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말감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2초

수복물의 종류가 근관치료된 상악 제2소구치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EFFECT OF RESTORATION TYPE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ENDODONTICALLY TREATED MAXILLARY PREMOLARS;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Y)

  • 정현숙;김현철;허복;김광훈;손권;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1호
    • /
    • pp.8-1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교합하중 조건하에서 아말감, 복합레진, 세라믹 인레이, 그리고 금 인레이로 수복한 근관치료된 상악 제2소구치의 음력분포를 3차원 유한요소법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발치된 상악 제2소구치를 이용하여 근관치료된 3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구치 모형의 근관와동을 위 4가지 재료로 각각 수복한 후, 협측교두 (Load-1) 또는 설측교두 (Load-2)에 500 N의 하중을, 설측교두와 근심변연에 총 170 N의 하중 (Load-3)을 가하였다. 세 가지의 하중조건 하에서 각 수복물에 따른 협측과 설측의 치경부 그리고 교합면의 정중구에서 나타나는 인장응력의 분포양상을 ANSY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수복물의 경우에서 Load-1에서는 설측의 치경부, Load-2에서는 협측의 치경부에서 높은 응력이 관찰되었고 수복물 종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2. 모든 수복물의 경우에서 교합면의 하중점 근처 와정중구를 따라 높은 응력이 관찰되었고 수복물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3. 모든 수복물의 경우에서 Load-3에서는 하중점 근처에서 높은 응력이 관찰되었고 수복물 종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소아청소년기에 치수치료를 받은 제1대구치의 술전 상태 조사 (A SURVEY ON THE PREOPERATIVE CONDITIONS OF ENDODONTICALLY TREATED FIRST MOLA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순영;이경호;노홍석;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76-382
    • /
    • 2011
  • 제1대구치는 막중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이전에 건강을 상실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이전에 치수치료를 받게 된 제1대구치의 우식 및 수복 상태와 분포를 파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최근 5년간 부산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치수치료를 받은 18세 이하 106명 환자의 135개 제1대구치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 연령은 11.9세(남 11.5세, 여 12.5세)였고 유의한 성차를 보였으며(p<0.05), 악별로는 상악 47개, 하악 88개로 하악 치아가 더 많았다. 2. 치수 치료 전 치료 기왕력이 없는 치아는 74개, 치수 또는 수복 치료를 받은 치아는 61개였다. 그 중 재치수치료를 받게 된 경우는 22개로 치수절제술-치수절단술의 순이었으며, 단순 수복치료를 받았던 치아는 39개로 복합레진-아말감-GI-인레이-수복물 탈락 후 미치료-열구전색 및 주조 전장관의 순이었다. 3. 병소 위치가 분류 가능한 73개의 병소 중에서는 근심면 병소가 22개, 교합면 혹은 협설면 병소 39개, 원심면 병소가 12개를 차지하였다.

치의학 교육의 새로운 트렌드 : 구글 클래스룸을 이용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적용 및 평가 (New trend of dental education: flipped learning for dental classes using Google classroom platform)

  • 공준형;문호진;박정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17-327
    • /
    • 2016
  •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포함한 둘 이상의 상이한 학습 환경을 혼합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새로운 학습 테크닉으로써, 최근 등장한 'Google classroom' 서비스는 플립드 러닝에 최적화된 토탈 솔루션이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D 치과대학 치의학과 본과 2학년 학생들 70명에게 구글 클래스룸 플랫폼을 이용한 플립드 러닝을 적용 후 학생들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치주과학 개론 및 치과보존학 아말감 수복학 두 과목을 선정하여 6회의 강의 중 3회는 전통적 수업방식으로, 나머지 3회는 구글 클래스룸을 포맷으로 한 플립드 러닝으로 진행하였다. 만족도 평가는 강의가 모두 완료된 후 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치과대학 수업에의 플립드 러닝 적용은 이해도,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습 동기면에서 높은 효율 및 만족도를 보였고 학생들은 매우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구글 클래스룸을 활용한 플립드 러닝은 치과대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플랫폼임을 알 수 있었다.

