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동애착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5초

애착의 평가 (THE MEASUREMENT OF ATTACHMENT)

  • 이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28-39
    • /
    • 2004
  • 본 글에서는 애착유형과 정도를 측정하는 심리학적 평가도구들에 대해 발달연령적 접근으로 살펴보았으며 각 도구들의 신뢰성, 타당성과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영유아기의 애착평가도구로는 낯선상황절차(SSP), 애착Q-Set(AQS)을, 유아/아동기 도구로는 $3{\sim}4$세 유아용 애착평가도구인 Cassidy-Marvin의 애착유형체계, Crittenden의 PAA, Main과 Cassidy의 애착유형평가와 인형놀이기법을 이용한 MSSB와 애착유형별 가족그림분석을 소개하였다. 아동/청소년기 도구로는 부모와 또래와의 애착을 재는 자기보고식 질문지인 IPPA를, 청소년기/성인기 도구로는 성인애착면접(AAI)과 성인들간의 낭만적 애착을 재는 ASQ를 소개하였다.

  • PDF

아동의 모 애착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hildren's Attachment to Mother on Happiness: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Smartphone Dependence)

  • 이현주;백진아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6호
    • /
    • pp.61-7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모 애착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에서 조사한 한국 아동패널 12차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그 중 1,143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했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 Model Number 4 분석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의존도와 자아탄력성의 간접효과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를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 애착은 아동의 행복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모 애착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셋째, 아동의 모 애착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의존도는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천적 과제들을 제시했다.

아동기 애착 유형에 따른 아동의 가족화 연구 (A Study on Children's Family Drawings by Attachment Classification)

  • 진미경;이경숙
    • 아동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87-196
    • /
    • 2007
  • This study evaluated attachment representation of school aged children, its relation to classification of family drawings, and their association with children's perceptions about families. The attachment representation of 43 children 6-9 years of age was evaluated by the Manchester Attachment Story Task (Green, Stanley, & Goldwyn, 2003) children's family drawings were classified by Fury's Family Drawing Scales (1996). Results showed that 12 children (28%) were avoidant, 23 (54%) secure, 4 (9%) resistant, and 4 (9%) were disorganized. Classification of childhood attachment representation showed a high concordance rate (86%) with family drawings. Securely Attached children showed positive perceptions such as family pride/happiness and vitality/creativity while Insecure children showed negative perceptions like emotional distance, tension and bizarreness.

  • PDF

자폐아동을 위한 모-아애착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PROGRAM FOR AUTISTIC CHILDREN)

  • 이소우;홍강의;임숙빈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2호
    • /
    • pp.198-208
    • /
    • 2000
  • 자폐아동을 위해 개발된 모-아애착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참여군과 비참여군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대상자는 S대학교병원 애착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자폐아동과 어머니 7쌍, 참여하지 않는 자폐아동과 어머니 4쌍이었다. 6개월 간격으로 2회, 비디오 촬영법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Wilcoxon Rank(Sign) Sum Test로 모-아애착, 양육행위, 자폐적인 행동 특성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군의 애착행동의 변화는 같은 기간 비참여군의 애착행동의 변화보다 유의하게 컸으며 일치성을 제외한 근접성, 상호성, 정감성에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p<.05). 접촉유지, 차별적, 애정적 행동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공감적, 일치적, 합동주시 행동의 변화는 적었고 아동간에 개별차가 컸다. 아동의 성장발달을 위한 어머니의 양육행위도 참여군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나 그룹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05). 애착행동의 증진은 또한 자폐적 행동 특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모-아애착 증진 프로그램이 자폐아동들의 사회적 행동의 증진 뿐만 아니라 문제 행동의 개선에도 유용한 조기중재 프로그램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영아의 애착 유형과 어머니의 애착 표상 유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fant Attachment Classification and M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 진미경
    • 아동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9-79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from mother's attachment representation to infant's attachment pattern and the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their childhood experiences. Subjects were forty 12- to 15-month-old infants and their mothers.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 (Main & Goldwyn, 1984) was used to assess mother's attachment representation. The Strange Situation (Ainsworth, 1978) was used to classify infant's attachment relationship. Mothers were classified as autonomous (F), dismissing (Ds), preoccupied (E), or unresolved/disorganized (Ud). Infants were classified as secure (B), insecure-avoidant (A), insecure-resistant (C), or insecure-disorganized (D). Exact A/B/C/D and Ds/F/E/Ud agreement was observed in 30 of 40 dyads(75%).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were related to m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 PDF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eer Attachment,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on School Life Adaption in Children)

