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쓰레기 배출량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2초

인구변화가 쓰레기배출량에 미치는 영향 -부산시를 사례로- (Effect of Population Change on Waste Emission: The Case of Busan City)

  • 성신제;이희열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59-570
    • /
    • 2005
  • 본 연구는 부산시를 사례로 하여 인구변화가 쓰레기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부산시는 1995년 이후 인구수와 쓰레기배출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구별로 인구수와 쓰레기배출량의 증가와 감소에 따라 5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1995년과 2003년의 구별 인구수와 쓰레기배출량의 상대적 평가를 위한 Z값을 분석한 결과, 1995년은 5개 유형으로, 2003년 6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쓰레기배출량과 인구수, 용도지역(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별 면적 및 광공업생산액 간의 상관관계를 각각 파악한 결과, 인구수, 주거지역 면적의 순으로 매우 강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수와 주거지역 면적간에 공선성이 존재하여 인구수가 쓰레기배출량 해석을 위한 중요한 요인임은 물론 주거지역 면적의 특성까지 포함하여 설명할 수 있다. 셋째, 인구수가 쓰레기배출량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한 결과, 인구수는 쓰레기배출량을 92%이상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쓰레기종량제(從量制) 하(下)에서의 쓰레기발생(發生)과 쓰레기분리수거(分離收去) (Solid Waste Generation and Household Recycling of Solid Wastes Under An Incenitve Pricing Option)

  • 홍성훈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6권2호
    • /
    • pp.259-274
    • /
    • 1997
  • 본 논문은 쓰레기종량제 하에서 가격유인책 및 다른 사회 경제적 변수가 가정의 쓰레기발생과 재활용품배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개별 가정설문자료를 이용하여 가정의 쓰레기발생과 재활용품배출에 대한 구조적 방정식을 3단계 최소자승법으로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가계소득과 가족 수는 쓰레기발생량에 정의 관계로 영향을 미치며, 재활용품배출량은 가정주부의 시간가치와는 역의 관계를 가지고 교육수준과는 정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쓰레기봉투가격의 인상은 쓰레기발생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재활용품배출량의 증가를 통해 쓰레기수거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가정에서 분리수거를 통해 재활용할 수 있는 잠재적 재활용가능량은 정부의 재활용품목의 지정 및 재활용기술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쓰레기가격의 대폭적 인상을 통해 쓰레기수거서비스의 감소를 유도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음식물쓰레기 자원화를 위한 공동주택 거주자의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및 자원화 의향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Food Waste Generation of Residents and Food Waste Resources in Multifamily Housing)

  • 오정익;이현정;석희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905-915
    • /
    • 2010
  • 음식물쓰레기의 발생량과 자원화 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최근 건설된 공동주택 단지에 거주하는 주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dow version 18.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추리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공동주택 단지의 주부들은 일반적으로 대형마트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구매하고 있었으며,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는 주된 이유는 장기보관으로 인한 손상 및 부패였다. 계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종류가 달랐으며, 이는 식생활과 밀접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발생단계를 식재료 구매, 음식 소비 및 조리, 음식물쓰레기 배출 등 3가지로 나뉘어 음식물쓰레기 발생량과 자원화 의향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음식물쓰레기의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음식물쓰레기 수거단계 특성이었으며,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식재료 구매단계 특성이었다. 즉,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단지 내 음식물쓰레기 수거환경이 양호할수록 증가하였고, 음식물쓰레기 자원화는 사전구매계획이 미비할수록 쓰레기 발생을 높았다. 따라서, 쓰레기 종량제 실시에도 불구하고 식생활 문화와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음식의 과소비는 여전하므로, 발생된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 기술 개발과 제도적 지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도시쓰레기 소각로 국내 보급을 위한 당면과제 (II)

  • 조명제;박영재
    • 기계저널
    • /
    • 제24권4호
    • /
    • pp.284-290
    • /
    • 1984
  • 국내 쓰레기의 일인당 배출량은 외국보다 많은 2 kg/인. 일 정도이나, 주로 연탄재로 인한 것 이며, 발열량은 500 600 kcl/kg 으로 매우 낮아 보조연료가 필요한 수준이다. 따라서 소각로를 건설할 경우 이에 대한 발열량 증가를 위한 행정적인 조치 및 주민계몽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국내의 쓰레기 처리방법은 거의 완전히 매립에 의존하고 있으나 외국의 경우는 소각, 매립 자원재활용, 퇴비화 등의 순으로 처리되고 있으므로 우리 나라도 이와 같은 추세를 따라야 할 것이며, 특히 자원재활용을 위한 "오레곤 병법"등과 같은 행정적인 조치는 우리 나라도 조속히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소각로의 기술은 주로 유럽기술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최근 미국의 RDF 및 일본지역의 FBC 개발연구 등도 괄목할 만하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유럽기술이라 할 지라도 국내 적용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국내의 쓰레기 특성에 맞게 사양을 변경하여야 할 것이 므로 국내 실정에 맞는 소각로설계 연구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특히 우리 나라는 외국보다 저발열량, 고수분 함량의 쓰레기이므로 이를 단순히 보조연료로만 처리하는 것보다 기술적으로 합리적인 보조연료 절감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일본의 폐플라스틱 처리현황 (Current Status of the Treatment of Used Plastics in Japan)