강화도 능내리출토 은제유물의 과학적 분석 및 재현실험을 통한 제작기법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by Scientific Analysis and Reproduction Experiment of Ancient Silver Objects Excavated from Neungnae-ri, Ganghwa Island)

  • 유동완;김수기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1
    • /
    • 2011
  • 강화도 능내리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은제유물을 대상으로 성분조성과 경도, 조직특성을 연구하고 출토된 은제유물과 비슷한 성분비로 시편을 제작하여 가공방법과 온도에 따라 변하는 미세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능내리 출토 은제유물의 소지는 Cu가 2~6% 함유된 Ag-Cu 합금으로, Cu는 적절한 경도유지 등 특정 목정을 위하여 인위적으로 합금한 것으로 판단되며, 금으로 이루어진 도금층에서는 Hg가 약 11%의 함량으로 검출되어 아말감법으로 도금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부 은제유물의 표면에서 확인되는 다공질 층은 실험시편 제작을 통한 확인결과 $400^{\circ}C$이상의 열이 가해질 때 생성되는 것으로, 능내리출토 은제유물들은 $400^{\circ}C$이상의 온도에서 열간가공하거나 열처리를 실시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고부조로 타출된 은제유물 1점은 다른 은제유물과 비슷한 성분조성에도 불구하고 매우 낮은 경도를 보였는데, 이는 타출기법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말감 충전물간(充塡物間)의 결합강도(結合強度)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ONDING STRENGTH OF THE JOINED AMALGAM RESTORATION)

  • 정인영;민병순;최호영;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0권1호
    • /
    • pp.153-160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tensile and bonding strength of the joined amalgam restoration. Amalgam alloys of fine-cut (F-type), spherical (S-type), and dispersed type (D-type) were selected in this study, and all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condensation methods as follows. Group I : the control group which condense the same kinds of mixed amalgam into the whole part of the mold respectively. Group II : the group which condense a mix of amalgam into one half of the mold, and then condense a new mix of amalgam into the rest half of the mold 15 minutes later. Group III : the group which condense a mixed amalgam into one half of the mold, and then condense a new mix of amalgam into the rest half of the mold 7 days later.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incubator at $37{\pm}1^{\circ}C$ for seven days with immersing in saline solution before testing. The tensile and bonding strength of them were measured with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Group I, the order of tensile strength was F-type, S-type, and D-type. 2. In case of bonding of S-type + S-type, the difference of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Group II and III was not significant. (P> 0.05) 3. The bonding strength of F-type + S-type of Group II was marked the highest in value, and the lowest bonding strength was showed in bonded D-type + D-type of Group III. 4. In case of bonding with the different kinds of amalgam alloy in Group II, the specimen bonded to F-type was marked the highest bonding strength, and the specimen bonded with F-type was marked the lowest one. In Group II,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pecimens bonded with the same kinds of amalgam alloy was presented as the same order as that of Group I. 5. In Group III, the specimen connected with D-type marked the lowest bonding strength of all specimens. In Group III, the bonding strength of the specimens connected with the same kinds of amalgam alloy was the order of S-type + S-type, F-type + F-type, and D-type + D-type.

  • PDF

아말감 수복시(修復時) Cavity varnish와 Bonding agent 도포(塗布)에 따른 접합성(接合性)에 관(關)한 주사전자현미경적(走査電子顯微鏡的) 연구(硏究)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MARGINAL ADAPTIBILITY IN APPLYING THE CAVITY VARNISH AND DENTIN BONDING AGENT IN AMALGAM RESTORATIONS)

