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쐐기풀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푸른몽울풀(쐐기풀과): 국내 미기록 식물 (Elatostema laetevirens Makino (Urticaceae):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

  • 김진석;정재민;이웅;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61-364
    • /
    • 2011
  • 제주도의 서귀포시 상효동과 제주시 오등동의 계곡 주변에서 발견한 쐐기풀과의 몽울풀속에 속하는 미기록 식물, 푸른몽울풀(Elatostema laetevirens Makino)을 채집하여 기재하였다. 푸른몽울풀은 다년초이고 줄기에 개출모가 없는 점과 화서의 자루가 발달하지 않는 특징으로 국내 몽울풀속의 다른 종들과 쉽게 구분이 된다. 잎 표면에 광택이 없으며, 표면의 색이 청록색인 특징을 고려하여 '푸른몽울풀'로 명명하였다.

쐐기풀(Urtica Dioica L.추출물의 염색성 연구) (A Study on the Dyeability of Urtica Dioica L. Extract)

  • 김소진;김리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4호
    • /
    • pp.128-140
    • /
    • 2016
  • In this study, dyeability of Urtica Dioica L. extract, which is relatively less studied, was measured. The extract of this plant was used to dye cellulose and protein fiber to check its usage as a natural green dye. Three different methods were used to produce extract. Dried Urtica Dioica L. was extracted with 100% ethanol, 50% ethanol with 50% distilled water and 100% distilled water. Then dyeing solution was obtained by blending with distilled water at 1-to-1 ratio. The maximum dyeability was obtained when 100% ethanol extract of dried Urtica Dioica L. used to dye fabrics at 60 degrees celsius for 60 minutes without mordant treatment. Cotton, rayon, wool and silk were dyed and dyeability for each fiber was measured for color difference value then compared to its control. The results show that dyeability of rayon and dyeability of wool are stronger, and that when color position for each mordant is measured, color difference is most diverse on cotton with pre-mordant treatment. Color fastness to wash, perspiration and rubbing crockmeter were superb, but color fastness to light was low, therefore, additional study on this is needed to improve. Urtica Dioica L. is now expected to be used practically as green color dye as well as medicinally and edible.

각질형성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염증반응에 대한 마가목, 쐐기풀, 죽여 및 오배자 혼합추출물의 항염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Mixture of Sorbus commixta, Urtica dioica, Phyllostachys nigra, and Rhus semialata Gall Extracts on LPS-induced Inflammation in HaCaT Cells)

  • 이경은;남진주;김선미;김한곤;문성준;염종경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5-54
    • /
    • 2014
  •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도하는 염증반응에는 tumor neu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1${\alpha}$ (IL-1${\alpha}$), interleukin-6 (IL-6), 및 interleukin-8 (IL-8)와 같은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이 증가되고, 또한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및 prostaglandins E2 (PGE2)도 증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유도된 염증 반응에서 효과적으로 염증 관련인자를 조절할 수 있는 천연물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마가목, 쐐기풀, 죽여 및 오배자 혼합 추출물이 IL-1${\alpha}$, TNF-${\alpha}$, IL-6 및 IL-8의 발현을 억제하고 COX-2, iNOS 및 PGE2의 발현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IQ chamber$^{(R)}$을 이용하여 피부에 첩포할 때 sodium lauryl sulfate (SLS)로 유발한 피부자극에서 이들 혼합물이 효과적으로 그 자극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마가목, 쐐기풀, 죽여 및 오배자의 혼합물이 피부자극완화용 화장품 소재로서 민감성 피부 등을 위한 제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작은잎물통이(쐐기풀과)와 남방향유(꿀풀과) (Two Unrecorded Alien Plants of Korean Peninsula: Pilea microphylla (L.) Liebm. (Urticaceae) and Elsholtzia griffithii Hook. f. (Lamiaceae))

  • 홍정기;김중현;김유리;김진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9-97
    • /
    • 2021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인 작은잎물통이(쐐기풀과)와 남방향유(꿀풀과) 2분류군을 발견하였다. Pilea microphylla (L.) Liebm.는 서울시 및 제주도에서 관찰되었으며, Elsholtzia griffithii Hook. f.는 인천시에서 확인되었다. P. microphylla는 잎이 주걱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는 2-7 mm로 작고 가장자리 전체가 밋밋한 특징에 의해 국내 자생하는 근연분류군과 구별된다. E. griffithii는 수상화서, 3 mm 길이의 좁은 피침형의 포와 약 2.5 mm의 상대적으로 짧은 화관을 갖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2분류군에 대한 국명, 종기재문, 사진 제공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서양쐐기풀 (New Record for Alien Plant, Urtica dioica L. (Urticaceae) in Korea)