  • Masahiro, Murakami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6권2호
    • /
    • pp.5-11
    • /
    • 1997
  • 일본 전국의 도시쓰레기 배출량은 약 5,020만톤/년(1992년)으로 약 77%가 소각처리되고 최종잔사는 매립처분되고 있으나 최종 처분장의 사용연수가 약 7년으로 도시쓰레기 처분량의 감량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쓰레기 중 가연성인 종이, 플라스틱 등이 약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연료로 이용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한편 일본의 폐플라스틱 발생량은 1,300만톤/년(1994년)으로이들의 약 23%가 재이용되고 있다. 도시쓰레기의 감량 및 재자원화를 위하여 1995년 6월에 "용기포장 리싸이클법"이 제정되었으며 관련업체별로 폐플라스틱을 회수하여 재이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 플라스틱을 포함한 도시쓰레기를 자원으로 이용하는 material recycle 방책, 유화기술, 소각에너지 이용, 고형 연료화 기술 등의 향후 추진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LandGEM과 현장 실측에 의한 쓰레기매립장에서의 온실 가스 배출 특성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Landfill Sites by LandGEM and Flux Measurement)

  • 전의찬;서성은;사재환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6-427
    • /
    • 1999
  • 최근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온실가tm 총 배출량은 1990년을 기준으로 이산화탄소 6,927만 8천톤, 메탄 135만 2천톤, 아산화질소 1만 2천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최근 증가 추세가 비교적 큰 것으로 알려진 메탄의 경우, 농업 분야와 폐기물매립 분야의 배출량이 전체 배출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농업 분야의 산업 활동이 감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므로, 폐기물 매립에 의한 메탄의 배출량은 그 비중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중략)

  • PDF

자동 분리수거가 가능한 쓰레기통 (Trash Can with Automatic Segregation)

  • 여상삼;이상빈;박진솔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1호
    • /
    • pp.165-166
    • /
    • 2020
  • 산업화 이후 무분별한 자원 개발로 인해 쓰레기 배출량은 증가하였으나 그 양을 감당할 쓰레기통의 개수는 부족하다. 그리고 쓰레기통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의식 부족으로 인해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쓰레기가 같이 버려져 있는 상태를 흔히 볼 수 있다. 작은 예로 자취하고 있는 대학생들 자취방 앞이나 상가 건물 앞에 분류되지 않고 아무렇게나 버려져있는 쓰레기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환경 미화원이 직접 재분류를 하고 청소하는데 시간과 인력 비용이 낭비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보완하고자 쓰레기를 자동으로 분리수거할 수 있는 '자동 분리수거가 가능한 쓰레기통'기술을 제안한다. 이는 분리수거율을 증가시키고 분리수거 다시 할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과 예산을 줄일 수 있고 재활용된 자원을 사용하여 생산 자원을 줄여 원가 절감효과와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원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탄소와 온실가스 방출량을 감소시켜 지구 온난화를 예방할 수 있다.

  • PDF

농촌지역 생활쓰레기의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Rural Solid Wastes)

  • 이남훈;전무갑
    • 유기물자원화
    • /
    • 제6권2호
    • /
    • pp.69-79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 쓰레기의 발생 및 관리실태를 도시지역과 비교분석하고, 농촌산업활동 유형별로 쓰레기 발생특성을 조사하여 향후 농촌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쓰레기의 관리 및 처리시스템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농촌지역의 지역특성별 및 계절별 쓰레기발생 실태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시규모별 1인 1일당 쓰레기 발생량을살펴보면 대도시일수록 소득수준이 높고 생활문화의 다양함과 복잡함으로 인해 발생량이 많으며, 군급 도시에서는 1995년에 1일 1인당 0.88kg으로 서울시민 배출량의 약 2/3수준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우리 나라 생활쓰레기의 처리 의존도는 매립처분, 재활용, 소각처리 순으로, 대도시일수록 매립처분에 의존하는비중이 크며, 군급 도시로 갈수록 소각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았다. (3) 농촌 쓰레기의 물리화학적특성조사 결과 거의 모든 물리화학적 특성이 도시지역의 쓰레기와 그다지 차이를 보이지 않아 최근 농촌지역의 소비형태가 도시지역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하수 및 분뇨처리시설에서 악취물질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stimation of Emission from Sewage Treatment Plant and Manure Treatment Plant)

  • 전의찬;사재환;김기현;이성호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88
    • /
    • 2003
  • 최근 민원의 약 20%를 차지하며, 대기질 관리 대상 중의 하나인 악취는 호흡기장애, 순환기장애, 소화기능장애, 수면장애 둥을 유발시켜는 등 인체에 다양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양한 성분이 극히 낮은 농도로 존재할 경우에도 인간의 감각기관을 가즉하게 된다. 또한, 쓰레기매립시설, 소각시설, 하수처리시설, 분뇨처리시설,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 등의 환경기초시설과 기타 생활악취 배출원들은 주로 주민의 생활주변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시설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