  • 김석훈;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5권1호
    • /
    • pp.107-119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rginal adaptability of the amalgam restorations in applying the cavity varnish (Copalite$^{(R)}$) and dentin bonding agent (Scotchbond 2$^{(R)}$)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or this study, eighteen sound extracted human molars were selected. Class I cavities in 12 teeth and class V cavities in 6 teeth were prepared using an air turbine with No. 701 tungsten carbide bur and finished using a low speed handpiece with No. 557 fissure bur. The prepared specimens were then divided into three groups including 4 class I cavities and 2 class V cavities in each group and restored as follows ; Group I. All the prepared cavities were restored with amalgam only (Control). Group II. Two layers of Copalite$^{(R)}$ cavity varnish were applied to the cavities with a gentle stream of air after each application and cavities were restored with amalgam. Group III. The enamel cavity margins were etched with 37% phosphoric acid gel for 60 sec., rinsed for 30 sec. and dried. One layer of visible lightcured Scotchbond Dental Adhesive$^{(R)}$ was applied and immediately cured for 20 seconds with visible light-cure unit and cavities were restored with amalgam. All the specimens were cut at the neck of the teeth and the occlusal halves of specimens were sectioned buccolingually in the longitudinal axis centering the amalgam restorations, using the disk. The cut specimens were ground with sandpapers (400, 600, 800, 1000 grit), and cleaned for 5 minutes in the ultrasonic cleaner (Brason Co. U.S.A.). In the cut surfaces, the amalgam - tooth interfaces were examined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SM, 35C type, JEOL).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malgam-tooth interfaces were reduced more significantly in the Copalite$^{(R)}$ and Scotchbond 2$^{(R)}$ applica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2. In the class I cavities, the Scotchbond 2$^{(R)}$ application group showed the findings similar to the Copalite$^{(R)}$ application group in the cavity floor, and the marginal adaptability was better in the side wall than in the cavity floor. 3. In the class I cavities, the Scotchbond 2$^{(R)}$ application group showed better marginal adaptability in the occlusal margin than in the gingival margin. 4. The marginal adaptability was in the order of the Scothbond 2$^{(R)}$ application group, the Copalite$^{(R)}$ applic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 PDF

생물학적제제의 치메로살 함량 정량을 위한 가열기화 아말감 흡광도법의 확립 및 검증 (Establishment and Validation of Gold Amalgama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Thimerosal in Biological Products)

  • 김병철;김도근;홍성화;김연희;임종미;원윤정;김석환;홍지영;윤영민;김재옥
    • 약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84-288
    • /
    • 2011
  • The test method for biologics of lot release system is based on 'Test procedure and specification for biological products,' generally, thimerosal content is measured by chemical analysis using O.D. In this study,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gold amalgamation method for thimerosal content was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which are described above. The gold amalgamation method, which uses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was meets all the method validation acceptance criteria. It is considered to be proper as the assay and identification test for thimerosal. In this study,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hree times. As a result, gold amalgamation method is more convenient and easy to perform as this assay doesn't have pre-treatment procedure. Also this assay showed good precision and reproduci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alternate the assay method of thimerosal from the conventional chemical analysis to gold amalgamation method to improve the credibility of lot release system and the quality control of biologics, by standardizing test method.

서울시 치과의원의 진료실 감염관리 및 폐기물 처리 실태 조사연구 (Study on the Infection Control and Dental waste Disposal in Dental Clinic Located in Seoul City)

  • 강재경;김은숙;김경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5-113
    • /
    • 2002
  • 치과 진료실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근원이 되는 곳은 환자의 구강이다. 구강 내에서 행하여지는 모든 진료행위는 타액과 혈액에 노출되고 그 안에 존재하는 병원성 미생물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파되어 감염성 질환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와 치과 종사자들의 감염방지를 위해 주위를 환기시키고 실천적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서울시 치과의원 100곳을 추출하여 진료실 감염관리와 폐기물 처리실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멸균준비를 위한 기구세척시 대부분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있으나(95%), 기구건조(56%), 기구포장(57%), 멸균지시테이프를 부착(24%)하는 기관은 적었으며, 대부분의 기관이 멸균기(가압증기멸균기 또는 불포화화학증기멸균기 또는 건열멸균기)를 보유하고 있으나(97%), 멸균기의 성능점검이 나 관리는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3. mirror, pincette, explorer 등의 기본기구, 외과기구, 그리고 치주기구는 90% 이상 멸균하였다. 3 표면관리에 있어서 표면소독제로 알콜을 사용하는 경우가 94.0% 이었다. 4. 폐기물 처리의 경우 사용한 주사바늘, 수술용 칼, 봉합용 바늘은 97~98%가 별도의 밀폐용기에 모아서 별도로 처리하고 있으나, 아말감 찌꺼기를 올바르게 보관하는 기관은 65% 수은 찌꺼기를 올바르게 보관하는 기관은 74% 이었다. 5. scaling 시(수술용 고무장갑+구강 마스크+보안경)을 착용하거나(수술용 고무장갑+안면 보호대)를 착용하는 사람은 37% 이었고, 보철물 연마시(구강 마스트+보안경)을 착용하거나 안면 보호대를 착용하는 사람은 25% 이었다. 6. 간염예방주사를 맞았거나 면역되어 있는 사람은 90% 이었다. 7. 마취주사바늘 제거시 손으로 뚜껑을 닫고 제거하는 경우(84%)와 주사바늘에 찔린 경험(62%)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많은 사람이 부주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환자의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과 환자에게 납방어복을 입히는 것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환자의 안전관리를 주의한다고 생각하고 있지만(98%) 실제로 환자를 보호(37%)하는 것은 아니며, 본인의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과 술자의 방어방법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주의한다고 인식(95%)하는 만큼 술자의 보호(88%)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기구의 소독과 멸균의 단계와 절차를 올바르게 적용하는 것과 표면소독제로 알콜 대체재료의 보급이 필요하고, 폐기물 처리 방법에 대한 교육을 더욱 확산시켜야 하며, 개인의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에 비해 실천이 부족하므로 특히 환자보호와 더불어 술자 등 개인보호를 위한 실천이 필요하다고 검토되었다.