  • 심선희;김진석;진동필;이웅;현창우;김중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0-108
    • /
    • 2022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인 서양쐐기풀(쐐기풀과)를 한강 수계에서 발견하였다. 서양쐐기풀은 유럽, 온대 아시아, 서북아프리카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의 여러 지역에 도입되어 있는데 특히, 동아시아(일본),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에서 외래종으로 보고되었다. 본 분류군은 단성화이며, 자웅이주를 가지는 특징에 의해 근연분류군과 구분된다. Neighbor-Joining 계통수에서 국내 난지한강공원과 양재천에서 채집된 서양쐐기풀은 U. dioica s.s.군으로 유집되었다. 주요 형질에 대한 기재문과 화상자료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국내(國內) 자생식물(自生植物)의 화학성분(化學成分) 검색(檢索)( I ) -쐐기풀과, 노박덩굴과, 갈매나무과, 벽오동과, 꼭두서니과에 대하여- (Phytochemical Screening of Korean Plants( I ) -On Urticaceae, Celastraceae, Rhamnaceae, Sterculiaceae and Rubiaceae-)

  • 유승조;곽종환
    • 생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9-153
    • /
    • 1989
  • The presence of saponin, terpenoid, steroid, anthraquinone and flavonoid were screened with the usual test methods in forty five(sixty four parts) Korean plants belonging to Urticaceae, Celastraceae, Rhamnaceae, Sterculiceae and Rubiaceae. Plant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fractionated with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Each fraction was tested for the components. The result showed that in saponin test, 21 plants were positive and 11 plants were weak positive; in terpenoid and steroid test, 26 plants were strong positive; in anthraquinone test, 20 plants strong positive; in flavonoid test, 31 plants were positive and 9 plants were weak positive.

  • PDF

대구, 경북지역 산림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 대구, 청도, 경주, 포항을 중심으로 - (The Vascular Plants of Forested Wetland in Daegu-Gyeongbuk, Korea - Focused on Daegu, Cheongdo, Gyeongju and Pohang -)

  • 이명훈;유성태;김병도;윤정원;안종빈;권혜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2-61
    • /
    • 2023
  • 본 연구는 대구·경북 일대 산림습원 지역의 관속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는 2020년 6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총 26일에 걸쳐 수행하였고, 확인한 관속식물은 104과 286속 406종 12아종 34변종 6품종 1교잡종 등 총 459분류군으로 정리하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5분류군: 위기종(EN) 께묵 1분류군, 취약종(VU) 왜박주가리 및 애기물꽈리아재비 2분류군, 약관심종(LC) 꽃창포 1분류군 및 자료부족종(DD) 늦둥굴레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키버들, 할미밀망, 금오족도리풀 등 1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환경부 지정 구계학적특정식물 57분류군: IV등급 긴오이풀 등 3분류군, III등급 박달나무, 쐐기풀 등 8분류군 등을 확인하였다. 귀화식물은 27분류군으로 이 중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미국 쑥부쟁이 등 3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도시화지수는 8.44%, 귀화율은 5.88%로 일반적인 산림의 귀화율인 4%보다 다소 높아 점차 교란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습지식물은 총 74분류군: 절대습지식물 미나리 등 30분류군, 임의습지식물 털개구리 미나리 등 4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산림습원식물은 과거 조사와 비교해볼 때 출현식물은 쇠뜨기(Equisetum arvense L.) 등 277분류군은 공통적으로 출현하였으며, 182분류군은 새롭게 확인하였다. 과거 묵논의 형태로 이루어진 산림습원이 주를 이루고 있어 귀화식물의 유입이 잦아 귀화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자생식물들의 위협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은 초봄에 일찍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더불어 귀화식물은 추가적인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속리산의 식물상 및 식물지리학적 해석 (Flora of Songni Mountain and Its Phytogeographical Interpretation)

  • 김용식;김갑태;우종서;이규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6-22
    • /
    • 1990
  • 속리산 지역내에 생육하고 있는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현지조사를 하였으며, 총 44과 89속 140종 10변종 및 2품종이 조사되었다. 한편 국내의 몇 지역과 비교하여 속리산 식물상의 식물지리학적인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백두산, 설악산, 지리산 및 속리산 등 내륙지역 4개지역, 어유정도, 덕적군도, 고군산군도 및 제주도 등 도서지역 4개 지역등 총 8개 지역의 식물상과 상호 비교하였다. 속리산의 식물상은 설악산 및 지리산의 식물상과 가장 유사하였으며, 단풍나무과, 두릅나무과, 참나무과, 피나무과 및 느릅나무과와 같은 북방계 식물 및 노박덩굴과, 메꽃과, 대극과, 갈매나무과, 가지과, 돌나물과, 쐐기풀과 등과 같은 남방계 식물이 유입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돼지감자의 이눌린, 연잎, 허브의 병합식이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Combined Diet of Jerusalem Artichoke's Inulin, Lotus Leaf and Herb Extracts in Obesity-induced White Rat with Fat Diet)

