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동참여

검색결과 677건 처리시간 0.024초

지역아동센터 개조 시 아동의 참여디자인 기법 및 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iques and a Tool of Children-Participatory Design for Renovating Community Child Center)

  • 박우장;박준영
    • KIEAE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15-2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ildren's participating behavior on the environment-improving process of a community child center, and to develop participating technique and tools that can be appliable. For this, a workshop, constructions, and an evaluation research were done on the premise that children participate in process of designing a community child center.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1) A survey chart, questionaries, preference image chart, and attitude measurement chart used in this study were easy to understand, simple, and thus found to be a useful technique and tool that could make children participate more active and interested. (2) As children participated more on the environment-improving process of community child centers, their demands became more diverse and specific, and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were high. (3) The change of satisfaction level before construction and after, and consistent demands for the separation of studying space between upper and lower graders show that children understand their physical environment changes well, and have clear ideas on how their studying space should be composed.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도덕적 이탈이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Moral Disengagement on Children's Participant Role Behavior in a Bullying Situations)

  • 김지미;김정민
    • 아동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3-2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concerning th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children's participant role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s.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 group of participants comprising total 541 students of fifth, seventh, eighth, tenth and eleventh grades from schools based in Seoul and Incheon were surveyed. As far as research methods are concerned, scales for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moral disengagement and participant role behavior in a bullying situation were used.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by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nt role behavior in bullying. By grad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articipant role behavior in bullying and moral disengagement. Second, variables affecting participant role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s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types of role behavior respectively as well as by students' grade levels. Third, moral disengagement concerning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participant role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on bystander behavio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bullying behavior amo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빈곤지역아동의 거주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우리 동네살이 - (A Qualitative Study on Lived Experiences of Children Who Live in a Poor Neighborhood -"Hard Life in Our Village"-)

  • 김경희;김선민;박근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3호
    • /
    • pp.109-13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지역에서 살아가는 아동의 거주 체험을 아동의 관점에서 탐구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빈곤한 지역에서 살고 있는 아동을 참여자로 그들의 거주체험의 의미와 구조를 탐색하는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월드비전의 전국 24개 사회복지기관으로부터 모집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으로써, 각각의 기관에서 초점집단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빈곤지역 아동은 취약한 사회적 인프라 속에서 신체적 및 정서적 안전에 위협을 받고 있었으며 더러운 동네와 술, 폭력 등의 문제를 가진 어른들로부터 부정적인 자기정체성을 내면화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여전히 남아 있는 이웃의 정과 관계성, 권리 실현을 위한 주체적 활동은 아동과 지역사회의 변화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빈곤지역 아동의 거주체험 구조는 "'연결하기'와 '구분짓기' 사이에서 갈등함", "도사린 위험 속에 방치됨", "캄캄한 동굴에서 살아가기를 배움", "이웃으로부터 마중물을 받음" 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권리 실현 차원에서 안전 확보와 주체적 성장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인식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on the Stress Recognition and the Stress Coping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광수;김미선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2호
    • /
    • pp.141-158
    • /
    • 200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지능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인식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경기도 S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스트레스 인식 수준은 높고, 정서지능과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낮은 아동대상 중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아동 24명을 각각 12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매주 2회씩 총 10회에 걸쳐 방과 후 시간에 50분씩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무처치 하였다. 실험처치후 집단간 정서지능 검사와 스트레스 인식 검사, 스트레스 대처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실험집단 아동의 프로그램 평가 및 소감문, 교사의 관찰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정서지능은 통제집단에 비해 의미있게 향상되었으며 정서지능의 하위변인인 정서인식 및 표현과 사고촉진, 정서조절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인식 수준은 통제집단에 비해 의미있게 감소되었으며 스트레스 인식 수준의 하위영역 중 부모, 가정환경, 친구, 학업의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는 참여아동의 소감문, 프로그램 평가결과, 교사의 관찰기록 내용 분석에 의해 지지되고 보충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정서지능이 스트레스 경험과 적응과의 관계를 중재하는 변수임을 시사해주며, 정서지능 향상을 통한 아동의 스트레스 인식과 대처에 변화를 가져오는 구체적 한 방안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전동휠체어 적용 지침 및 성과 (The guideline and outcome about powered wheelchair us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김미정;김서은;마현정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2호
    • /
    • pp.17-32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이동에 제한이 있는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전동휠체어 적용 시 고려해야할 지침과 적용 성과의 표현에 포함되는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2000년 이후 2014년까지 게재된 국 내외 논문을 검색하여 1차 검색된 38편의 논문 중 포함준거에 따라 체계적 문헌연구 2편을 핵심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1차 검색 및 핵심 논문 2편에 고찰대상으로 포함된 18편의 논문 전문을 검토하여 성과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ICF에 따라 분류하였다. 논문 검색에는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의 원문정보서비스와 구글 학술검색을 이용하였다. 또한 아동 대상의 전동휠체어 적용 지침을 알아보기 위한 문헌 2편을 추가로 검토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지침을 포함하여 고찰한 문헌 19편은 모두 해외 문헌이었다. 이 문헌들은 공통적으로 장애아동에게 전동휠체어를 적용 시 다양한 이점이 있으며 발달 저해 등의 우려는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었다. 또한 적용 전 확인해야할 장애 아동 및 부모의 특성, 환경적 지원 등을 규정하면서 지침에 따라 성공적인 전동휠체어 적용을 권고하였다. 또한 각 문헌에서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전동휠체어 적용성과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와 변수를 ICF의 각 요소로 분류한 결과 참여 수준의 성과를 주로 다루고 있었다. 결론 : 독립적 이동이 제한된 장애아동에게 전동휠체어는 유용한 이동 수단이며 전동휠체어의 조기 적용은 정상적인 발달과 참여를 위해 중요한 전략이다. 따라서 장애아동 뿐 아니라 아동 주변의 사람과 환경을 포함한 맥락적 접근이 필요하며 법 제도적, 사회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만성 복막투석 아동용 삶의 질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a Quality of Life Scale For Children on Chronic Peritoneal Dialysis)