  • 김영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321-331
    • /
    • 2014
  • 본 연구는 아동들이 인지하고 있는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학교생활 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또래집단간의 의사소통, 신뢰, 소외,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 정도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연구결과에 대한 포괄적이고 객관화시킬 수 있는 강점을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학교 내에서 또래집단간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신뢰 관계가 잘 형성되어 또래애착관계가 높을수록, 공동체 의식이 높게 형성될수록,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수용 정도가 높은 아동일수록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는 또래애착, 공동체의식, 다문화 수용도 순으로 영향력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또래집단간의 친밀감을 향상시키고, 학교에서 공동체 생활에서의 기본적 규범 준수와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려는 마음을 키우고, 다문화에 대한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을 통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소득층 이혼 여성의 성인애착과 아동기 경험비교 : 이혼 경험을 중심으로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 and Childhood Experience of Low Income Married and Divorced Women)

  • 이경숙;진미경;정영숙
    • 아동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7-153
    • /
    • 2007
  • This research studied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m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between divorced and non-divorced low income mothers, associations between their divorce and childhood experiences, and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childhood experiences. Subjects were twenty each divorced and still-married women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The Adult Attachment Interview was used to assess their attachment representation resulting in classification by four types; autonomous (F), dismissing (Ds), preoccupied (E), or unresolved/disorganized (Ud). The divorced women had more childhood experiences of being rejected and neglected by their mothers than the non-divorced women. This indicates that maternal childhood experiences were related to maternal attachment representation and divorce.

  • PDF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과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발달 및 정신병리학적 특징의 비교연구 (COMPARISON OF DEVELOPMENTAL AND PSYCHOPATHOLOGlCAL CHARACTERISTICS FOR RAD AND PDD CHILDREN)

  • 윤현숙;최진숙;김태련;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권1호
    • /
    • pp.3-13
    • /
    • 1992
  •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발달적 특징 및 정신병리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이들과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과의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1989년 5월부터 1991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외래에서 통원치료를 하거나 주간치료실에서 치료교육하였던 아동중, 소아정신과 의사에 의하여 진단한, DSM-111-R의 진단기준을 만족시키는, 만 2세에서 만 6세까지의 아동으로,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이 20명(남 18,여 2),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이 20명(남 20) 이었다. 이들의 정신과적 진단을 모르는 평가자에 의해 Schopler의 교육심리적 평가(PEP ; Psycho-Educational Pronto)가 실시되었으며, 각 발달영역별 기능수준과 정신병리적 특성에 관하여 두군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반응성 애착장애아동은 발달 전반에 걸쳐 지체가 되어 있었으며 지체의 정도는 지각능력>모방>대근육운동>인지수행, 눈-손 협응능력>인지언어, 소근육운동 순으로 지체되어 있었다.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정신병리적 특성으로는 언어>놀이>사람과의 관계성>대인감정>감각순으로 심한 정신병리를 보였다.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과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두집단간 발달기능수준의 차이 검중에서는 지각영역의 싹트기 점수와 대근육운동의 싹트기 반응이 두군간 차이를 보였다. 정신병리 영역에서는 대인감정과 사람과의 관계에서 반응성 애착장군군은 '없음'에, 전반적 발달장애군은 '심함'에 해당되었다. 놀이 및 자료에 대한 흥미, 감각이상, 언어병리성에서 '없음'에 반응성 애착장애군이 전반적 발달장애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 PDF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의 구조관계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Career Maturity)

  • 김정은;김지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633-640
    • /
    • 2024
  • 본 연구는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또래애착, 부모성취압력 및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관계와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한국육아정책연구소의 아동패널 13차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생 총 1,357명의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는 또래애착과 부적상관관계, 부모성취압력과 정적상관관계, 진로성숙도와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각 변수들은 모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학업스트레스는 또래애착과 부모성취압력을 매개로하여 진로성숙도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학교사회복지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부모의 애착 유형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신병리와의 상관 관계 (PARENTAL ATTACHMENT STYLES AND PSYCHIATRIC MANIFESTATIONS IN THEIR $4^{th}\;TO\;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유한익;황준원;김붕년;신민섭;홍강의;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47-53
    • /
    • 2005
  • 이 연구는 주양육자의 불안정형 애착유형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행동문제와 정신과 질환의 발병에 기여하는지를 증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 2개의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504명과 부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부모의 애착 유형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보고형 관계 질문지 (Relationship Questionnaire) , 아동의 우울 증상을 평가를 위해 한국형 소아우울척도, 불안 증상의 평가를 위해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 평가척도, 그리고 부모에 의한 아동의 행동 평가를 위해 한국어판 K-CBCL을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몰입형 애착 유형의 부모의 초등학교 자녀들이 안정형 애착 유형 부모의 자녀보다 사회성, 불안, 우울, 주의집중력, 문제 행동, 공격성 등 상당히 다양하고 포괄적인 영역의 정신과적 문제를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내재화 증상은 부모가 몰입형일 때 가장 높았고, 회피형, 안정형 순이었다. 또한 부모의 애착 유형이 불안정형일 때, 안정형에 비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심각한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이 더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