  • 이은혜;이예진;최옥병;강상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95-303
    • /
    • 2007
  • 돼지감자의 이눌린, 연잎분말, 허브의 쐐기풀분말과 유칼립투스 잎의 분말 중 다이어트 예비실험에서 4가지 모두 병합 급여한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나 이들의 병합급여가 다이어트에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조사하였다. 200 g 전후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고지방식이로 8주간 사육하여 비만을 유도한 후, 병합다이어트식이 급여로 4주간 급여하여 다이어트효과를 보았다. 총 12주 사육 후 체중, 혈액 그리고 간의 체내 지질대사와 관련된 인자들 조사하고 간의 조직학적 변화를 광학 현미경으로 보았다. Sprague-Dawley 계 수컷 흰쥐의 8주 동안의 체중 변화량은 정상군에 비교하여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고지방식이군과 다이어트식이군은 증가하였고 그 후 4주 동안의 체중 변화량은 정상군과 고지방식이군은 계속 증가한데에 비해 병합다이어트식이군은 8주간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후 다이어트 식이 급여 3주 후에 정상군의 체중 정도로 감소되었으며, 4주 후에는 정상군보다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식이효율도 유의적으로 떨어졌다. 혈액의 생화학적 분석 결과에서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혈당, 중성지방, GOT, GPT, ${\gamma}-GTP$과 creatine은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었고 다이어트식이군은 정상군과 비교하여 GPT, ${\gamma}-GTP$과 creatine를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장의 생화학적 분석 결과에서도 고지방식이군의 지질 함량은 정상식이군에 비하여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다이어트식이군에서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고 총 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떨어지고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광학현미경을 통하여 간의 조직학적 변화와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한 결과 고지방식이군에서는 간세포들의 체적증가와 간정맥 주변부 간세포들의 심한 지방변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다이어트식이군은 정상군과 마찬가지로 병합식이를 통해 간 조직은 간세포에서 세포질이나 세포핵 및 동양모세혈관등에 병리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간세포대의 배열도 규칙적이었다. 따라서 돼지감자의 이눌린, 연잎분말, 허브의 쐐기풀분말 및 유칼립투스 잎의 분말을 사용한 병합다이어트식이 급여가 비정상적인 지방 축적으로 인한 비만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韓國産) 쐐기풀과 식물(植物)에 관(關)한 본초학적(本草學的) 연구(?究) (A Herbalogical study on the plants of Urticaceae in Korea)

  • 신호동;조남준;신민교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6권1호통권29호
    • /
    • pp.475-498
    • /
    • 1995
  •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Korean Herbalogy with the plants of Urticaceae which grow wild and is planted in Korea, the these and writings on herbalogy, from literature of successive generations, have been thoroughly investigative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totaled 11 genera and 44 species in Korea and among them medecinal plants are 9 genera, 19 species, some 43% in total but the number of species may be added because of similar plants. 2. According to the oriental name which can be used for medical purpose, the medicinal plants beloning to the Urticaceae were classified as Herba 10, Radix 8, Folium 3, Cortex 1, Flos 1, Rhizoma 1. Thus it was noticed that Herba was the main kind. 3. According to sum of 44 species in Urticaceae they were classified into Boehemeria genera 18, Urtica genera 9, Pliea genera 5, Elastosma genera 3, Parietaria genera 2, Pellionia genera 2, Achudemia 1, Debregeasia genera 1, Girardinia genera 1, Laportea genera 1, Nanocnide genera 1 etc. Thus it was noticed that Boehemeria genera was the main kind, some 41% in total. 4. According to nature and flavour of medicinal plants, they were classified into cold, cool; 6 each, wormth, heat; 4 each, balance 3. Thus it was noticed that cold and cool is the main in nature and flavour of medicinal plants. 5. According to the Properties and Principal Curative action, they were classified into, clearing up heat and toxin 9, drugs for urination an removing abscess 7, drugs for circulating blood and hemostasis 7, drugs for expelling wind 5, drugs for comporting embryo 4, 6. Comparing to whole medicinal plants 44 kinds, toxic durgs include minor toxin were 2 kinds, 5% of the whole. Thus toxic durgs were rare. From this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plants for medical purpose in Urticaceae was 43% kinds of the whole, in which Herba was mostly abundunt, toxic plants were so rare that it will be used for clinical treatments more easily. It is considered that many clinical experiments and approaches must be continued to use widely.

  • PDF