관측되었다. 이것은 Dewar수 Nr과 Streitwieser의 ${\sigma}^+$값과도 일치하였다. 카르보닐탄소가 천이상태에서 $sp^3$로 바뀌어 인접수소에 의한 입체장애가 없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