  • PDF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수종 2급 아말감 와동의 비교연구 (A STUDY ON COMPARISON OF VARIOUS KINDS OF CLASSII AMALGAM CAVITIES USING FINITE ELEMENT METHOD)

  • 석창인;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2호
    • /
    • pp.432-461
    • /
    • 1995
  • The basic principles in the design of Class II amalgam cavity preparations have been modified but not changed in essence over the last 90 years. The early essential principle was "extension for prevention". Most of the modifications have served to reduce the extent of preparation and, thus, increase the conservation of sound tooth structure. A more recent concept relating to conservative Class II cavity preparations involves elimination of occlusal preparation if no carious lesion exists in this area. To evaluate the ideal ClassII cavity preparation design, if carious lesion exists only in the interproximal area, three cavity design conditions were studied: Rodda's conventional cavity, simple proximal box cavity and proximal box cavity with retention grooves. In this study, MO amalgam cavity was prepared on maxillary first premolar.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were made by serial photographic method. Linear, eight and six-nodal, isoparametric brick elements were used for the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The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surrounding the tooth were excluded in these models. Three types model(B option, Gap option and R option model) were developed. B option model was assumed perfect bonding between the restoration and cavty wall. Gap option model(Gap distance: $2{\mu}m$) was assumed the possibility of play at the interface simulated the lack of real bonding between the amalgam and cavity wall (enamel and dentin). R option model was assumed non-connection between the restoration and cavty wall. A load of 500N was applied vertically at the first node from the lingual slope of the buccal cusp tip. This study analysed the displacement, 1 and 2 direction normal stress and strain with FEM software ABAQUS Version 5.2 and hardware IRIS 4D/310 VGX Work-s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Rodda's cavity form model showed greater amount of displacement with other two models. 2. The stress and strain were increased on the distal marginal ridge and buccopulpal line angle in Rodda's cavity form model. 3. The stress and strain were increased on the central groove and a part of distal marginal ridge in simple proximal box model and proximal box model with retention grooves. 4. With Gap option, Rodda's cavity form model showed the greatest amount of the stress on distal marginal ridge followed by proximal box model with retention grooves and simple proximal box model in descending order. 5. With Gap option, simple proximal box model showed greater amount of stress on the central groove with proximal box model with retention grooves. 6. Retention grooves in the proximal box played the role of supporting the restorations opposing to loads.

  • PDF

원주(原州) 법천리출토(法泉里出土) 금동식리(金銅飾履)에 대한 연구(硏究) (A Study on Gilded Ornamental Shoes Excavated from Beopcheon-ri, Wonju)

  • 권혁남;유혜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3권
    • /
    • pp.65-69
    • /
    • 2001
  • 백제문화의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는 원주 법천리 고분군 중 1호분과 4호분에서 금동식리편이 발굴되었다. 특히 이 식리에는 스파이크가 존재하여 백제의 식리 제작과 금동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곳에서 출토된 식리편을 분석하여 식리의 제작 방법, 당시 사용된 동의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스파이크는 투과X-선과 현미경 등을 통해 관찰해 본 결과 하나의 몸체로 제작되어 머리 부분을 두드려 금동판에 부착하였다. 이 금동판은 대부분 구리로 되어 있으며 재결정에 의한 쌍정이 나타나고 있고, 비금속개재물의 EDS 분석 결과 납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금동판이 두 개로 되어있다는 증거가 나타나지 않아 장식용으로 리벳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금동판의 도금은 금도금층의 두께가 불균일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EDS 분석에서 수은이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아말감법에 의한 도금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