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쓰레기처리

Search Result 39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Management System for Marine Deposited Debris based on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반 해양 침적 쓰레기 관리 시스템)

  • Hye-Jeong Kim;Hye-Yeon Yang;Jitea Kim;Huisu-Han;Jahoon Koo;Young-Gab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86-87
    • /
    • 2023
  • 기존에 존재하는 해양쓰레기 처리 기술은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의 종류와 양이 한정되어있거나, 장치를 설치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으로 해양 침적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과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특히, 시나리오는 센서 배치, 감지, 분류, 처리와 같이 4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에서 기존 문제점 해결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Rural Solid Wastes (농촌지역 생활쓰레기의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Lee, Nam-Hoon;Chun, Moo-Kab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6 no.2
    • /
    • pp.69-79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gn parameters, which are applied to the solid waste treatment and management systems in rural area. In order to drive out the parameters, the solid waste production and management systems in rural and urban areas had been surveyed and analyzed, respectively. The comparisons of the analyzed results are also introduced in the paper. The rural areas referred to the survey are grouped in accordance with the industrial activities in those area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solid waste volumes produced per day per capita in rural area are less than those of urban area. For example, the average volume produced in rural area in 1995 is 0.85kg, which is two thirds of those in Seoul area. 2) for the treatment, the country has depended mainly on landfill. On the other hand, the incineration treatment ratio has been in creasing in rural area. 3)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rural solid waste, according to the analysi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urban areas, which means the living pattern in those two areas have a little difference.

  • PDF

해양쓰레기의 발생현황 및 배출특성과 국가별 대응현황

  • Go, Jae-Il;Nam, S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15-16
    • /
    • 2012
  •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양 국가들은 자구책을 내놓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해류를 따라 다른 나라로 이동하는 특성상 현황파악이 쉽지 않고 또 자연분해가 잘되지 않는 해양쓰레기의 특성상 처리 또한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양쓰레기의 발생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또 국가별로는 어떤 대응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해양쓰레기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쓰레기 소각장의 환기설비 설계 사례

  • 심재곤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1 no.6
    • /
    • pp.35-39
    • /
    • 2002
  • 최근,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대량생산과 대량소비현상이 발생하고 도시의 밀집도가 높아 단위 면적당 거주하는 인구가 증가되면서 거주지역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이 현저히 증가되어 환경측면에서 복합적인 환경문제에 직면해 있다. 최근까지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는 도시에서 발생된 다량의 쓰레기 처리문제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몇 년 전 까지는 대부분을 매립에 의존해 왔으나, 매립 방식에 의존하였으나 지가 및 공사설비의 상승, 일부 비위생적으로 조성된 매립장에서 배출되는 침출수 및 악취 등의 환경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매립장의 확보나 증설은 해당 지역주민의 반발로 지방자치단체의 골치 아픈 과제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매립지 확보의 어려움과 환경보존을 위하여 쓰레기를 정적이고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소각시설이 표 1과 같이 증가하고 있으나 소각 때 발생하는 다이옥신 등 인체에 치명적인 오염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소각로 건설에 대한 환경운동단체와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게 제기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영향에 의해 앞으로는 소각보다는 쓰레기 자체를 감량.재사용.재활용하는 처리방식이 표 1과 같이 증가되는 현실이다. 쓰레기를 소각하는 것은 제 2오염을 유발시키고, 소각장 건설비용과 유지관리에 많은 예산이 소요된다. 쓰레기소각장을 건설할 때, 인근주민이나 환경단체로부터 반대의견에 직면하게 되는데, 그 사유는 쓰레기 처리과정의 전 단계인 반입.공급 과정에서 악취발생과, 후단계인 소각설비에서 발생되는 배출가스 오염원을 완전히 제거하라는 것이다. 최근에는 소각장의 설계.시공과정에서 최대한 악취발생과 확산을 억제하는 시설에 투자를 하고 있으며, 또한 주민 편익 시설과 부대 복리 후생시설은 소각시설 주변지역 주민틀의 소각시설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불식시키며, 외부 방문객이나 운영 관리 요원들에게 쾌적한 환경조성과 업무효율 및 근무환경의 개선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본 고는 환경 친화적인 쓰레기 소각장을 설계하는 측면에서 1998년도에 턴키방식으로 발주되었고 2001년 12월에 준공하여 운전하고 있는 경기도 구리시 자원회수시설의 환기설비에 적용된 설계 및 시공개념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he Urban Housewives' Consciousness and Behavior for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Their Concern of the Hosuehold Waste Management (주부의 환경 보전의식 및 행동에 따른 쓰레기 처리에 대한 관심도)