  • 신민섭;조수철;장재연;정해일;최용;하일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2호
    • /
    • pp.202-212
    • /
    • 2008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만성 복막투석 아동용 삶의 질 척도(Quality of Life Scale for Children on Chronic Peritoneal Dialysis: QOLCPD)를 개발하였다. 방 법 : QOLCPD문항 개발을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복막투석 중인 30명의 만성 신부전 환아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타 임상 집단으로 28명의 소아정신과 장애 아동과 32명의 소아정형외과 아동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정상 통제집단으로는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47명의 아동이 참여하였다. 연구대상 아동들의 연령범위는 7세-16세였다. 56개의 예비문항으로 이루어진 QOLCPD와 한국판 아동용 우울척도(CDI)를 모든 아동들에게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결 과 : 수집된 자료에 대해 주축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전체 상관이 낮고 요인부하량이 .2이하인 16문항을 제외시켜서 총 40문항으로 이루어진 최종 QOLCPD를 개발하였다. QOLCPD의 신뢰도 계수인 Chronbach's $\alpha$는 .87로 양호한 수준이었다. 복막투석 집단과 소아정신과 아동 집단은 정상 집단에 비해 더 낮은 삶의 질 총점을 보였다. 특히 두 집단은 삶의 질 영역 중 신체적 기능과 학업 기능에서 정상집단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다. 복막투석 집단의 CDI 점수는 경한 우울 수준에 해당되었다. 결 론: 자기보고형 만성 복막투석 아동용 삶의 질 척도는 임상적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조인숙;류현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46-54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12년 9월부터 10월까지 8주 동안 K시의 언어치료실을 내원하는 장애아동의 어머니를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참여의 자발성 및 비밀보장 등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부모에게 구조화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우울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r=-.580, p = <.001)가 있었으며,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r=.406, p = <.001)가 있었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beta}$=-.365), 양육스트레스(${\beta}$=.297), 가족의 수입(${\beta}$=-.205)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 변인으로 확인되었다(F=16.170, p <.001). 즉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가족의 수입이 많을수록 우울이 낮았으며 이들 변수들로 총 38.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장애아동의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우울 정도는 낮아지므로 장애아동의 효율적인 돌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장애아동의 어머니에게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우울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가 장애아동의 이동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Improvement in Loco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Physical Activity Programs)

  • 한범석;이태희;전혜자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83-10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가 장애아동의 이동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한 선행연구들을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하고 일반화가 가능한 결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04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사이의 선행연구 중에서 '대근육운동능력', '이동운동능력', 'TGMD'를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선정기준에 부합되는 24편 논문의 장애아동 518명을 대상으로 CMA3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동운동능력의 전체 평균효과크기, 장애아동의 성별, 연령, 장애유형, 프로그램 시간, 빈도, 기간에 따른 효과크기와 달리기(run), 겔롭(gallop), 홉(hop), 립(leap), 제자리멀리뛰기(horizontal jump), 슬라이드(slide)의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연구의 질적 검증을 위해 출판편향(publication bias)검증과 이탈치(outlier)를 확인하였고 연속형 변인은 메타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이동운동능력에서 1.143의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고 장애유형 중 자폐 스팩트럼이 1.697의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이동운동능력의 6가지 하위변인 중 달리기의 효과크기가 1.019로 크게 나타났다. 연령별 결과에서 8~10세가 0.920의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으며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1회당 100~120분(1.261), 주 3회(1.078), 16~20주(1.587)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장애아동의 이동운동능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다.

한글판 Children Participation Questionnaire(K-CPQ)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Children Participation Questionnaire)

  • 고유정;고수정;채수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63-170
    • /
    • 2019
  •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299명을 대상으로 K-CPQ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 국내 발달장애아동의 참여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K-CPQ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alpha}$값을 구하고 검사-재검사 신뢰도검사를 위해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CPQ의 각 영역에서 내적일치도(${\alpha}=.81{\sim}.90$)는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검사에서는 Pearson 상관계수(r= .807~.843)가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K-CPQ의 판별타당도의 검증을 위해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그룹의 각 영역을 비교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t=2.32~5.18)를 보였다(p<.05~p<.01). K-CPQ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K-SMS와 K-SFA의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 .817, r=.743)를 보였다(p<.01). 본 연구를 통해, K-CPQ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갖춘 평가도구임을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K-CPQ의 다각적인 연구로 장애아동의 사회참여와 통합을 위해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평가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Mother's Child Rearing Stress)

  • 김정;이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245-261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mother's schild rearing stress. Mothers of 450 4-, 5- and 6-year-old children in six differen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Kyungki-do area completed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Kyung Soon Choi, 1993) scale and the Parenting Daily Hassles(Cmic & Greenberg, 1990) scal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SPSS. Results show that higher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results in lower child rearing stress for mothers. Especially, father's participation in areas of parenting and housework is important factor influence mother's decrease child rearing str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