  • 계선자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3
    • /
    • pp.88-101
    • /
    • 1995
  • 본 연구는 쓰레기 처리문제와 관련하여 분리수거, 감량화, 재활용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주부소비자를 중심으로 환경보전의식과 환경보전행동을 살펴보고 관련된 변인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환경보전에 대한 소비자의 책임감과 올바른 환경관을 고취시키고 나아가 환경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환경정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부의 환경보전의식 수준은 평균 4.25(5점만점)로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과 주거형태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경보전행동 수준은 평균 3.56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 학력, 월평균 가계소득이 높을수록 분리수거함이 존재할 경우, 반상회에 참여함에 따라 높게 나타났으며 변화추구에 소극적이고 적극활동형, 전통주의형, 합리주의형, 현실안정형의 성향이 높은 주부일수록 환경보전의식 및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부의 쓰레기 처리에 대한 관심도는 평균 3.9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 학부, 분리수거함의 존재, 주거형태가 아파트와 단독주택인 경우에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주부의 환경보전의식 및 행동과 쓰레기 처리에 대한 관심도간에는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주부의 쓰레기 처리에 대한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환경보전운동에의 참여행도, 환경교육, 적극활동형, 변화추구형, 재활용행동으로 나타났다.

  • PDF

Treatment of Food Garbage Using a Treatment Reactor and Microbial Consortium (발효소멸기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 및 악취제거)

  • Koh, Rae-Hyun;Lee, Kang-Hyoung;Yoo, Jin-Soo;Song, Hong-Gyu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2 no.4
    • /
    • pp.306-312
    • /
    • 2006
  • Disposal of food garbage in most large cities is very troublesome task. To date, microbiological treatment has been received an attention as a garbage decomposition process. In this study, the inoculation effect of some cellulase, amylase and protease-producing bacteria and photosynthetic bacteria on food garbage treatment was examined. They were added into a treatment reactor specially designed in this study together with food garbage and incubated in various conditions for 15 days and the removals of food garbage and foul smell produced during the treatment were analyzed. Average decomposition percentages of the inoculated food garbage in treatment reactor were 11 and 18.8% under intermittent aeration (once in a day) and continuous aeration conditions (2 L/min), respectively, and these were higher than removal percentages in the corresponding uninoculated reactors,3.4 and 13.8%. Optimal pH and temperature for food garbage decomposition by inoculated bacteria were pH 7.0 and $30^{\circ}C$. Maximal decomposition percentage in the inoculated food garbage was 35% under the optimal condition (pH 7, $30^{\circ}C$, and continuous aeration). The malodor compounds generated from food garbage treatment such as complex foul smell and sulfur compounds were effectively reduced about 84% and 25.5%, respectively, with a biofilter composed of purple nonsulfur bacteria trapped in sponge. This decomposing capability of food garbage by these bacteria can be utilized for the rapid and efficient treatment of food garbage.

An Explicit Free Method for the Garbage Objects in Java-based Embedded System (자바기반 내장형 시스템에서 쓰레기 객체의 명시적 자유화 방법)

  • Bae, Soo-kang;Lee, Sung-yo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9A no.4
    • /
    • pp.441-450
    • /
    • 2002
  • As the size of embedded system software increase bigger and bigger, and it's complexity is grower and grower, the usage of dynamic memory management scheme such collector also has been increased. Using the garbage collector, however, inherently lead us performance degradation. In order to resolve this kind of performance problem in the Java based embedded system. we introduce an explicit dynamic memory free method to the automated dynamic memory management environment. which can be performed by a programmer. In the worst case, the prosed scheme shows the same performance as the case of that only garbage collector is working, since the unclaimed garbage objects will eventually be collected later by the garbage collector. In the best case. our method is free from any runtime overhead because the applications can be implemented without any intervention of the garbage collector. Although the proposed method can be facilitated with all the existing garbage collection algorithms, it shows an outperform in the case of mark-and-sweep algorithm.

A Study on Floating Waste Trace in Flood Control Dam Using the EFDC Model (EFDC 모델을 활용한 홍수조절용 댐의 부유쓰레기 유동 모의)

  • JANG, Suk-Hwan;OH, Kyung-Doo;OH, JiHwan;HAN, Su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36-336
    • /
    • 2015
  • 일반적인 다목적댐은 홍수 발생 시 본댐으로 유입되는 부유쓰레기 및 잡목 등을 차단하기 위하여 댐 상류에 차단망을 설치하여 1차적으로 사전 방지하고, 홍수기 이후 선박으로 부유물을 수거하여 재활용, 소각 등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인 한탄강댐은 홍수조절용 댐으로서 수위 변화 폭이 매우 크고 정상 조건(비 홍수기)시는 대규모 홍수터가 드러나기 때문에 댐 유지관리 방법이 상이하며 한탄강 본류 구간은 하폭과 수심 등 하도의 불규칙성과 만곡부에서 유수의 흐름이 한쪽으로 쏠리는 편기 현상이 발생하는 등 복잡한 수리현상으로 인하여 부유쓰레기의 분포를 판단하기 어려운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유쓰레기의 유동을 모의하기 위하여 HEC-HMS 모형과 $Vflo^{TM}$ 모형을 활용하여 본류와 지류의 빈도별 홍수량 분석을 실시하고, EFDC 3차원 동수역학 모형을 적용하여 홍수조절용지 내 부유쓰레기의 유입 경로 및 정체 구역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쓰레기 처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소규모 빈도 홍수(2년, 5년)의 경우 중 상류 지류의 부유쓰레기는 거의 유동하지 못하고 하도의 만곡의 영향을 받아 부분적으로 높은 밀도로 고착될 것으로 모의되며, 특히 본류와의 합류점 부근에 도달한 부유쓰레기는 유로 폭이 급확대되어 유속이 거의 없는 사수역 구간으로 변함에 따라 본류 배수위 영향으로 불규칙하게 맴돌다가 고착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중규모 홍수(25년, 50년)의 경우, 상류부의 부유쓰레기의 분포는 소규모 홍수 시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나 중류부에서 홍수파가 본류 하도를 월류하여 홍수터로 넓게 범람하는 지역에서는 소규모 홍수 시 본류 하도 양안에 분포하던 부유쓰레기가 홍수터 쪽으로 밀려가서 고착되는 경향을 보였다. 대규모 홍수(100년, 200년)의 경우, 댐과 인접한 분석 구간 하류부는 댐 배수위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으며 수심이 깊어 흐름이 가장 정체되는 구간으로 본류와 지류 모두 다량의 부유쓰레기가 분포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구간 중류부는 홍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넓은 홍수터로 침수범위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이에 따라 부유쓰레기가 분포할 수 있는 면적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분석 구간 상류부는 협곡을 이루고 있어 홍수규모가 증가하더라도 침수범위와 부유쓰레기의 분포면적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댐의 치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수거 처리 할 수 있는 부유쓰레기 적치장 및 차단 시설의 적정 설치 위치를 파악하였다.

  • PDF

Treatment of Waste Food using Mixed Microorganisms Responsible for the Degradation of Malodor Compounds (혼합 미생물에 의한 음식쓰레기 처리와 악취 제거)

  • Yun, Soon-Il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31 no.4
    • /
    • pp.413-420
    • /
    • 2003
  • To explore the effective treatment methods for waste food generating malodor compounds, mixed microorganisms (MM) capable of deodorizing of domestic animal waste were applied using household composting box. The mixture of 5 kg whole chips as a bulk agent, 2 kg MM and 1 kg of waste food were input into the compost reactor and agitated. Waste food was supplemented every 24 hours. As the results, the composting volume was stable at 13∼14 L for 10 days. In the initial compost process with MM, the pH and temperature were increased more quickly than that of without MM. Also, the conductivity recognized as a barometer of compost was increased from 0.2 to 2.4 mS/cm that was higher than 1.3 mS/cm of without MM, for 10 days. The malodor compounds generated from waste food treatment such as sulfur compounds and volatile fatty acids were effectively reduced about 90∼l00%, and 70∼80% for 8 days, respectively. The microorganisms growing under the condition of alkaline phase and higher temperature were dominated during the compost Moreover, it was demonstrated that inoculated Bacillus cereus HY15 dominated during the compost results in responsible to the effective treatment of waste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